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Culture

검색결과 878건 처리시간 0.033초

테크네슘 방사성의약품의 조제와 분배 과정에서 오염균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a Bacteria Contamination Management in the Dispensation of 99mTc Radiopharmaceutical)

  • 최도철;김영수;조광모;김희정;서한경
    • 핵의학기술
    • /
    • 제22권2호
    • /
    • pp.84-87
    • /
    • 2018
  • 핵의학과에서 사용하는 방사성의약품은 판매를 하지 않고 의사의 처방이나 지시에 따라 특정 환자에게만 사용하므로 조제에 해당하고, 이를 분배하여 검사에 이용한다. 환자에게 투여되는 방사성의약품은 조제와 분배과정에서 방사선안전관리 뿐만 아니라 무균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의약품의 조제 및 분배과정에서 적절한 환경오염균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일반작업대와 무균작업대에서 조제 및 분배되어진 방사성의약품의 미생물배양시험을 각각 5회 실시하였다. 두번째로 양쪽 작업대 내에서의 낙하균시험을 배기필터 사용 전과 후 각각 3회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균수를 측정할 수 있는 아데노신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ATP) 측정시험을 양쪽 작업대에 각각 실시하였다. 추가로 분배 및 조제의 과정에서 오염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위치와 물품을 지정하여 ATP측정시험을 실시하였다. 미생물배양시험은 양쪽의 샘플 모두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았다. 낙하균시험에서는 일반작업대에서 배기필터 사용하지 않았을 때 1회 균이 검출되었다. ATP측정시험에서는 양쪽 작업대 모두에서 오염기준치인 400 RLU 이하의 수치로 측정되었다. 추가로 실시한 ATP측정시험에서는 분배실 내 냉장고 손잡이1217 RLU, 테크네슘 제너레이터의 진공바이알 차폐체 435 RLU, 실린지홀더에서 1357 RLU로 기준치 이상 측정되었고 환경소독제로 소독 후 다시 측정한 결과 각각 311 RLU, 136 RLU, 291 RLU로 낮게 측정됨을 알 수 있었다. 무균작업을 위한 청결한 작업구역을 설정하고 작업대의 배기필터는 항상 사용해야 하며, 적절한 손위생과 보호구를 착용한다면 미생물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무균처리를 위한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속배양 체제에서의 침출수 미생물에 의한 6가 크롬이온의 환원 (Reduction of Hexavalent Chromium by Leachate Microorganisms in a Continuous Suspended Growth Culture)

  • 김현영;오영숙;김영관;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26-131
    • /
    • 1998
  • 침출수 미생물에 의한 크롬 6가이온의 3가이온으로의 환원을 회분식 배양 및 실험실 규모의 연속배양체제에서 연구하였다. 회분식 배양에 있어서 다양한 범위는 침출수 (10~60%)와 glucose (50~200 mM)를 첨가한 최소배지에서 초기 농도 $20mg\;L^{-1}$의 크롬(VI)을 첨가한 경우 72시간내에 최대 90%의 크롬(VI)이 침출수 미생물에 의하여 환원되었다. 이때 glucose의 첨가는 크롬환원을 촉진시켰으나, 배지내 침출수 비율의 증가는 오히려 크롬환원을 저해하였다. 후자의 경우는 침출수에 존재하는 황산이온이 크롬이온과 경쟁적 저해를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연속배양 실험은 124일간 상온에서 크롬(VI)의 농도를 $5{\sim}65mg\;L^{-1}$로 증가시키면서 수행하였으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36시간일 때 $5{\sim}50mg\;L^{-1}$의 크롬농도 범위에서의 환원은 거의 10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81.2%의 환원효율을 보인 101~124일 구간에서 계산된 specific reduction rate는 $3.492mg\;g^{-1}\;protein\;h^{-1}$였다. 이상의 결과는 침출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크롬은 함유한 다양한 침출수 또는 피혁폐수의 크롬 무독화과정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 PDF

Combination of an Enzymatically Hydrolyzed Yeast and Yeast Culture with a Direct-fed Microbial in the Feeds of Broiler Chickens

