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hanol Extracts

Search Result 1,99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선학초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손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12-1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선학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선학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수용성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선학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Pseudomonas A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과 자소엽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 배양액에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almonella Enteritidis 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hter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선학초의 petroleum ether 추출물은 각종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개발의 신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피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박효은;배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0-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청피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청피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r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i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청피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n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백화사설초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 및 Shigella sonnei의 배양액에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온 각각 5,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sonnei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이성구;오성천;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8-4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pm}1.1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pm}0.74{\mu}g\;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pm}0.44{\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pm}0.85{\mu}g\;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pm}1.3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pm}0.61{\mu}g\;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pm}0.56{\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pm}0.73{\mu}g\;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산초 (Zanthoxylum schnifolium)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from Different Extracts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 오상미;한웅;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0-13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he activity o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from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 The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were extracted with water, 100% methanol, 100% ethanol, 70% methanol and 70% ethanol. The activities of each extracts were measured by antioxidant tests, such as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hydroxyl radical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ssay. The water extract represent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antioxidants properties in vitro, including hydroxyl radical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Furthermore, water extract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 total phenolic contents but the 100% methanol extract showed high total flavonoid contents estimated as $196.48{\mu}g/mg$. The $IC_{50}$ values for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100% ethanol and 100% methanol extracts were $275.66{\mu}g/mg$ and $261.44{\mu}g/mg$.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 expected to be useful as antioxidants.

어성초 용매추출물과 메탄올 분획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Cytotoxic Activity of Methanol Fractions and Solvent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_{HUNS}$ (IX) on Various Cancer Cells)

  • 이정호;백승화;임진아;천현자;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88-129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ytotoxic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sub HUNB/ extracts on A549 (lung cancer), MDA-MB231 (breast cancer), SNU-C4 (colon cancer) and B16 (mouse melanoma) cell lines. We have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bromide (MTT) assay. The 150 ㎍/㎖ concentration of methanol extract (63.81 %) of Houttuynia cordata T/sub HUNB/ was shown significantly antitoxic activity on A549 cell lines. The order of cytotoxicity fractions of methanol from Houttuynia cordata T/sub HUNB/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s in vitro is as follows : hexane fraction layer > chloroform fraction layer > ethyl acetate fraction layer > buthanol fraction layer > water fraction lay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xane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from Houttuynia cordata T/sub HUNB/ extract may be a valuable choice for the development of antitumor agents.

Anticancer Effects of Organic Chinese Cabbage Kimchi

  • Park, Woon-Young;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13-116
    • /
    • 1999
  • The anticancer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common Chinese cabbage kimchi(CC kimchi ) and organically cultivated Chinese cabbage kimchi (OC kimchi) was studied on the cell growth, MTT assay and SRB assay using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Methanol extracts from CC kimchi and OC kimchi exhibited the anticancer activites in vitro and in vivo. Methanol extract from 6 day-fermented CC kimchi and OC kimchi inhibited the growth of AGS cells by 55.2 and 60.7% , respectively. At MTT assay an dSRB assay, 6 day-fermented OC kimchi showed higher inhibition rate (MTT : 42%, SRB : 61%) than 6 day-fermented CC kimchi(MTT : 33%, SRB : 52%). Methanol extracts from 6-day fermented CC kimchi and OC reduced the tumor formation and prolonged the life span of sarcoma-180 cell injected Balb.c mouse. OC kimchi treated group resulted in the smaller tumor weight of 4.58$\pm$0.32g compared th the CC kimchi group of 5.40$\pm$0.78g and the control group of 7.50$\pm$0.54g and OC kimchi treted group (25.3 days) lived longest among control (20.2days ) and CC kimchi(23.5days) treted groups.

  • PDF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Seaweeds)

  • 유병호;지봉호;김동석;하미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02-508
    • /
    • 1986
  • 해조류중 미역, 다시마, 곤피, 청각, 파래 및 김을 물, 메타놀, 핵산 및 에칠에테르로 추출한 엑스분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Salmonella typhimurium/microsome 계로 실험하였다. 물로 추출한 엑스분은 TrP-P-2와 aflatoxin $B_1$에 다소 효과가 있었고, 메타놀의 엑스분중 다시마, 곰피는 Trp-P-2에 효과가 있었으며, 메타놀 엑스분을 plate 당 1.0mg, 2.0mg 함유하는 모든 시료는 MeIQ와 aflatoxin $B_1$에 효과가 있었다. 에칠 에테르의 엑스분은 곰피와 청각이 매우 효과가 있었고, 특히 6종류의 해조류중 에칠 에테르의 엑스븐은 MeIQ와 aflatoxin $B_1$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 PDF

Yam (Dioscorea batatas) Root and Bark Extracts Stimulate Osteoblast Mineralization by Increasing Ca and P Accumul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 Kim, Suji;Shin, Mee-Young;Son, Kun-Ho;Sohn, Ho-Yong;Lim, Jae-Hwan;Lee, Jong-Hwa;Kwun, In-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94-203
    • /
    • 2014
  • Yam (Dioscorea batatas) is widely consumed as functional food for health promotion mainly in East Asia countries. We assessed whether yam root (tuber) or bark (peel) extracts stimulated the activity of osteoblasts for osteogenesis. MC3T3-E1 cells (mouse osteoblasts) were treated with yam root extracts (water or methanol) (study I) or bark extracts (water or hexane) (study II) within $0{\sim}10{\mu}g/mL$ during the periods of osteoblast proliferation (5~10 day), matrix maturation (11~15 day) and mineralization (16~20 day) as appropriate. In study I, both yam ro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as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ellular collagen synthesis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both the indicators of bone matrix protein and inorganic phosphate production for calcification respectively, were also increased by yam root water and methanol extract. Osteoblast calcification as cell matrix Ca and P accumulation was also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yam root extracts. In study II, yam bark extracts (water and hexane) increased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s collagen synthesis and ALP activity and osteoblast matrix Ca and P deposition.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both yam root and bark extracts stimulate osteogenic function in osteoblasts by stimulating bone matrix maturation by increasing collagen synthesis, ALP activity, and matrix mineralization.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 및 김치재료의 피브린 분해활성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옥;김미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3-638
    • /
    • 1998
  • Fibrionolytic activity(FA) of kimchi in rat and FA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kimchi ingredient were determined using fibrin plate method to see where the active principles for FA are present in kimchi. Nine Sprague-Dawley per each group were fed diet containing 3, 5 or 10% of freeze dried kimchi for 6 weeks. The FA of plasma obtained from 10% kimchi group showed stronger FA than that of control. FAs of 3 and 5% kimchi group were not noticeable. FA from methanol extract of kimchi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that from water extract assuming that the active material may be present in a fat solubl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of kimchi ingredients, dropwort, green onion, radish and baechu showed FA in descending order. And from methanol extract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and baechu showed FA in decending order. The Fa of methanol extract of red pepper powder was the most noticeable among samples.

  • PDF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3
    • /
    • 200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eu. mesenteroides,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생약재 추출물은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하였다. 검색한 결과 계피, 목단, 적양, 정향, 팔각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12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B. subtilis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Sta. epidermidis나 Pse. aeruginosa에 대해서도 거의 모든 추출물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균활성 측정시 거의 저해가 없었던 Lue. mesenteroides도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균성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생약재 중 강한 항균력을 보인 녹차, 정향, 적양, 인진호 등은 폴리페놀 함량이 약 7 mg/g 이상으로 높아 이들 페놀성 물질들이 항균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여러 미생물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