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Sulfide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9초

구취발생과 구강환경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litosis Developments and Oral Environmental)

  • 지윤정;김정술;이정화;전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07
    • /
    • 2010
  • 본 연구는 구취의 원인을 분류하고, 각 성분들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환경 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구취환자 개개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구취관련의 올바른 보건교육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으며, 2009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1일까지 1년간 대도시 소재 치과병원 외래환자 9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취의 각 성분인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및 Ammonia의 평균 수치는 Hydrogen sulfide 36.71 ppb, Methyl mercaptan은 31.46 ppb, Dimethyl sulfide는 54.33 ppb, Ammonia는 22.60 ppm로 나타났고, 정상과 역치 이상의 검출비교 결과 Dimethyl sulfide는 46.9%가 역치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Ammonia는 연구대상자 중 52%가 역치 이상으로 검출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Hydrogen sulfide 성분의 양에 따라 Dimethyl sulfide 성분의 양, 설태의 양과 타액 분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Methyl mercaptan 성분의 양은 Dimethyl sulfide의 성분과 설태량, 타액 분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Dimethyl sulfide성분의 양은 Hydrogen sulfide성분, Ammonia성분과 관련이 있었으며, 설태의 양, 타액분비율, 타액내 수소이온농도지수와도 관계가 있었다(p<0.05). 5. Ammonia성분은 Methyl mercaptan성분과 Dimethyl sulfide성분, 치주필요지수(CPI), 타액 분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octanel-sulfide의 산화반응 중 생성되는 반응성 중간체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s of Reactive Intermediate formed in the oxidation of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 octane 1-sulfide)

  • 김정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27-234
    • /
    • 1996
  • 4-Methyl-2,6,7-trioxa-1-phospbicycle[2,2,2]octane 1-sulfide (BPS)와 4-Methyl-2,6,7-trioxa-1-phosphabicyclo[2,2,2]octance 1-oxide (BPO) 및 관련 단고리화합물을 합성하였고 반응성 중간체와 반응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BPS를 chloroform 및 methanol중에서 MCPBA로 산화시켰다. Chloroform에서는 BPO만이 생성되었고 methanol중에서는 두고리 구조가 열려서 만들어진 반응성 중간체가 methanol을 인산화하여 생성된 이성질체의 단고리화합물이 관찰 되었으며 또한 소량의 BPO도 생성되었다. 인산화 능력을 소유한 반응성 중간체를 여러 가지 기기분석을 동원하여 연구한 결과 그 구조는 단고리 methyl sulfenyl ester로 제안하였다.

  • PDF

마늘 정유물의 향기성분 및 저장 안정성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 조길석;김현구;하재호;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0-845
    • /
    • 1990
  • 마늘에서 정유물을 증류하고 그 정유물의 휘발성 성분분석 및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유물을 포집하는데 사용한 pentane과 dichloromethane의 비는 2 : 1이었고, 정유물의 수율은 0.8 mm의 크기로 마쇄처리한 시료의 경우가 0.35%였고, 통마늘의 경우는 0.07%였다. 마늘 정유물에서 dimeth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1-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의 6종류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가 주요한 휘발성 성분이었다. 마늘 정유물을 $5^{\circ}C$$25^{\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 중 품질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 PDF

