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stearat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5초

Characterization of Ion Fragmentations of Fatty Acids

  • 최성신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6호
    • /
    • pp.573-578
    • /
    • 1997
  • Ion fragmentations of fatty acids such as stearic acid, palmitic acid, myristic acid, and lauric acid were studied using mass spectrometry and semiempirical calculations. The mass spectra of fatty acids showed the distributions of CH₃(CH₂)$_n^+$ and $[(CH_2)_nCO_2H]^+$ fragment ions. The relative ion abundance distributions of $[(CH_2)_nCO_2H]^+$ showed the local maxima at n=6, 10, and 14. The local maximum phenomena were also found in the mass spectra of methyl stearate but not in those of normal alcohols. These local maxima could be explained not by heats of reaction for fragmentation but by the cyclic structures of the molecular ions. The AM1 semiempirical calculations for fatty acids clearly show that the linear structures are more favorable than the cyclic ones for neutral molecules while the cyclic structures are more favorable than the linear ones for ionic molecules. The distances between carboxyl group and methylene of the cylic structures of ionized fatty acids were calculated. The methylene carbons with n=6, 10, and 14 were closer to the carboxyl group than adjacent ones.

당류계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O/W 에멀젼의 구조 (Structures of OH Emulsion Prepared with Saccharide Surfactants)

  • 홍세흠;한창규;조춘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1-274
    • /
    • 2000
  • 당류계 계면활성제인 sucrose distearate(S110), sucrose monostearate(S160), POE(20) ethyl glucose stearate(SSE20)과 오일성분인 알칸 계열의 탄화수소 hexane( $C_{6}$), decane( $C_{10}$), tetradecane( $C_{l4}$), octadecane( $C_{8}$)과 squalane (SQ) , liquid paraffin(LP) , octylpalminate(OP) , octylstearate(OS), alkylbenzoate(AB), isostearylbenzoate(ISB)를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에멀젼 입자의 구조 형태는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fractal 차원으로 나타내었다. 에멀젼 입자의 fractal 차원은 오일의 농도 및 탄소수와 오일의 비극성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fractal 차원은 대부분 1.7~2.8으로 입자의 구조 형태는 fractal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S110계와 S160계의 Cla 50, LP의 fractal 차원은 3.0~3.2으로 내부 구조가 비교적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형성하였다. S160계와 S110계의 fractal 차원은 2.I~2.6으로 서로 비슷한 fractal 구조를 형성하며, SSE20의 fractal 차원는 1.5~2.1으로 S160계 및 S110계 보다 덜 조밀한 회합체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자의 구조 형태는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며 계면활성제의 친수부가 동일하면 비슷한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S160의 친수부 구조인 sucrose보다 SSE20의 polyoxyethylene group에 의한 장애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다..

  • PDF

리기다소나무재(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물(抽出物)과 그 tall oil 간의 조성(組成)의 차이(差異) (Difference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Petroleum Ether Extract and its Tall Oil in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 고상운;안운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79-89
    • /
    • 1988
  • 본(本) 실험(實驗)은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를 petroleum ether로 추출(抽出)한 추출액(抽出被)과 흑액(黑液)으로부터 얻은 tall oil과의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액(抽出液)과 tall oil 을 DEAE-Sephadex 칼럼과 aluminum oxide 칼럼을 사용하여 수지산(樹脂酸)과 지방산(脂肪酸)으로 분리(分離)한 후 이를 개스크로마토 그래프로 분석(分析)하였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얻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액(抽出液힘)과 tail oil은 주로 수지산(樹脂酸)으로 구성(構成)되어 있고 특히 abietic-type acide의 함량(含量)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tall oil의 조성(組成)은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물(抽出物)에 비(比)해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한 반면 수지산(樹脂酸)은 감소(減少)하였고, 증해시(蒸解時) 고온(高溫)과 증해약품(蒸解藥品)에 의하여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의 이중결합(二重結合) 위치(位置)의 변화(變化) 및 이성질화(異性質化)에 의하여 미확인(未確認) 물질(物質)의 양(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