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bial qualities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발효용기로서 새 옹기와 재사용 옹기가 고추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and Reused Onggis on the Quality of Gochujang as Fermentation Container)

  • 정순경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60
    • /
    • 2009
  • 20 L 들이 부피의 발효용기에서 고추장을 발효하면서 여러 가지 성분들을 분석하였고 4개월 발효후의 고추장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용기로는 새 옹기와 한번 사용한 옹기,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고 발효 숙성은 외기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옹기가 가지는 통기성으로 인하여 발효 중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조성하여 여러 가지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옹기는 새 것보다는 한번 사용한 옹기에서 제품의 발효에 좋은 영향을 미쳐서, 높은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함량, 적은 환원당 함량, 향, 맛 전체적인 수용도의 관능적 품질을 보여주었다.

  • PDF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경남산 단감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evelopment of biological methods for improving the storage qualities of sweet persimmon harvested in Gyeongsangnam-do)

  • 조성환;김영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3-270
    • /
    • 1995
  • In order to promote the prevention of microbial and enzymatic spoilage and to retain the freshiness, sweet persimmons harvested in Gyeongsangnam-do were treated with graperfruit seed extract(GFSE)-CaCO3 mixture and stored in the proper packaging conditions. A low concentration of GFSE showed effective growth inhibition of plant pathological bacteria and fungi, Enterobacter pyrinus and Fusarium sp., which were involved in the decay of fruits and vegetables. GFSE was stable to heat treatment; its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changed by heat treatment upto 10$0^{\circ}C$.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2$0^{\circ}C$, about 90% of total activity was retained within 30 min. GFSE was also highly stable to broad pH changes; its activity was not changed in the range of pH 2.0 to pH 12.0.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cell membrane in the spores of Bacillus cereus and the hyphae of Fusarium sp.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GFSE. It was observed that treating sweet persimmons with GFSE minxture and storing them in strech-wrapped packages could prolong the greshness of sweet persimmons and reduce quality deterioration.

  • PDF

Effects of Ionizing Energy and Ozone Treatments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oe Powders and Bee Pollen

  • Yook, Hong-Sun;Chung, Young-Jin;Kim, Jung-Ok;Kwon, Oh-Jin;Kim, Sung;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97
  • The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 ozone treatment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of aloe powder and bee pollen. Gamma irradiation at 7.5~10kGy could reduce total aerobic bacteria, molds and coliforms below detection levels, but ozone treatment up to 18 ppm for 8hr was not sufficient to eliminate the microorganisms from aloe powder and bee poll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fatty acid an amino acid compositions, mineral content, TBA value, barbaloin and pigment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gamma irradiation, whereas ozon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oxidation and destruction of barbaloin and natural pigments.

  • PDF

한국형 고추장 양념 돈육포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ork Jerky Prepared with Kochujang)

  • 김현욱;이경아;한두정;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7-381
    • /
    • 2007
  • 본 연구는 육포를 실온조건과 가속조건 하에서 저장하면서 육포의 양념, 포장조건과 환경조건에 따른 육포의 미생물균수의 변화와 이화학적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육포 저장중의 일반세균수는 실온조건 저장과 가속조건 저장 모두에서 큰 변화가 없었고, 대장균군과 B. cereus는 전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의 이화학적 특성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육포에서의 관능검사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속조건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육포의 상품성이 없어지는 시점을 5라고 했을 경우 28일째에 5.54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온조건 저장의 경우 전체적인 기호도는 7.13으로 우수한 관능검사 성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새롭게 개발한 한국형 고추장 양념 돈육포는 미생물학적인 안전성이 우수하고, 이화학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우수한 육포라고 판단하였다.

