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verse Christian Theolog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메타버스의 현황 분석을 통한 기독 신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etaverse: A Christian Theological Perspective)

  • 이면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5-103
    • /
    • 2024
  •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가상 세계가 융합된 환경으로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호작용하는 3차원 가상공간이다. 현재 메타버스는 교육 업무 엔터테인먼트등의 다양한 영역에 접목되고 있으나 기독교적으로 접목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외 메타버스 현황과 기독교에서 만든 메타버스를 정리한다. 둘째, 메타버스에 대한 신학적 관점들을 부정적인 관점과 긍정적인 관점을 살펴보고 신학적 관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독교회내에서 메타버스 활용은 아주 적었다. 메타버스에 관한 부정적인 관점으로는 메타버스 중독, 아바타라는 용어 사용으로 인한 혼동, 가상현실과 현실의 혼동, 메타버스가 교회를 대체하는 것으로 인한 위험성이다. 긍정적인 관점으로는 선교의 활용, 새로운 영역 탐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점이다.

메타버스시대의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위한 연구 (Research on Christian self-identity in the metaverse era)

  • 김형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6권
    • /
    • pp.173-192
    • /
    • 2023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메타버스시대를 주목하면서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 혁명으로 새롭게 부상한 메타버스의 상황을 수용하면서 탈 현실화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체성 위기의 문제점을 토대로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메타버스와 탈 현실화의 논의를 중심으로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중요성과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아스머(Richard Osmer)의 합의 모델(Consensus model)을 토대로 실천신학의 4가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기술·경험적 과제(descriptive-empirical task)를 수행하면서 메타버스의 기회와 위기의 측면을 제기하였다. 해석적 과제(interpretive)를 통해 메타버스와 탈 현실화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규범적 과제(normative task)를 통해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실용적 과제(pragmatic task)를 수행하면서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지향하는 교육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메타버스시대의 교육은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의 목적은 그리스도인의 자아정체감 형성이며, 교육 내용은 그리스도인의 관계적 자아(relationality self), 평등적 자아(equality self) 그리고 개방적 자아(openness self)를 구축하는 것이다. 교육 방법은 대화식 교육이며, 교사와 학습자는 해석자의 만남으로 제시될 수 있다. 환경은 해석된 삶의 모든 영역이며, 평가는 제자와 시민으로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세대를 고려하며 기독교 자아정체감 획득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제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