• 제목/요약/키워드: Microflora popul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6초

The Effects of Enzyme Complex on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ed Pigs

  • Yi, J.Q.;Piao, X.S.;Li, Z.C.;Zhang, H.Y.;Chen, Y.;Li, Q.Y.;Liu, J.D.;Zhang, Q.;Ru, Y.J.;Dong, 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81-1188
    • /
    • 201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a corn-soybean meal-based diet with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mylase, protease and xylanase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ed pigs. In Exp. 1, 108 piglets weaned at 28 d of age were fed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control), 100, or 150 ppm enzyme complex for 4 wks, based on a two-phase feeding program namely 1 to 7 d (phase 1) and 8 to 28 d (phase 2).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six pigs from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supplemented with 150 ppm enzyme complex were chosen to collect digesta samples from intestine to measure viscosity and pH in the stomach, ileum, and cecum, as well as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composition of the microflora in the cecum and colon. There were linear increases (p<0.01) in weight gain, gain: feed ratio and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with the increasing dose rate of enzyme supplementation during the whole experiment. Supplementation with enzyme complex increased the digesta viscosity in the stomach (p<0.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the concentrations of acetic, propionic and butyric acid in the cecum and colon. Enzyme supplementa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opulation of Lactobacilli (p<0.01) in the cecum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E. coli (p<0.05) in the colon. In Exp. 2, six crossbred barrows (initial body weight: $18.26{\pm}1.21$ kg),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t the distal ileum, were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according to a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the same as the diets used in phase 2 in Exp. 1.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isoleucine (p<0.01), valine (p<0.05) and aspartic acid (p<0.05) linear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dose rate of enzyme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diet with an enzyme complex containing amylase, protease and xylanase improved piglet performance. This is likely a result of improvement in nutrient digestibility,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bacteria ratio in the large intestin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ubtilis LS 1-2 Grown on Citrus-juice Waste and Corn-soybean Meal Substrat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biology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 Sen, Sinol;Ingale, S.L.;Kim, J.S.;Kim, K.H.;Kim, Y.W.;Khong, Chou;Lohakare, J.D.;Kim, E.K.;Kim, H.S.;Kwon, I.K.;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8호
    • /
    • pp.1120-1127
    • /
    • 2011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acillus subtilis LS 1-2 grown on citrus-juice waste and corn-soybean substrat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broilers. Three hundred twenty d-old Ross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of 20 chicks in each.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2 phases, starter (d 0 to 21) and finisher (d 21 to 35). Dietary treatments were; negative control (NC: basal diet without any antimicrobial), positive control (PC: basal diet added with 20 mg/kg Avilamycin), basal diet added with 0.30% Bacillus subtilis LS 1-2 grown on corn-soybean substrate (P1), and basal diet added with 0.30% Bacillus subtilis LS 1-2 grown on citrus-juice waste substrate (P2). Overall BW gain, feed intake and FCR were better (p<0.05) in PC, P1 and P2 treatments as compared to NC. Moreover, overall BW gain and FCR in PC and P2 treatments were greater than P1. Retention of CP, GE (d 21, d 35) and DM (d 35) were increased (p<0.05) in treatments PC, P1 and P2 compared with NC. At d 35, caecal Clostridium and Coliform counts were lower (p<0.05) in treatments PC, P1 and P2 than NC. Moreover, Clostridium and Coliform counts in treatment PC was lower (p<0.05) than P1.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in both duodenum and ileum were increased (p<0.05) in treatments PC, P1, P2 as compared to NC. However, retention of nutrients, caecal microbial population and intestinal morphology remained comparable among treatments P1 and P2. It is concluded that Bacillus subtilis LS 1-2 inclusion at 0.30% level had beneficial effects on broilers' growth performance, nutrient retention, caecal microflora and intestinal morphology. Additionally, citrus-juice waste can be used as substrate for growth of probiotic Bacillus subtilis LS 1-2.

