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992건 처리시간 0.032초

추출 용매를 달리한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cv. Niitaka) 과피의 생리 활성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Pear Peel (Pyrus pyrifolia cv. Niitaka))

  • 박지수;한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260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대표 과일인 나주 신고배를 대상으로 배과피를 분리 건조한 후 용매에 따른 배 과피의 생리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과피를 1.5 mm의 일정한 두께로 분리해낸 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건조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풍건조법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60oC에서 건조시켰다. 열풍건조 시킨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하였고, 3가지 용매인 물, 80% ethanol,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함량측정에서는 물 추출물에 비해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80% methanol 추출물이 43.76 mg QE/g으로 3가지 용매 중 가장 많은 양의 총 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에서는 80% ethanol 추출물이 28.51 mg QE/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에 대한 항산화실험은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환원력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DPPH와 ABTS에 대한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모두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각각 3.57, 44.14 Mg TEAC/g의 값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실험에서는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반면, 환원력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에서 197.46 Mg TERP/g으로 가장 높았고, 물 추출물에서 79.62 Mg TERP/g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이 91.7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물 추출물에서 83.04%의 가장 낮은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두 용매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분해능 활성은 전체적으로 좋은 편이였으나 그 중 물 추출물이 17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항균실험에서는 B. cereus, E. coli, P. aeruginosa 에서 모두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3가지 용매 중 물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알코올 분해능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에서는 총 페놀 함량, 환원력, ${\alpha}$-glucosidase에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배 과피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생리 활성에 따라 본 실험 결과를 응용하여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택하면 목적하는 생리 활성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확시기별 매실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 서경순;허창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9-273
    • /
    • 2008
  • 매실의 개체당 평균 수분 함량은 $88.34{\sim}90.04%$ 범위로서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수확시기별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섬유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water, hexane, ethylacetate 및 ether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결과 methano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항균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가진 메탄을 추출물의 활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한 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고, pH 변화에 따른 안정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매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methanol > ethylacetate > water > ether > hexa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항균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Chrysanthemum spp.)

  • 남상해;최상욱;양민석;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15-319
    • /
    • 1996
  • Chrysanthemum속(屬) 식물(5종, 9부위)의 methanol추출물 및 각 용매분획물의 수율을 조사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1.5%{\sim}16.9%$의 비교적 다양한 범위를 보였으며 전초보다 꽃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에 대한 각 분획물의 비율을 살펴보면, 전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물 분획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꽃보다 전초에서 더 높고,유기용매 분획물은 모두 전초보다 꽃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물들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구절초의 꽃이 전반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산국의 꽃과 구절초의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이 비교적 수하였다.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균력 비교에서는 각 식물체의 chloroform 분획물이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를 비롯한 4종의 공시균주 모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산국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은 산국 꽃의 chloroform 분획물보다 4가지 균주 모두에서 더 강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산국과 구절초의 꽃과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의 chloroform 분획물들은 서로 유사한 TLC pattern을 보였다.

  • PDF

Herb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 정해정;노경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77
    • /
    • 2000
  • Applemint, geranium, lemonbalm, rosemary, sage, thyme등 6종 herb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 및 95% methanol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항균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전자공여능은 60.7∼92.2%로 95% methanol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고 geranium, sage, lemonbalm, thyme, rosemary, applemint 순으로 작용이 우수하였다. 각종 herb추출물의 항균력은 물보다 methanol추출물이 우수하였고 gram음성균보다는 양성균주에서 효과적이었으며 geranium과 rosemary 공시균주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획별 항균력 측정결과 geranium은 극성용매 분획에서, rosemary는 비극성 용매 분획에 항균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물추출물 보다는 methanol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pH 1.2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Antioxidative Propertie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cv. Fuyu) Flower-Buds

  • You, Dong-Hyun;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28-332
    • /
    • 2011
  • After preparation of acetone, ethanol, methanol, and water extracts (10 g/300 mL) of dried persimmon (Diospyros kaki cv. Fuyu) flower-buds, total phenolic contents (TPC),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SA, reducing power (RP),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The methanol extracts produced the highest TPC (113.39 mg gallic acid equivalents/g), DPPH RSA ($IC_{50}=40.25\;{\mu}g/mL$), ABTS RSA ($IC_{50}=58.17\;{\mu}g/mL$) and RP ($IC_{50}=69.43\;{\mu}g/mL$) activities while the water extracts generated the lowest values.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or activity (88.90%)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ersimmon flower-buds may be a usefu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Korean Plants