  • Gomez, S.;Angeles, M.L.;Mojica, M.C.;Jalukar,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65-673
    • /
    • 2012
  • A balance tri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an enzymatically hydrolyzed yeast (EHY) and yeast culture combined with a live Bacillus subtilis (Bs) on the productive parameters, ileal digestibility, retention of nutrient and energy and villus morphology in broilers. Seventy two 28 d old, Ross B308 male broilers were assigned to a factorial combination of 2 levels of EHY (0 and 1 kg/ton of feed) and 2 levels of Bs (0 and 125 g/ton of feed). The experiment lasted 2 weeks. Several treatme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EHY-fed broilers showed the lowest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hereas Bs-fed broilers showed the highest feed intake and intermediate feed conversion ratio (EHY and BS interaction, p<0.05). Also, EHY-fed broilers had greater ile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EHY and BS interaction, p<0.01) and energy (EHY and BS interaction, p<0.05) but these responses were counterbalanced by the combination of EHY and Bs. The thickness of the mucosa was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EHY-fed broilers, but was lowest when Bs was added alone (EHY and BS interaction, p<0.01). The thickness of the villus was greater in EHY plus Bs-fed broilers, intermediate for the control and lower for Bs or EHY-fed broilers (EHY and BS interaction, p<0.05). The area of the villus was greater in the control and EHY plus Bs-fed broilers (EHY and BS interaction, p<0.05). In addition, EHY-fed broilers showed greater breast yield and nitrogen retention (p<0.01) and ashes digestibility (p<0.05). On the other hand, Bs-fed broilers had greater carcass and breast weight, nitrogen retention, energy excretion and villus height (p<0.05). In summary, EHY and Bs enhanced some growth, carcass and nutrient retention responses, but did not show any synergic relationship in these responses. Opposite to thi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HY on the feed conversion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were counterbalanced by the addition of Bs.

Clostridium ljungdahlii 배양에서 배지 조성에 따른 균주 성장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대한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Cell Growth and Bioethanol Production in Clostridium ljungdahlii Culture)

  • 안보혜;박소은;김영기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419-424
    • /
    • 2018
  • 무기탄소원으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하는 acetogenic 박테리아인 Clostridium ljungdahlii 발효공정에서 배양 배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 향상을 시도하였다. 균주 성장 및 에탄올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지 구성성분으로 yeast extract, fructose, $NH_4Cl$, $K_2HPO_4$를 선정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으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 기본 배지 농도보다 낮은 0.05 g/L에서 가장 높았다. Fruc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은 증가하였지만 5 g/L을 초과하는 fructose 투입은 에탄올 생산을 감소시켰다. Yeast extract 5 g/L인 조건에서 fructose 5 g/L와 넣었을 때 에탄올 생산농도가 0.297 g/L로 가장 높았으나, fructose를 넣지 않았을 때 매우 낮은 균주 농도로 인해 에탄올 비생산성은 0.281 g/g DCW로 높았다. $NH_4Cl$은 균주 성장이나 에탄올 생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0 g/L 이상 과다 투입하면 성장저해가 나타났다. $K_2HPO_4$에 대해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 성장과 에탄올 생산이 모두 증가하였다. $NH_4Cl$$K_2HPO_4$를 사용한 경우 에탄올 비생산성은 yeast extract를 적게 사용한 경우 크게 나타났다.

Comparison of α1-Antitrypsin, α1-Acid Glycoprotein, Fibrinogen and NOx as Indicator of Subclinical Mastitis in Riverine Buffalo (Bubalus bubalis)