Effect of organic medicinal charcoal supplementation in finishing pig diets

  • Kim, Kwang Sik;Kim, Yeung-Hwa;Park, Jun-Ceol;Yun, Won;Jang, Keum-Il;Yoo, Do-Il;Lee, Dong-Hoon;Kim, Beom-Gyu;Cho, Jin-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50-59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rganic medicinal charcoal as a feed additive on aflatoxin absorption, odor emission, fecal microflora and in vitro digestibility in pig diet. A 10-day trial was conducted with 20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finishing pigs ($BW=81{\pm}3.3kg$)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of Lactobacillus and E. coli in feces and fecal odor ($NH_3$, $H_2S$, total mercaptans, and Acetic acid) in vivo. The in vitro and in vivo treatments included: control (basal diet; CON); (basal diet + 0.25% Organic Medicinal Charcoal; OMC); (basal diet + 0.50% Pyroligneous Charcoal; PC); and (basal diet + 0.50% Coconut tree Charcoal; CC). The aflatoxin absorption capacity was 100, 10, and 20% in OMC, PC, and CC, respectively.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in OM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 PC, or CC in vitro (p < 0.05). The digestibility of organic matter in OMC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 (p < 0.05). Fecal ammonia and $H_2S$ emissions of OMC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 PC, and CC (p < 0.05). Lactobacillus counts in feces of OMC and C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 and PC (p < 0.05). Fecal E. coli counts of OMC and CC were lower than those of CON and PC (p < 0.05). It was concluded that organic medicinal charcoal can be used as a feed additive in pig diets because it improves the digestibility of feed and fecal odor, and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opulation of microorganism in feces.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섭취가 사람의 분변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ntake on Microfloral Changes in Human Feces)

  • 정은지;안영태;김현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42-1647
    • /
    • 1999
  • 건강한 한국성인의 분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SNUL 01과 SNUL 02가 각각 $1{\times}10^8\;cfu/mL$ 수준으로 함유된 애시도필루스우유를 자원한 20명의 건강한 성인에게 하루에 두 번, 3주일간 음용하도록 하면서, 분의 pH, 총 lactobacilli, Escherichia coli, 그리고 Clostridium perfringens 수의 변화를 시험 연구하였다 두 균주로 제조된 애시도필루스우유를 섭취하기 전초기 분의 pH는 pH 7수준이었으며, 섭취 21일 후 분의 pH는 약 pH 5 수준으로 낮아졌고, 분의 총 lactobacilli 수는 약 $10^7\;cfu/g$ 수준에서 4일 후에는 $10^8\;cfu/$분 g 수준까지 증가하여 시험 후반기까지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한편, 분의 E. coli 수는 약 $10^7{\sim}10^8\;cfu/g$ 수준에서 21일 후에는 약 $10^6\;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분의 C. perfringens 수도 $10^5{\sim}10^6\;cfu/g$ 수준에서 $10^3\;cfu/$분 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 L. acidophilus 균주들로 제조된 발효유를 계속해서 섭취할 때 장내 정상 균총의 유지에 도움이 되면서 장내 유해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Next-generation probiotics, parabiotics 및 postbiotics (Next-generation Probiotics, Parabiotics, and Postbiotics)

  • 조광근;이승호;최인순;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5-602
    • /
    • 2021
  • 사람의 장내 미생물은 숙주의 대사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은 비만, 대사 증후군과 밀접하게 병리학적, 생리학적 상호작용을 한다. A. muciniphila는 최근 인간의 대변에서 분리되었으며, 장내 미생물의 약 1-4%를 차지하는 우점균이다. A. muciniphila 유래 외막(external membran) 단백질 Amuc_1100과 세포외 소포(EVs)의 이용은 비만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 A. muciniphila는 비만과 같은 대사 장애치료를 위한 차세대 probiotics로 고려되고 있다. F. prausnitzii는 next-generation probiotic로서 건강한 성인의 경우 장내미생물 균총의 약 5%를 차지하며 성인 장 건강의 지표이다. F. prausnitzii는 butyrate-producing bacterium로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 질환과 당뇨병 치료를 위한 next-generation probiotics로 기대된다.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상층액에 포함된 대사산물의 복잡한 혼합물이다. 반면, parabiotics는 probiotics를 불활성화 시킨 미생물 세포이다. Paraprobiotics와 postbiotics는 probiotics에 비해 명확한 화학구조(clear chemical structures)와 안전한 투여 용량(safety dose parameters), 장기간의 유통 기간(longer shelf life)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probiotics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장 생태계의 불균형을 정상적으로 복원하기 위해서 장내 공생 박테리아(commensal bacteria) 중 next-generation probiotics (NGP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런 방법이다. 따라서 next-generation probiotics 를 대상으로 parabiotics와 postbiotics와 같은 새로운 식품이나 약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혼합 또는 단일 생균제가 산란계와 육계의 생산성,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Multiple Probiotics or Single Probiotics on the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Immune Response of Laying Hens and Broilers)

