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count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31초

전해산화수로 세척한 절임 배추의 저장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Electrolyzed-Acid Water during Storage)

  • 박우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65-367
    • /
    • 2004
  • 절임 배추의 저장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배추를 절인 다음 전해산화수로 세척하고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절임 배추를 전해산화수로 세척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은 pH를 보였으며, 저장 8일까지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pH를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저장기간 동안 0.11-0.15%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도구와 처리구간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절임 배추를 전해산화수로 세척한 직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총균수가 $10^3\;CFU/mL$ 정도 낮았으나 처리구의 총균수는 저장 6일에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유산균수도 세척 직후에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저장 4일에는 대조구와 처리구의 차이가 가장 현저하였다. 저장 2일까지는 국물의 밝은 정도(L)에 있어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에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토복령 추출물 첨가로 인한 돼지갈비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Kalbi Sauce Added with Smilax china L. Extract during Storage)

  • 안정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66-174
    • /
    • 2019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저장성 증진 가능성을 보고자 돼지 갈비소스의 5주간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4주째에 총 균수는 대조군과 0.25% 첨가군에서 0.5%와 0.75% 첨가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토복령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총 균수는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토복령 추출물 0.75%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토복령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TBARS는 낮아졌으며, 0.5%와 0.75%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통한 기능성 향상과 항균 효과에 의한 저장성 강화로 식품 첨가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ynamics of Bacterial Communities of Lamb Meat Packaged in Air and Vacuum Pouch during Chilled Storage

  • Wang, Taojun;Guo, Huiyuan;Zhang, Hao;Ren, Fazheng;Zhang, Ming;Ge, Shaoyang;Luo, Hailing;Zhao, Li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9-221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ies of lamb meat packaged in the air (plastic tray, PT) and in a vacuum pouch (VAC) were assess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during the storage at $4^{\circ}C$. For the PT lamb, the total viable count (TVC) was $10^7CFU/g$ on Day 5, and the dominated bacteria were Pseudomonas fragi, P. fluorescens, and Acinetobacter spp. For the VAC lamb, the TVC was $10^7CFU/g$ on Day 9, and the dominated bacteria were lactic acid bacteria, including Carnobacterium divergens, C. maltaromaticum, and Lactococcus piscium. One strain of Pseudomonas spp. also appeared in VAC lamb. The relative abundance of Enterobacteriaceae in VAC lamb was higher than that PT lamb, indicating a more important role of Enterobacteriaceae in spoilage for VAC lamb than that of PT lamb. The microbial compositions changed faster in the lamb stored in a PT than that stored in a VAC, and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s of the late storage period were large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arly storage period for both the cond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guide improve the lamb hygiene and prolong the shelf life of the lamb.

미생물 분석에 의한 채소류 비가열 조리공정의 위생관리 기준 유효성 평가 (Valid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for Vegetable Preparation with No-Cook Step Based on Microbiological Analysis)

  • 김원경;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1호
    • /
    • pp.45-58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for vegetable preparation processes without a cooking stage. The aerobic plate counts (APC), coliform counts, and Escherichia coli of the samples at each production step were analyzed, and microbial growth of the samples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as measured. The validation was judged in accordance with the microbial criteria stipulated by the British PHLS. After washing and disinfection, the APCs of the two samples decreased to 3~4 log CFU/g in both seasons. Compared to the purchasing stage, the decrease in coliform counts was approximately 0~3 log CFU/g in both seasons; E. coli was not detected. The initial APC and coliform levels of two vegetable samples were 4~5 log CFU/g in both seasons, with an increase of 1 log CFU/g taking more than 6 h at 25℃ and 2 h at 35℃. More than 10 h at 25℃ and 6 h at 35℃ were required to increase the E. coli O157:H7 count by 1~2 log CFU/g for two seasoned samples. In conclusion, washing and disinfection effects and changes in microbial growth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were similar in the two vegetables. Despite the low sanitizing effect of the two vegetables, when cut vegetables were stored under the critical limit within 2 h at two different room temperatures, seasoned lettuce and chicory were at the 'satisfactory' or 'acceptable' levels of PHLS regardless of the storage temperatures. The validation of sanitation management standards applied to vegetable preparation with the no-cook step was approved.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lumborum and biceps femoris muscl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with wet-aging time