떡볶이떡 품질 개선에 자몽종자 추출물과 산도 조절제의 효과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Acid Regulation Agents on the Qualities of Topokkidduk)

  • 강호진;박종대;이현유;금준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48-956
    • /
    • 2013
  •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노화현상으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점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류 제품 중 대중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가래떡의 일종인 떡볶이떡에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떡볶이떡의 품질개선을 확인해보고자 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수분, 색도, pH, 기계적 조직감, 미생물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살펴 보았다. 떡볶이떡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자몽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떡볶이 떡의 색도측정 결과 산도조절제 첨가떡의 L, a, b 값이 자몽씨 추출처리군과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떡볶이떡의 기계적 강도는 저장 온도보다 첨가제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떡볶이의 경도가 무첨가군인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는 떡볶이떡의 미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첨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가 저장중 미생물 생장을 지연시키며 저장 15일까지 품질을 유지시켜 주어 관능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첨가제로써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가 떡볶이떡의 품질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두 단백 필름 포장 방법에 따른 저장 중 쇠고기의 품질 및 미생물 변화 (Effect of Soy Protein Film Packaging on the Qualities and the Microbial Growth of Beef during Storage)

  • 이명숙;박상규;배동호;하상도;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65-568
    • /
    • 2004
  • 대두 단백 필름 포장 방법이 쇠고기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장 중 중량 감소율, pH, TBARS, 미생물 수 (총균수) 등을 측정하였다. 쇠고기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한 대두 단백 필름으로 포장 한 후 $4^{\circ}C$에 저장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대조구에 비해 포장재를 사용한 것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대두 단백 필름 포장(NPF)과 로즈마리 추출물을 첨가한 대두 단백 필름 포장(RPF)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 중 pH의 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구에 비해 pH 증가가 적었다. 유지 산패 측정 결과, 저장 8일 후 RPF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86\%$의 저해를 보였다. RPF 포장은 또한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뛰어났는데 저장 기간 중 쇠고기의 총균수를 $90\%$ 이상 감소시켰다. 따라서, 쇠고기의 저장 중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포장재로서 RPF 포장이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뛰어나 적절한 포장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누룩 종류를 달리하여 담금한 탁주 발효과정중 술덧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 한은혜;이택수;노봉수;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55-562
    • /
    • 1997
  • 재래누룩 및 Mucor racemosus, Rhizopus japonic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kawachii균을 접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탁주를 담금한 후 발효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함량은 담금직후 $2.0{\sim}3.0%$였으나 발효 16일에 $8.2%{\sim}12.6%$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Rhizopus japonicus, 재래누룩, 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oryzae와 Mucor racemosus 누룩구의 술덧 순으로 높았다. pH는 담금 직후 pH $4.85{\sim}5.50$이였으나 발효 16일에는 pH $3.40{\sim}4.20$로 저하되었고 시험구 중 Rhizopus japonicus 누룩구의 술덧에서 pH가 높았다. 총산은 담금 직후 $0.15{\sim}0.20%$였으나 16일에 $0.86{\sim}1.57%$로 증가되었으며, 발효 16일에 Mucor racemosus 누룩구에서 1.57%로 시험구중 가장 높았다. 담금직후 총당의 함량은 $16.64{\sim}17.62%$, 환원당의 함량은 $4.62{\sim}5.63%$였으나, 발효 16일에 총당 $2.38{\sim}5.27%$, 환원당 $0.45{\sim}0.74%$로 감소하였고 Rhizopus japonicus구가 총당과 환원당 함량 모두 가장 낮았다. Ethanol을 제외한 알콜류 중 iso-amyl alcohol과 iso-butyl alcohol이 탁주술덧의 주성분이고, Rhizopus japonicus 누룩구에서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yl alcohol의 함량이, Mucor racemosus 누룩구에서는 methanol의 함량이, 재래누룩구에서는 phenylethyl alcohol의 함량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발효 중 생성된 퓨젤유는 $0.002{\sim}0.411\;mg/mL$ 이었다.

