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gonimus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미야타흡충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gonimus miyatai metacercariae and adults)

  • Jong-Yil CHAI;Younh-Je KANG;Sung-Yil CHOI;Sang-Mee GUK;Jae-Ran YU;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17-225
    • /
    • 1998
  • 미야타흡충 (Metagonimus miyata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자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피라미 (Zacco platypus)의 비늘에서 분리하였고, 성충은 흰쥐에 피낭유충을 감염시킨 후 1-4주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의 전체적인 외형은 요코가와흡충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복흡반은 충체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하였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형 감각유두 및 제II형 감각유두가 여러 개 관찰되었다. 복흡반 앞쪽에는 끝이 5-7분지된 피극들이 빽빽하게 덮혀 있었으며, 충체 후반부의 배설공 부근에는 2-3분지된 피극으로 덮혀 있었다. 감염 1주된 성충의 경우,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II형 감각유두 7개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구흡반 내벽에는 큰 제I형 감각유두가 1쌍씩, 작은 제I형 감각유두가 2쌍씩 좌우측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피극의 분포는 피낭유충의 경우와 비슷하였으나, 분화도는 증가하여 9-11분지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감염 2-4주된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감염 1주된 성충과 대동소이하였으나, 정자가 충체 배측 표면으로 개구된 Laurer's canal로 들어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미야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요코가와흡충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피극의 분포 및 분화도, 구흡반 주변의 감각유두 분포 등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분류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PDF

화천군 소재 일부 장병의 장내 기생충 감염율과 호르텐스극구흡충, Neodiplostomum seoulensis의 감염예 (A follow-up examination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of the Army soldiers in Whachon-gun, Korea)

  • Sun Huh;Soo-Ung Lee;Seung-Chul Huh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1호
    • /
    • pp.61-63
    • /
    • 1994
  • 강원도 화천군 소재 두 부대 장병에서 장내 기생충 관리를 위하여 1993년 포르말린 에테르 집란법으로 대변검사를 하였다. 233명의 피검자 가운데 간흡충(1/233), 메타고니무스(2/233), 호르텐스극구흡충(1/233), Neoniplostomum seoulensis(1/233) 충란과 람블편모굴의 포낭(3/233)을 발견하였다.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은 문헌상 제75국내 인체감염예. N. seoulensis 감염은 제27 인체 감염 예이다.

  • PDF

강원도 철원군내 한탄강 유역의 장내 기생충 역학조사 (Intestinal parasite infections in the inhabitants along the Hantrm River, Chorwon-gun)

  • 박명성;김선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75-378
    • /
    • 1993
  •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변에서 장내기생충증의 유행을 알기 위해서 1993년 8월 12일부터 9월 14 일까지 주민 465명을 대상으로 대변검사하고 민물고기에서 피낭유충을 조사하였다. 불수정회충란 2, 편충란 1, 간흡충란 39. 메타고니무스충란이 16 명에서 발견되었다. 메타고니무스충란 양성자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Mfyata형 메타고니무스로 동정하였다. 잡은 민물고기 68마리 가운데 14마리 (20.6%)에서 메타고니무스의 피낭유충을 발견하였고, 발견된 민물고기는 피라미. 갈겨니, 참마자, 어름치, 참중고기 묵납자루. 붕어이었다 그러나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토양매개성 선충이 극히 낮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간흡충과 메타고니무스는 일정한 유행도를 가지면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감마선 조사가 요코가와흡충의 흰쥐 내 생존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etagonimus yokogawai metacercariae in rats)

  • 채종일;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97-304
    • /
    • 1995
  • 요코가와흡충증에 대한 관리책 모색의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의 효용성을 관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은어 근육 내에 있는 요코가와흡충의 피낭유충(은어 조사군)과 근육으로부터 분리시킨 피낭유충(피낭유충 조사군)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각 군별로 500개씩을 흰쥐에 감염시킨 후 7일째에 생존과 발육상황을 관찰하였다 피낭유충 조사군의 조사량은 5 Gy, 20 Gy, 50 Gy 및 100 Gy 이었으며, 은어에 조사한 량은 5 Gy, 50 Gy, 200 Gy 및 500 Gy로 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량 증가에 따라 충체 회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은어 조사군의 경우 같은 조사량에 서 피낭유충 조사군에 비하여 더 많은 충체가 회수되었다 피낭유충 조사군의 $LD_{50}$은 4.5 Gy, 은어 조사군은 62 Gy로 계산되었다 회수된 충체들의 형태학적 변화가 피낭유충 조사군은 100 Gy 에서. 은어조사군은 200 Gy 이상에서 인정되었으며. 변화의 예로는 고환의 발육 부진 또는 소실, 자궁내 충란수 감소 또는 소실 등을 들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은어에 200 Gy 정도를 조사한다면 요코가와흡충 피낭유층의 감염력을 소실시킬 수 있으므로 이 흡충증의 관리방법의 하나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요꼬가와흡충의 성장기간별 충체조직내 항원성 부위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Metagonimus yokogawai in the period of growth)