  • Ali, Mahabbat;Park, Ji-Young;Lee, Seong-Yun;Choi, Young-Sun;Nam, Ki-Ch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1호
    • /
    • pp.149-159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wet-aging tim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profile of longissimus lumborum (LL) and biceps femoris (BF) muscles from Korean native black goat (KNBG) meat.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pH, cooking loss, shear force, meat color, free amino acid, total bacteria, and coliform count of KNGB meat were analyzed at 0, 5, 10, and 15 days of wet-aging at 4℃ under vacuum packaging.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wet-aging times led to significant pH variations between the muscles throughout the aging period. The wet-aging time did not affect the WHC and cooking loss in meat from the LL muscle. In the BF muscle, however, meat wet-aged for five days had a significantly higher WHC and less cooking loss than meat aged for 0, 10, and 15 days. The meat from the LL muscle wet-aged for five days produced tenderer meat (low shear force value) than the unaged meat (p < 0.05). Moreover, the color was similar in the LL muscl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ging days. In the BF muscle, the redness (a*) was higher in the meat wet-aged for 15 days compared to that aged for 0, 5, and 10 days (p < 0.05). Regardless of the muscles, an increase in wet-aging time led to an increase in the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s in both muscles (p < 0.05). On the other hand, the tasty/bitter amino acid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five days of wet-aged meat than 10 and 15 days of aging from the BF muscle.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muscles, the total bacteria and coliform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five days of wet-aged meat than 10 and 15 days of aging (p < 0.05). Therefore, chevon wet-aged for five days is an optimal aging period under vacuum packaging that fortifies meat quality with a minimal microbial negative defect.

감마선 조사에 의한 증자 찰옥수수의 저장 중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nges of Steamed Waxy Corns during Storage)

  • 최재호;임지순;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2-298
    • /
    • 2006
  • 찰옥수수를 중 저온에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찰옥수수를 증자하여 진공포장한 후 감마선 조사하여 여러 온도에서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생육변화 및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증자 찰옥수수를 감마선 조사한 후 저장전에 총균수는 3 kGy 조사에서 모두 사멸하였고 곰팡이 및 효모는 34 CFU/g을 나타내었으며, $25^{\circ}C$에서 7개월간 저장 후에 총균수 및 효모, 곰팡이는 대조구에서 $7.1{\times}10^6CFU/g,\;1.9{\times}10^7CFU/g$를 나타내었으나 3 kGy 조사구에서는 총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5 kGy에서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15^{\circ}C$$4^{\circ}C$에 저장하였을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직후 각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경도의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선량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circ}C-25^{\circ}C$에서 7개월간 저장 후 초기 수분함량$65{\sim}70%$에서 약 30%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저장 기간 동안 무처리구와 감마선 처리구에서의 수분 함량과 조사선량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각 처리구 모두 비조사구가 감마선 조사구에 비하여 많이 용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환원당 용출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마선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좋았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시판김치의 김치담금부터 숙성까지의 미생물 균총 변화 (Change in the Microbial Profiles of Commercial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장지윤;최유리;장해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86-794
    • /
    • 2011
  • 국내 김치 산업체의 김치위생상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찬가게김치,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를 $10^{\circ}C$에서 10일간 발효하면서 발효시간에 김치의 일반특성 및 미생물 균총 변화를 조사하였다. 3종류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pH는 평균 5.8에서 발효 10일에는 pH 4.1 부근으로 감소하였으나, 대기업김치가 다른 시판김치에 비해 발효초기 급격한 pH 감소를 나타내었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산도는 대기업김치가 다른 두 종류의 시판김치보다 낮았으나, 발효 10일에는 세 종류의 시판김치 모두 1.1% 정도의 산도를 나타내었다. 시판김치의 염도는 중소기업김치가 다른 두 시판 김치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시판김치의 당도는 반찬가게김치가 중소기업김치와 대기업김치보다 다소 높은 당도를 나타내고 시료별 당도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총균수와 유산균의 수는 대기업 김치가 다른 두 시판김치에 비해 높은 수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입당일 시판김치 내 유산균외 그람양성 세균수는 반찬가게김치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 순이었으며, 발효 10일까지 거의 비슷한 수준의 균수가 검출되었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포함한 그람음성 세균수는 반찬가게김치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 순으로 나타났다. 반찬가게김치의 그람음성 세균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발효 10일까지도 검출된 반면, 중소기업김치와 대기업김치는 발효 8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가 과숙됨에 따라 산도 저하와 함께 검출되는 효모는 산도0.36%이하의 익지 않은 반찬가게김치(구입당일)와 중소기업김치(발효 2일차)에서도 검출되었으나, 대기업김치는 산도가 0.96% 이상인 발효 8일째부터 검출되었다. 제조회사별 김치에 존재하는 유산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균으로는 Bacillus 속이, 그람음성균으로는 E. coli, Enterobacter 속, Sphingomonase 속, Stenotrophomonas 속 등이 공통적으로 검출되었으며 그 분포는 시판김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의 세계화와 김치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김치의 제조관리에 보다 위생적이며 체계적으로 매뉴얼화된 생산공정 확립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High-Pressure Treatment with Citrus Peel Extract on the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Marinated Chicken Breast Meat