  • Guha, Anirban;Guha, Ruby;Gera, Sandee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788-794
    • /
    • 2013
  • Mastitis set apart as clinical and sub clinical is a disease complex of dairy cattle, with sub clinical being the most important economically. Of late, laboratories showed interest in developing biochemical markers to diagnose sub clinical mastitis (SCM) in herds. Many workers reported noteworthy alternation of acute phase proteins (APPs) and nitric oxide, (measured as nitrate+nitrite = NOx) in milk due to intra-mammary inflammation. But, the literature on validation of these parameters as indicators of SCM, particularly in riverine milch buffalo (Bubalus bubalis) milk is inadequate. Henc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comparing several APPs viz. ${\alpha}_1$-anti trypsin, ${\alpha}_1$-acid glycoprotein, fibrinogen and NOx as indicators of SCM in buffalo milk. These components in milk were estimated using standardized analytical protocols. Somatic cell count (SCC) was done microscopically. Microbial culture was done on 5% ovine blood agar. Of the 776 buffaloes (3,096 quarters) sampled, only 347 buffaloes comprising 496 quarters were found positive for SCM i.e. milk culture showed growth in blood agar with $SCC{\geq}2{\times}10^5$ cells/ml of milk. The cultural examination revealed Gram positive bacteria as the most prevalent etiological agent. It was observed that ${\alpha}_1$-anti trypsin and NOx had a highly significant (p<0.01) increase in SCM milk, whereas, the increase of ${\alpha}_1$-acid glycoprotein in infected milk was significant (p<0.05). Fibrinogen was below detection level in both healthy and SCM milk. The percen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predictive values and likelihood ratios were calculated taking bacterial culture examination and $SCC{\geq}2{\times}10^5$ cells/ml of milk as the benchmark. Udder profi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lso used. Allowing for statist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alpha}_1$-anti trypsin indicates SCM irrespective of etiology, whereas ${\alpha}_1$-acid glycoprotein better diagnosed SCM caused by gram positive bacteria. NOx did not prove to be a good indicator of SCM. It is recommended measuring both ${\alpha}_1$-anti trypsin and ${\alpha}_1$-acid glycoprotein in milk to diagnose SCM in buffalo irrespective of etiology.

Supplementing Rhodobacter sphaeroides in the diet of lactating Holstein cows may naturally produce coenzyme Q10-enriched milk

  • Bae, Gui-Seck;Choi, Ahreum;Yeo, Joon Mo;Kim, Jong Nam;Song, Jaeyong;Kim, Eun Joong;Chang, Moon Bae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40-46
    • /
    • 2018
  •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Rhodobacter sphaeroides (R. sphaeroides) supplementation as a direct-fed microbial (DFM) on rumen fermentation in dairy cows and on coenzyme Q10 (CoQ10) transition into milk, an in vitro rumen simulation batch culture and an in vivo dairy cow experiment were conducted.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rumen fluids from six cannulated Holstein dairy cows at 2 h post-afternoon feeding. A control treatment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s based on a typified total mixed ration (TMR) for lactating dairy cows, which was identical to the one used in the in vivo study, plus R. sphaeroides at 0.1%, 0.3%, and 0.5% TMR dry matter. The in vivo study employed six ruminally cannulated lactating Holstein cows randomly allotted to either the control TMR (C-TMR) treatment or to a diet supplemented with a 0.5% R. sphaeroides culture (S-TMR, dry matter basis) ad libitum. The presence of R. sphaeroides was verifie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pplied to the bacterial samples obtained from the in vivo study. The concentration of CoQ10 in milk and in the supernatant from the in vitro study was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The results of the in vitro batch culture and DGGE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CoQ10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 h of R. sphaeroides supplementation above 0.1%. When supplemented to the diet of lactating cows at the level of 0.5%, R. sphaeroides did not present any adverse effect on dry matter intake and milk yield.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CoQ10 in milk dramatically increased, with treated cows producing 70.9% more CoQ10 than control cows. Conclusion: The CoQ10 concentration in milk increased via the use of a novel DFM, and R. sphaeroides might be used for producing value-added milk and dairy products in the future.

배양 분리법을 통한 젓갈 내 원핵 세균 군집 분석 및 신규 미생물의 분리 (Analysis of Prokaryote Communiti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Jeotgal, Using Culture-Dependent Method and Isolation of a Novel Strain)

  • 김민수;박은진;정미자;노성운;배진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6-31
    • /
    • 2009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인 젓갈로부터 배양 분리법과 분자생물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원핵 세균 군집을 분석하고, 신규 미생물 분리를 목표로 하였다. 젓갈은 생산 지역과 주재료를 고려하여 17 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젓갈 시료를 적정 희석배수로 희석하여 12종류의 미생물 선택배지에 도말, 배양한 후 나타난 집락(colony)을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308개를 선정하여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미생물은 PCR 방법을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기존에 보고된 미생물 database와 비교함으로서 17종의 젓갈 내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다. 젓갈의 발효 및 숙성 과정에 관여하는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속, Weisella 속, Lactococcus 속, Lactobacillus 속, Carnobacterium 속, Marinilactibacillus 속, Tetragenococcus 속)와 Bacillus 속, Pseudomonas 속, Micrococcus 속, Brevibacterium 속, Microbacterium 속과 Kocuria 속이 17가지 젓갈에서 광범위하게 분리되었으며, Salinicoccus 속, Halomonas 속, Cobetia 속, Lentibacillus 속, Paracoccus 속, Psychrobacter 속이 소수 분리되었다. 또한 분리된 미생물의 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보고된 적이 없는 신규 미생물 14종을 분리하였다.