흑마늘와인 제조과정 중 숙성칩의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 변화 (Change in Flavor Components of Black-fermented Garlic Wine according to the Type of Chip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김경환;김진희;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7
    • /
    • 2014
  • 흑마늘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해보고 숙성 칩의 종류에 따른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흑마늘 와인을 제조한 후, 저장 조건으로 미국산 칩과 프랑스산 칩을 이용하여 3개월간 $10^{\circ}C$에서 숙성하여 흑마늘 와인을 완성하였다. 향기 성분을 분석을 위하여 GC/MS를 이용하였다. 미국산 칩을 사용한 경우 주요 향기성분으로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2-methyl-1-butanol, acetaldehyde, butanoic acid, octanoic acid, 1,1-diethoxyethane, allyl methyl sulfide가 검출되었다. 프랑스산 칩을 사용한 경우에는 1-propanol, 2-methyl-1-propanol, 3-methyl-1-butanol, acetaldehyde, acetic acid, propanoic acid, butanoic acid, octanoic acid, 2-heptanone, 1,1-diethoxyethane, N-amino32-hydroxypropanamidate, n-butylamine, chloroacetonitrile, allyl methyl sulfide가 주요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미국산 칩을 사용한 와인에서 과일향성분인 n-propylacetate, butanoic acid, octanoic acid가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흑마늘에서 기인된 allyl methyl sulfide는 미국산 칩을 사용한 경우에서만 검출이 되었다. Acetic acid는 프랑스산 칩을 이용한 경우에만 검출되었다.

가열에 의한 김치의 pH, 관능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 (Changes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 고영태;백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23-1126
    • /
    • 2002
  • 김치를 $25^{\circ}C$에서 4일간 숙성시킨 후, pH와 관능성을 관찰하고 몇가지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H는 가열에 의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가열된 시료, 특히 40분 가열시료의 기호도수치가 높았으며 3시료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산미, 맛, 냄새, 조직감의 경우도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형태의 경우는 3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 냄새성분의 결과를 보면 reference(비가열시료)는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같은 5종의 황함유성분과 ethanol이 검출되었는데, $100^{\circ}C/10$분시료는 ethanol과 methyl allyl sulfide만 검출되고 그 함량도 reference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100^{\circ}C/40$분 시료는 $100^{\circ}C/10$분 시료와 비교하여 ethanol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고 methyl allyl sulfide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Semiempirical MO Study on Malonyl-CoA. 1. Malonic Acid and Malonyl Methyl Sulfide

  • 유인기;김영주;김시춘;김유삼;강영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2호
    • /
    • pp.112-120
    • /
    • 1995
  • The conformational study on malonic acid, hydrogen malonate, malonate, malonyl methyl sulfide, and malonyl methyl sulfide anion, as the model compounds of malonyl-CoA, was carried out using the semiempirical MO methods (MNDO, AM1, and PM3) and hydration shell model. On the whole, the feasible conformations of malonic acid, hydrogen malonate, and malonate seem to be similar to each other. In malonic acid and malonate, two carboxyl groups are near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carbon skeleton, despite of different orientation of two carboxyl groups themselves. In particular, two carboxyl groups of hydrogen malonate are on the plane formed by carbon atoms with an intramolecular hydrogen bond. The calculated results on the geometry and conformation of three compounds are reasonably consistent with those of X-ray and spectroscopic experiments as well as the previous calculations. The orientation of two carbonyl groups of malonyl methyl sulfide is quite similar to that of malonic acid, but different from that of its anion. Especially, the computed probable conformations of the sulfide anion by the three method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ole of hydration seems not to be crucial in stabilizing the overall conformations of malonic acid, hydrogen malonate, malonate, and malonyl methyl sulfide. However, the probable conformations of the unhydrated sulfide anion obtained by the MNDO and AM1 methods become less stabilized by including hydration. The AM1 method seems to be appropriate for conformational study of malonyl-CoA and its model compounds because it does not result in the formation of too strong hydrogen bonds and significant change in conformational energy from one compound to another.