  • Kim, Hyun-Joo;Alahakoon, Amali U.;Jayasena, Dinesh D.;Khan, Muhammad I.;Nam, Ki Chang;Jo, Cheorun;Jung, Samooel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5-221
    • /
    • 2015
  • Chicken breast meat samples were injected with marinade solution (salt, sugar, phosphate, monosodium glutamate, and nucleic acid) with or without 2% citrus peel extract (CPE), and then a subset were irradiated with a 1 or 2 kGy electron beam (EB) and/or subjected to high-pressure (HP) at 300 or 400 MPa. The initial total aerobic bacterial (TAB) count of the control sample was 4.57 log CFU/g and reached 7.17 log CFU/g after 3 days of storage at $4^{\circ}C$. The 2 kGy EB reduced the TAB count to 4.61 log CFU/g after 7 days. The 400 MPa HP treatment was also effective in reducing the TAB count, but the effect was slightly less than that noted with the 2 kGy EB. The CPE, in combination with the EB and HP, decreased the TAB count by 1.71 and 1.32 log CFU/g at the initial stage and further decreased the count during storage. The 2 kGy EB and the HP (300 and 400 MPa) increased the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value, whereas the CPE did not show an antioxidative effect. The EB and HP caused no difference in the sensory qualities. In contrast, the CPE decreased all sensory qualities tested. Sensory panelists commented that the samples with CPE were not in the "rejection" category but were "unfamiliar" for chicken breast meat. In conclusion, the EB was more effective than HP in improving the microbial quality of marinated chicken breast meat. The use of CPE in the marinade solution may synergistically increase the shelf lif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formulation to ensure that the sensory qualities are maintained.

배추김치의 자동화 제조 공정 중 미생물 분석 (Microbial Analysis of Baechu-kimchi during Automatic Production Process)

  • 김지선;정지윤;조승기;김지은;김태집;김범수;한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1-286
    • /
    • 2010
  • 본 연구는 자동화된 상업용 배추김치 제조공정 중에서 원료와 공정별로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김치제조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별로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결과, 마늘, 생강, 고추가루에서 많은 수의 호기성 박테리아, 젖산균, Leuconostoc, 그리고 효모가 검출되었으며, 이로써 위 부원료들이 김치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었다. 김치를 제조하는 공정 별로 미생물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배추절임 공정에서 총 균수가 증가하였고 그 이후 세척공정에서는 단지 미생물수를 1 log CFU/g 줄이는데 그쳐 미생물 수 감소효과는 적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효모 또한 다양한 부재료와 최종 김치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품에 최종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수를 줄이고자 한다면 위의 원료 중에서는 위의 부재료에 대해, 그리고 제조공정에서는 절임에 사용되는 천일염과 절임탱크에 대해 적절한 살균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또한 차염소산 살균 공정은 절임과 세척공정 사이에 위치해야만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검출된 효모에 대한 저해 수단으로 적절한 저해제의 첨가도 고려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장김치의 HACCP 구축과 개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누룽지 생산시설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Nuroong-ji)

  • 도윤호;최정식;정유경;박지현;노경환;김성수;최신영;이경윤;한의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40
    • /
    • 2010
  • 누룽지 제조시설에서 공중낙하균, 작업장 내 시설 및 환경, 제조 종사자, 제조기기 및 주변기구, 원재료,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조사하였다. 오염도는 취급하는 재료의 종류와 처리공간의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원재료를 비롯한 설비와 기구들의 오염은 심각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교차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람의 간섭도가 높은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나 개인위생관리가 중요하다. 누룽지의 제조 공정 중 굽기공정($120{\sim}170^{\circ}C$, 약 10여분)에 의해서 미생물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굽기공정을 표준화하고 이와 관련된 기구 및 시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중소규모 식품제조시설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관리를 위해서는 위생시설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종사자의 위생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