  • PDF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of corn silage during aerobic exposure

  • Lee, Seong Shin;Lee, Hyuk Jun;Paradhipta, Dimas Hand Vidya;Joo, Young Ho;Kim, Sang Bum;Kim, Dong Hyeon;Kim, Sam Chu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88-995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of corn silages during aerobic exposure. Methods: Kwangpyeongok (KW) and Pioneer 1543 (PI) corn hybrids were harvested at 29.7% of dry matter and chopped to 3 to 5 cm lengths. Homo (Lactobacillus plantarum; LP) or hetero (Lactobacillus buchneri; LB) fermentative inoculants at $1.2{\times}10^5$ colony forming unit/g of fresh forage was applied to the chopped corn forage which was then ensiled in quadruplicate with a $2{\times}2$ (hybrid${\times}$inoculant) treatment arrangement for 100 days. After the silo was opened, silage was sub-sampled for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vitro digestibility, and fermentation indices. The fresh silage was continued to determine aerobic exposure qualities by recorded temperature and microbial changes. Results: The KW silages had higher (p<0.01) in vitro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than those of PI silages. Silages applied with LB had higher (p<0.001) acetate concentration, but lower (p<0.01) lactate concentration and lactate to acetate ratio than those of LP silages. The interaction effect among hybrid and inoculant was detected in acetate production (p = 0.008), aerobic stability (p = 0.006),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 (p = 0.048). The yeast was lower (p = 0.018) in LB silages than that in LP silages. During the aerobic exposure, PI silages showed higher (p<0.05) temperature and mold than KW silages, while LP silages had higher (p<0.05)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than LB silag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nges of silage temperature during aerobic exposure seems mainly affected by mold growth, while applied LB only enhanced aerobic stability of PI silages.

저온 플라즈마 처리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treated with cold plasma)

  • 김현주;이병원;백기호;조철훈;김재경;이진영;이유영;김민영;김미향;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60-563
    • /
    • 2020
  • 쌀국수의 유통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플라즈마는 컨테이너형 유전격벽 플라즈마로 방전 가스는 공기를 활용하여 0, 5, 10 및 20분 처리하였고 미생물 감균효과, 색도, 경도 및 지질산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쌀국수에 B. cereus 및 E. coli O157:H7을 접종한 후 20분간 플라즈마 처리 시 E. coli O157:H7은 2.75 log CFU/g 감소하였고,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색도 측정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 모두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지질산화가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공기로 방전된 저온 플라즈마 기술은 쌀국수의 품질안전성을 개선될 것이라고 판단되나 관능적 품질 특성 개선을 위한 적합 플라즈마 모델 선정, 포장방법 개선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자외선 LED 포장용기 시스템에 의한 포장절단당근의 품질보존 (Quality Preservation of Shredded Carrots Stored in UV LED Packaging System)

  • 김남용;이동선;안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5-140
    • /
    • 2014
  • 신선농산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장용기에 장착된 자외선영역의 LED는 저온 냉장시스템에서 지속적 조사처리 또는 간헐적 조사 처리 방식으로 활용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저장용기에 자외선영역의 280 nm, 365 nm, 405 nm LED를 각각 장착하고 대표적 신선편이식품의 하나로서 절단당근을 선택하여 $10^{\circ}C$ 온도에 저장하면서 LED 조사 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저장용기의 뚜껑 안쪽 부분에 장착된 자외선 LED는 절단당근의 표면으로부터 2 cm 높이에서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하루에 30분 간격으로 on/off를 2회 반복하여 조사하였다. 공기조건에서 절단당근에 Escherichia coli 균주를 접종한 경우와 자연적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해 본 결과,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를 한 경우 다른 파장(365 nm, 405 nm)의 조사 처리구보다 더 큰 미생물 성장 억제능력을 보여 가장 효과적이었다. 공기 조건에서 절단당근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365 nm와 405 nm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MA 조건에서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산소농도 1.2~4.3%, 이산화탄소 농도 8.4~10.6%의 가스농도로 유지하여 LED 처리에 따른 내부기체조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280 nm 자외선 LED 조사 처리가 가장 큰 미생물 성장 억제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LED 조사 효과보다 MA 포장 효과에 의해 카로티노이드 보존이 지배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A 조건에서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365 nm와 405 nm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자외선 LED를 이용하여 신선농산물 포장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저장용기에 자외선 LED를 장착함으로써 수확 후 수송, 판매, 저장 단계에서 신선농산물을 더욱 신선하게 유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