Aspergillus awamori와 Zymomonas mobilis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의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Neupectin-L의 영향 (Effect of Neupectin-L on Ethanol Production from Raw Starch Using a Co-Immobilized Aspergillus awamori and Zymomonas mobilis)

  • 이상원;조용운;김홍출;박석규;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89-94
    • /
    • 1997
  • Aspergillus awamori(A)와 Zymomonas mobilis(Z)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A-Z 36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전분으로 부터 직접 에탄올생산을 행할 때 투입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목적으로 비가열살균 배양법을 검토하였다. A-Z 36계에 의한 비가열살균 배양은 배지에 함유된 세균 때문에 어려웠다. Sorbic aci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tocil IB, Neupectin-L 등의 여러 가지 살균제 중에서 Vantocil IB와 Neupectin-L은 잡균의 오염없이 대조구와 비슷한 속도로 기질을 분해하였다. 0.1% Neupectin-L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은 6.9 g/l(대조구 : 6.4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Y_{p/s}:0.39)$. 0.1% Neupectin-L을 첨가한 유가배양에서는 2%기질을 기본으로 5회분의 기질을 첨가하여 34 g/l 에탄올을 얻어 2.0 g/l/day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 PD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의 특성 및 병원성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근광;김명곤;박일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35-439
    • /
    • 1995
  • 바이러스 살충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HcNPV)의 일부 특성과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HcNPV는 Spodoptera frugiperda (Sf)세포의 핵에서 복제 되었으며, 바이러스를 감염 시켰을 경우 감염 24시간 후에 prepolyhedra 형성이 관찰 되었고, 감염 48시간 후에는 성숙된 많은 polyhedra가 전체세포에서 관찰 되었으며, 감염 72시간 후에는 polyhedra가 세포밖으로 방출 되었다. 또한 세포는 부유 배양에서 잘 성장 하였으며,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전의 세포 배양액은 pH가 6.35이었으나 이주 점차 증가하여 감염 120시간 후에는 pH가 6.77이었다. Polyhedra inclusion body(PIB)를 설탕 밀도구배 원심 분리한 결과 $50{\sim}55%$ 부근에서 벤드가 형성 되었고, polyhedra는 도립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하에서 관찰한 결과 대부분 4변형의 6면체(tetragonal hexahedron) 이었고, PIB의 크기는 평균 $2.5{\mu}m$이었다. 또한 감염 48시간 후에 polyhedra 속에는 다발을 형성한 비리온이 봉입 되어 있었다. 흰불나방 유충에대한 병원성 시험에서는 4령에서 보다는 2령과 3령의 유충에서 치사율이 높았고, $1.5{\times}10^{9}{\sim}l.5{\times}10^{7}PIB/ml$로 섭식시킨 구룹에서는 2령과 3령 유충에서 9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 내었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미생물 생육 저해 (Microbial Inhibition of Lactic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 박연희;권정주;조도현;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35-40
    • /
    • 1983
  • 김치에 분리한 젖산균 20주(株)의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등 5종의 Test organism에 대한 생육저해실험 결과 가장 생육저해능력이 큰 A7 (Pediococcus cerevisiae)와 C4 (Leuconostoc spp.)를 선발하였다. 이 두 균주를 각각 Escherichia coli와 동시에 접종하여 배양한 결과 초기부터 Escherichia coli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약 24시간 후부터는 Escherichia coli의 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하여도 .대체로 비슷한 생육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세가지 Test organism 모두 A7과 배양할 경우 C4의 경우보다 더 큰 death rate constant를 나타내었다 이 혼합 배양액에 catalase를 첨가한 경우 생육저해현상에 영향이 없었으므로 이 두 균주의 생육억계작용은 $H_2O_2$ 생성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7의 배양 여액만을 Escherichia coli 배양액에 첨가한 경우에도 A7균주의 혼합 배양과 동일한 생육저해 현상을 보였으나 여액을 $8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후 가하였을 때는 생육저해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여액에 trypsin 처리한 경우에도 생육저해작용은 크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A7 균주의 생육저해작용은 단백질류 생육저해물질의 생산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