건조마늘과 기름에 볶은 마늘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reeze Dried Garlic and Garlic Roasted with Oils)

  • 서혜민;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2-341
    • /
    • 2007
  • 마쇄한 생마늘과 생마늘을 동결건조한 분말의 함황화합물과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늘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고, 마늘과 동결건조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180^{\circ}C$에서 각각 5분간 볶은 6개의 시료를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마늘의 독특한 향기를 나타내는 sulfur compounds로서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이 확인되었으며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이 sulfur compounds 성분들은 마늘의 총 향기성분의 98%를 차지하여 마늘의 주요 구성분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건조마늘에서 확인된 향기성분은 마늘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ldehyde, alcohol, furans, esters가 생성되어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마늘의 것보다 더 많았으나 sulfur compounds와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마늘의 것보다 감소하였다. 콩기름에 볶은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은 크게 감소하여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의 20%에 불과하여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하였을 때 allicin의 분해 생성물인 많은 양의 3,4-dihydro-3-vinyl-1,2-dithiin과 2-vinyl-4H-1,3-dithiin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가열하였을 때 마늘의 아미노산과 당류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2-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5-methyl pyrazine 등 17개의 pyrazine이 관찰되었다. 건조마늘을 참기름에 볶은 시료에서 확인된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모든 마늘시료 중에서 가장 많았고 향기성분의 총 함량도 마늘의 것과 거의 동일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sulfur compounds의 함량은 마늘의 27%에 해당되었다.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그 함량이 마늘 자체의 것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은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이었다. 마늘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마늘의 독특한 향기성분을 내는 diallyl disulfide는 건조하여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파괴되어 완전히 소멸되었다.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Kimchi by Freeze-drying)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9-564
    • /
    • 2002
  • 김치를 각각 다른 온도에서 일주일간 숙성시킨 후, 먼저 젖산균수와 관능성을 관찰하고 동결건조시킨 후,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숙성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시료의 pH는 저하하였고 $25^{\circ}C$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젖산균수는 증가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0^{\circ}C$의 경우는 표준시료와 차이가 없었으나, $5^{\circ}C$, $15^{\circ}C$, $25^{\circ}C$의 관능적 특성은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하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은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같은 황함유성분 5종과 ethanol이며, 이 중에서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ethanol은 시료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김치의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dimethyl disulfide와 diallyl disulfide는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24시간 동결건조의 경우는 이상의 모든 휘발성 냄새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48시간 동결건조에 의하여 시료에 따라서는 24시간과 거의 같거나 24시간보다 더 감소하였다.

Kinetic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s of Sulfide

  • Barzegar, Mohsen;Jabbari, Ali;Esmaeili, Maji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9호
    • /
    • pp.1261-1264
    • /
    • 2003
  •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 of sulfide based on the addition reaction of sulfide with methyl green at pH 7.5 and $25{\circ}C$ is described. The reaction is monitored spectrophotometrically by measuring the decrease in absorbance of the dyestuff at 637 nm by the initial rate and fixed time method. The calibration graph is linear in the range 30-1200 ppb. The theoretical limit of detection was 0.014 ppm. Seven replicate analysis of a sample solution containing 0.70 ppm sulfide gave a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1.5%. The interfering effects of various ions on sulfide determination have been reported and procedures for removal of interference have been described.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determination of sulfide in tap and wastewater samples.

Regio- and Stereoselective Reactions of (S)-(1-Methylpyrrolidin-2-yl)methyl Allyl Sulfide

  • Park, Ho-Koon;Baik, Nam-Hoon;Lee, Jae-Yeol;Kim, Soo-Ja;Ham, Won-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64-369
    • /
    • 1991
  • The synthesis and regioselective reactions of a chiral allyl sulfide. (S)-(+)-(1-methylpyrrolidin-2-yl)methyl allyl sulfide (MAS, 1) are described. Remarkable ${\alpha}-regioselectivity$ was observed in the alkylation of the carbanion of MAS while 1:3 mixtures of ${\alpha}-and\;{\gamma}-adducts$ were produced in the addition of the MAS anion to aldehydes. However, a dramatic change of the regioselectivity was witnessed when Lewis acids such as $Et_3Al$, $Et_3B$, and $Ti(O^iPr)_4$ were used as additives in the addition reaction. In these cases, ${\alpha}-adducts$ were formed exclusively. A rationale for the change of regioselectivity is provided. And the stereochemical aspect of the addition reaction is also describ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