  • 김찬호;우경천;김근배;박용하;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62
    • /
    • 2010
  • 본 연구는 혼합 생균제의 첨가가 산란계와 육계의 생산성과 소장내 미생물,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은 800수의 82주령 산란계(Hy-Line Brown$^{(R)}$)를 5처리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각각의 처리는 대조구, 항생제구(avilamycin 6 ppm), 생균제 PB-M(Micro-ferm$^{(R)}$) 0.2%구, PB-L (Lactto-sacc$^{(R)}$) 0.1%구, PB-Y(Y University probiotics) 0.2%구로 구성하여,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자유 섭식케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조명= 16 h)를 실시하였다. 시험 2에서는 육계(Ross$^{(R)}$) 1,000수를 공시하여 시험 1과 같은 처리로 구성하여 35일간 전기(0~3주), 후기(4~5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을 두어 반복당 50수씩 나누어 배치하였다. 시험 1에서는 계란 생산지수들 즉 일계 산란율과 생산지수, 난중, 연파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강도와 난각 두께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항생제구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PB-Y구는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Haugh unit에서 가장 높았는데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 시험 2에서는 전기간(0~5주) 증체량 및 폐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0~3주 기간동안 PB-Y의 증체량이 대조구와 항생제구와 비교하여 낮게 나왔다. 전기간(0~5주)에서 항생제구의 사료 섭취량, 생산지수는 가장 높았고,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보다 낮게 나왔다. 생균제 처리구들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험 1에서 백혈구 수치 즉,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스트레스지수는 산란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항생제구와 생균제구는 모든 수치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2에서는 오직 스트레스지수에서만 항생제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1에서 IgG 농도는 PB-M과 PB-L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E. coli 수는 항생제구, PB-L구, 그리고 PB-Y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시험 2에서 조지방 이용률이 생균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에서는 생균제의 처리구들에서 난각 두께와 강도가 증가하였고, 육계에서는 생산 지수는 증가하고, 사료 요구율은 감소하였다. 백혈구 지수는 산란계에서 항생제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E. coli는 산란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육계에서는 생균제 처리구들이 조지방 이용률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지수와 소장내 미생물은 육계보다 산란계에서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지종 젖소의 반추위 내 미생물 균총 변화와 고창증 발병간의 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Rumen Microflora and Bloat in Jersey Cow)