  • Jung, Sang-Hoon;Lim, Soon-Sung;Lee, Sang-Hyun;Lee, Yeon-Sil;Shin, Kuk-Hyun;Kim, Yeong-Sh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34-37
    • /
    • 2003
  • We examined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the Korean plants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RLAR) activity in vitro. Among 41 plant extracts, the extracts of Lagerstroemia indica, Punica granatum, Eurya japonica, Liquidambar styraciflua, and Vitis coignetiae exhibited highest inhibitory potency, even more potent than tetramethylene glutaric acid (TMG), known as one of typical aldose reductase inhibitors $(IC_{50}\;value,\;0.51\;{\mu}g/ml)$. Especially, the extract of Lagerstroemia indica (Lythraceae), exhibited the most inhibitory potency $(IC_{50}\;value,\;0.069\;{\mu}/ml)$ on RLAR.

수산물 및 수산 발효식품의 암세포 억제효과 (Anticancer Effect of Extracts from the Marine and Salted Fish Products.)

  • 임현수;김수현;유은정;강동수;최명락;송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53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cytotoxic effect of the various salted fish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using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ethod. Urechis unicinctus was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among any other traditional salted fish produ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Urechis unicinctus hot-water extracts was 94.5%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alted fish methanol extracts, salt-fermented shad gizzard wa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s. The growth inhibition ratio of salt-fermented shad gizzard methanol extracts was investigated 90%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textrm{g}$/.$m\ell$.

  • PD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 Yin, Jie;Heo, Seong-Il;Wang, Myeong-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247-25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MeOH) and water extracts from roots of Cirsium japonicum in vitro, MeOH extract showed a stronger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water extract. However, both of extracts showed a concentration dependen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metal chelating ability, MeOH extract had greater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an water extract.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these two extracts was evaluated by the a-glucosidase inhibition assay, The water extract showed a considerable 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o our knowledge, this may be the first time to report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in Cirsium japonicum roots.

곰취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 함승시;이상영;오덕환;정성원;김상헌;정차권;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87-992
    • /
    • 199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cytotoxicit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lung carcinoma(A549), human cervix epitheloid carcinoma(HeLa) and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HepG2) using SRB(sulforhodamine B) method.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1$\mu\textrm{g}$/${mu}ell$ showed approximately 79.2% and 86.4% cytotoxicity effects on HepG2 cell line and the ethyl acetate fracton fractionated from ethanol extract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ity effect with 94% inhibi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n HeLa cell line was somewhat low with 50~56% inhibition, but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er cytotoxicity effect with 91% and 91.9% inhibition on the HeLa and A549 cell line. On the contrary, the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lower inhibition effects on the normal liver cell, WRL68, compared to human cancer cell lines.

  • PDF

제주도 자생식물 메탄올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thanol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Jeju-Island)

  • 문영건;허문수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78-83
    • /
    • 2007
  • 제주도 자생식물의 80% 메탄올 추출물 10종의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였다. 실험 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음건한 후 세절하여 80% 메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된 시료를 10% 농도로 희석한 후 어류 질병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을 하였고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실험은 각각의 시료를 0.1%, 0.5%, 0.8%, 1.0%, 2.0%로 희석하여 각 식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균 실험은 어류 질병미생물로 분류된 그람 음성균 12종과 그람 양성균 1종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두메꿀풀 꽃과 잎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풀고사리 잎과 돌잔고사리 잎, 들깨 잎, 들깨 열매 순으로 나타났으며 큰천남성 뿌리나 왕모시풀 잎, 열매에서는 눈에 띄는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 Hy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실험하였다. 각 식물의 80% 메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측정 한 결과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으며 2.0% 농도에서 두메꿀풀 잎과 열매 그리고 들깨 잎과 열매, 돌잔고사리 잎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와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BHT,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