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crylate Hybrid Material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플라스틱 코팅용 Poly(Urethane-MMA) 혼성 에멀젼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Hybrid Emulsion as a Plastic Coating Resin)

  • 염지윤;백경현;이준영;이경배;유병원;김중현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1호
    • /
    • pp.8-14
    • /
    • 2007
  • 폴리우레탄에 아크릴기가 도입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 코팅 수지는 플라스틱 코팅 수지로써 열적,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리폴리머 혼합 공정과 무유화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산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즉,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합성 단계에서 2,2-bis (hydroxymethyl) propionic acid (DMPA)을 투입하고 methyl methacrylate (MMA) 단량체를 투입한 후, triethylamine (TEA)을 이용하여 DMPA의 카르복실기를 중화시켜 친수성기를 도입하였다. 이를 수분산시켜 안정한 액적을 형성시킨 후, 사슬연장 및 무유화 중합 방법에 의해 합성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제조공정 조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을 달리하여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의 다양한 샘플을 얻으며, 수분산 샘플의 물성(인장강도, 점도, 부착성 등) 및 코팅필름의 특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 PDF

Hydroxyethyl Methacrylate와 Methyl Methacrylate의 첨가량 변화가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Amounts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Methyl Methacrylate on the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Solutions)

  • 김병석;유병원;이명구;변태강;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32-638
    • /
    • 2012
  •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PUD)을 합성하였다. 이 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MMA (methyl methacrylat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혼성 용액의 평균 입도는 아크릴 단량체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코팅 도막의 내마모성과 내화학성은 순수한 PUD 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 변화에 의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제조 (Preparation of Waterborne Polyurethane-Acrylic Hybrid Solutions from Different Types of Acrylate Monomers)

  • 김병석;홍민기;유병원;이명구;이우일;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410-416
    • /
    • 2012
  •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polycarbonate diol (PCD), dimethylol propionic acid (DMPA)를 출발물질로 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PUD)을 합성하였다. 이 PUD에 아크릴 단량체인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MMA (methyl methacrylate), HEMA:BA (butylacrylate), HEMA:BMA (butyl methacrylate), HEMA:HEA (2-hydroxyethyl acrylate), HEMA:PETA (pentaerytritol triacrylate) 혼합물을 첨가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아크릴 단량체의 종류가 수분산 폴리우레탄-아크릴 혼성 용액의 내약품성과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내약품성은 HEMA와 MMA를 중합한 것이 가장 우수했으며, 내마모성은 HEMA와 PETA를 중합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Monodisperse Micrometer-Ranged Poly(methyl methacrylate) Hybrid Particles Coated with a Uniform Silica Layer

  • Han, Seung-Jin;Shin, Kyo-Min;Suh, Kyung-Do;Ryu, Jee-Hyu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5호
    • /
    • pp.399-403
    • /
    • 2008
  • Monodisperse, micron-sized, hybrid particles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were prepared by coating the surface of poly(methyl methacrylate)(PMMA) microspheres with silica and by copolymerizing acrylamide (AAm) to supply the hydrogen bonding effect by means of the amide groups. Tetraethoxysilane (TEOS) was then slowly dropped onto the medium under certain conditions. Because of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amide of the PMMA particles and the hydroxyl group of the hydrolyzed silanol, a silica shell was generated on the PMMA core particles. The morphology of the hybrid particles was investigated with transmission (TEM) and scanning (SEM) electron microscopy as a function of the medium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TEOS. Improved thermal properties were observed by TGA analysis.

Morpholog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S/PMMA/SMMA Blends Filled with Carbon Black

  • Lee, Moo-Sung;Ha, Min-Gyu;Ko, Hyun-Jin;Yang, Kap-Seung;Lee, Wan-Jin;Park, M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1권1호
    • /
    • pp.32-36
    • /
    • 2000
  • An alternative strategy to .educe the percolation threshold of carbon black (CB) in polymer blends was investigated using random copolymer ternary blends of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PMMA), and a styrene-methyl methacrylate random copolymer (SMMA). The target morphology was to selectively locate CB particles in the encapsulating layer of SMMA during melt mixing. The CB used in this study is BP-2000 from Cabot and has a strong selective affinity to PS. Even when the CB was premixed with SMMA, it moves to the PS phase during the melt mixing. However, we also observed the CB particles loc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SMMA and PS phase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olymers and CB particles is critical for selectively localizing CB particles in multi-component polymer blends. Although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 may retard the movement of CB particles to the polymer phase with affinity, it cannot prevent it completely and locate them to the SMMA phase, which is not thermodynamically favored. To locate CB particles in an encapsulating layer of ternary polymer blends, first of all, polymers forming it should have selective affinity to CB.

  • PDF

나노입자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작한 초소수성 마이크로-나노 혼성구조 (Fabrication of Superhydrophobic Micro-Nano Hybrid Structures by Reactive Ion Etching with Au Nanoparticle Masks)

  • 이초연;윤석본;장건익;윤완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0-306
    • /
    • 2010
  • 소수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작한 마이크로구조에 금 나노입자를 마스크로 이용하는 반응성이온식각(RIE: Reactive Ion Etching)을 적용하여 초소수성을 갖는 마이크로-나노 혼성구조를 제작하였다. 소수성 고분자로는 PFPE (perfluoropolyether bisurethane methacrylate)를 사용하였으며 마이크로 단일구조는 PDMS (polydimethylsiloxane) 몰드를 사용하는 스탬핑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 PFPE 마이크로 단일구조와 마이크로-나노 혼성구조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미세구조에 따른 소수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 단일구조의 경우 접촉각은 안정적인 값을 보이지 못하였으나 단일 구조에 나노입자를 사용한 식각을 적용해 나노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150^{\circ}$ 이상의 접촉각을 갖는 초소수성 표면이 매우 높은 재현성으로 용이하게 형성되었다.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졔 Hybrid Elastomer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ilicone Modified Polyacrylic Hybrid Elastomer)

  • 이병철;강두환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86-91
    • /
    • 2007
  • Polydimethylsiloxane prepolymer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이용하여 Polydimethylsiloxane을 도입한 HEMA(SH)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methacrylic acid (MA), allyl glycidyl ether(AGE) 및 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TS)를 이용하여 실록산 변성 polyacrylate hybrid(SMPA)를 제조하고 이들의 구조를 FTIR 및 $^1H-NMR$로 확인하였다. SMPA에 대한 내열특성을 TGA를 통해 측정한 결과 $400^{\circ}C$에서 무게 잔존율($W_{tr}$, %)은 APT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55에서 63%로 증가하여 나타났다. 제조한 SMPA에 증점제, 가교제 등의 각종 첨가제들을 가하여 SMPA 실란트를 제조하였다. 접착특성을 측정한 결과 SMPA-3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란트의 경우 concrete와 금속사이의 최대 하중 신장률은 2.01%. 파괴 하중 신장률은 2.28%로 SMPA-1 및 SMPA-2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란트의 1.07, 1.45%와 1.02, 1.35%인 경우보다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