  • 김상범;오종석;정하연;정영훈;박범영;하승민;임석기;이성실;박지후;박성민;김언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6-111
    • /
    • 2018
  • 본 연구는 고창증 발병으로 폐사된 저지종 젖소의 반추위액과 캐놀라가 장착한 저지종 젖소의 반추위액을 샘플링하여 반추위 내 미생물 균총의 급작스런 변화에 따른 반추위 발효와 고창증 발병간에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채취한 반추위액 샘플은 PowerMax Soil DNA Isolation Kit (MO BIO Inc., CA, USA)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한 후 PicoGreen (Turner BioSystems, Inc., CA, USA)과 Nanodrop spectrophotometer (ND-1000, NanoDrop Technologies Inc., DE, USA)를 이용하여 260/280 nm와 260/230 nm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DNA를 정량분석하고 $MiSeq^{TM}$ platform (Illumina, CA, USA)을 이용한 장내 미생물 균총의 다양성 분석을 마크로젠(Macrogen Inc., Seoul)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반추위액 내 미생물 균총 분석 결과, 전분 분해균의 경우 고창증 발병으로 인한 폐사우의 반추위 내에서 R. bromii가 우점 하였으며, R. bromii, B. pseudolongum, B. merycicum 및 B. fibrisolvens 등과 같은 전분 분해균들이 정상우 대비 36배 높았다. 반면 반추위 발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F. succinogenes, R. albus 및 R. flavefaciens 등과 같은 대표적인 섬유소 분해균 비율은 정상우에서 고창증 발병으로 인한 폐사우 대비 12배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반추위 내 균총 가운데 R. bromii, B. pseudolongum, B. merycicum 및 B. fibrisolvens 등과 같은 전분 분해균들의 급격한 증가가 반추위 내 pH 저하 및 가스 생성 증가를 초래했고 이는 저지종 젖소의 고창증 발병으로 인한 폐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혈액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By-products of Garlic and Onion on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C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 강환구;서옥석;최희철;채현석;나재천;방한태;김동욱;박성복;김민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3-438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 사료 내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Ross) 초생추총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NC, negative control), 항생제 처리구(PC, positive control), 발효 양파 부산물 1.0% 첨가구 (T1), 그리고 발효 마늘 부산물 1.0% 첨가구 (T2)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체중은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1,752 g으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1,606 g으로 가장 낮았다. 증체량에서 역시 발효 마늘 부산물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 및 항생제 처리구보다 각각 9%와 5% 이상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양파 발효물 첨가구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는 처리 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주간 사양 실험 후 혈구 분석 및 혈액 생화학 분석 결과, 무항생제 처리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계 맹장 내유산균 수는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았으며(P<0.05), 발효 양파 부산물, 항생제 첨가구에서는, 그리고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장균수와 살모넬라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항생제 처리구와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육계 사료 내 발효 양파 및 마늘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장내 균총에 효과적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효 농산 부산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내 Cu-methionine Chelate와 Cu-soy Proteinate가 산란계의 생산성,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u-methionine Chelate and Cu-soy Proteinate on the Performance,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백인기;김찬호;박광월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03-311
    • /
    • 2008
  • 본 실험은 Cu-methionine chelate(Cu-Met)와 Cu-soy proteinate(Cu-SP)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39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R)}$) 96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6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4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 일조+조명; 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항생제구(avilamycin 6 ppm), Cu- Met 50(Cu-methionine으로 Cu 50 ppm), Cu-Met 100(Cu- methionine으로 Cu 100 ppm), Cu-SP 50(Cu-soy proteinate로 Cu 50 ppm) 그리고 Cu-SP 100(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등 총 6처리였다. 일계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과 산란지수(Hen-house egg production)는 Cu 첨가구들과 항생제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Cu-Met 100 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Cu 처리구들 간에 종류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난중에서는 항생제구와 Cu-SP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무거운 경향을 보였고, Cu-Met 첨가구들보다는 유의하게(P<0.05) 무거웠다.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Haugh unit 등 계란 품질에 있어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eukocytes와 erythrocytes 관련 모수들은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MCH)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MCH는 Cu-SP 100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청 IgG와 IgA의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 내 구리의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는데, 구리의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같은 첨가 수준에서는 Cu-SP 첨가구들이 Cu-Met 첨가구들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소장 내용물 중 Cl. perfringens의 수는 항생제와 Cu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E. coli 수는 첨가구들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Lactobacilli 수는 Cu 첨가구들이 대조구나 항생제구와 비교하였을 때 많았다. 결론적으로 Cu-Met와 Cu-SP는 산란계의 산란율 개선에 있어서 항생제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u-SP는 Cu-Met보다 난중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다른 항목들에 있어서는 Cu 공급원(Cu-Met vs Cu-SP)과 첨가수준(50 vs 100 ppm)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Cu-Soy Proteinate(Cu-SP)와 Herbal Mixture(HBM)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Cu-Soy Proteinate (Cu-SP) and Herbal Mixture (HBM) on the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roa, Immune Response in Broilers)

  • 김찬호;신광석;강환구;김지혁;황보종;최희철;문홍길;백인기;방한태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71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Cu-soy proteinate(Cu-SP)와 Herb-Mix(HBM)을 단독 또는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 면역 및 분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계(Ross308) 1,0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으로 반복 당 50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자유 섭식하게 하였으며, 35일간 전기(0~21일), 후기(22~35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처리구들은 대조구(Control : negative control), 항생제구(Antibiotics : avilamycin 6 ppm 첨가구), Cu-SP(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 HBM(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15% 첨가구, Cu-SP + HBM(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 + HBM 0.15%) 첨가구 총 5 처리구였다. 35일의 사양 시험 결과, 전기 기간(0~21일)은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량, 폐사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후기 기간(22~35일)에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량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전 기간(0~35일)에 증체량은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반면,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량은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림프구(LY)는 Cu-SP + HBM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HE : LY 비율은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다. 혈장 IgG 함량은 HBM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혈장 IgA 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해균인 Cl. Perfringens는 대조구가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E. coli와 Lactobacillus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Cu-SP와 HBM의 단독 급여나 혼합 급여는 둘 다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면역성상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장 내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