  • 임한종;김수진;양미경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309-322
    • /
    • 1992
  • 요꼬가와흡충(Metagonimus yokogawai)이 숙주의 장에 기생하여 성숙하는 동안 숙주에게 항체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충체 조직내 분포하는 부위를 규명하고, 특정 성숙기간 동안 숙주로부터 생성된 항체의 면역반응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꼬가와흡충 퍼낭유충을 실험고양이에 감염시키고, 성숙단계별 충체와 면역항체를 얻었다. 충체의 조직항원과 면역항체를 반응시키고 황금입자를 표지하여 황금입자가 보지된 조직항원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지된 환금입자의 밀도에 따라 조직성분의 항원성을 측정한 결과 감염군 면역항체를 반응시킨 경우 숙주 체내에서 4주와 8주 그리고 12주 동안 성장한 충체 조직항원은 표피충의 표피합포체에 다소 높은 밀도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16주와 20주간 성장한 충체의 조직항원은 표피층의 액포에 황금입자의 표지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16주이상 성장한 충체 표피충의 액포를 구성하는 물질이 항원성이 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연조직의 분비과립은 충체의 감염기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항원성이 나타났으나 맹관상피는 16주 이상 성장한 충체부터 항원성이 다소 미약해졌다. 숙주가 생성하는 요꼬가와흡충에 대한 항체는 감염 후 4주부터 12주사이에는 충체의 성장기간과 상관없이 일정 량으로 숙주의 혈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16주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Infection Status with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in Fishes from Seomjin-gang and Tamjin-gang in Republic of Korea

  • Sohn, Woon-Mok;Na, Byoung-Kuk;Cho, Shin-Hyeong;Ju, Jung-Won;Kim, Cheon-Hyeon;Yoon, Ki-B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4호
    • /
    • pp.351-358
    • /
    • 2018
  • To grasp the infection status of Metagonimus spp. metacercariae (MsMc), the freshwater fishes were surveyed from Seomjin-gang (river) and Tamjin-gang in the Republic of Korea. Total 1,604 fishes from 7 local sites of Seomjin-gang and 1,649 fishes from 2 sites of Tamjin-gang were examined for 6 years (2012-2017) by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MsMc were detected in fishes from 7 sites, i.e., Osucheon in Imsil-gun (36.3% fish in 6 spp.), Seomjin-gang in Sunchanggun (49.8% in 18 spp.), Songdaecheon in Namwon-si (64.5% in 8 spp.), Seomjin-gang in Gokseong-gun (72.4% in 14 spp.) and in Gurye-gun (78.8% in 17 spp.), Hoengcheon (75.9% in 11 spp.) and Namsancheon (58.9% in 7 spp.) in Hadong-gun. Their average densities were 4.2, 86.8, 39.9, 43.1, 246.5, 173.6 and 67.5 per fish infected respectively. Prevalence with MsMc in rasborinid fish from Seomjin-gang was 89.2% and their intensity was 73.6 per fish infected. Endemicities of MsMc in rasborinid fish from Seomjin-ga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ishes from the lower reaches (prevalence: 98.7%; density: 137) rather than in fishes from the middle (93.5%; 38) and upper (72.4%; 13) reaches. MsMc were also detected in 56.1% and 66.4% fishes from 2 surveyed areas, i.e., the middle reaches in Jangheung-gun and the lower reaches in Gangjin-gun, of Tamjin-gang, and their densities were 147 and 121 per fish infected. In susceptible fishes from Tamjin-gang, the prevalence was 84.1% and density was 227 per fish infected. By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sMc is highly prevalent in the fishes from Seomjin-gang and Tamjin-gang in Korea.

요꼬가의흡충에 관한 연구 Vll. 마우스 Strain별 감자성 및 Prednisolone의 영향 (Study on Metagonimus yokogawai(Katsurada, 1912) in Korea VII. Susceptibility of Various Strains of Mice to Metagonimus Infection and Effect of Prednisolone)

  • 채종일;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53-160
    • /
    • 1984
  • 마우스에 대한 요꼬가와흡충 실험감염에 있어서 충체회수률 등 감수성(susceptibility)이 실험자에 따라 매우 다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저자등은 이것이 마우스 strain에 따른 차리일 것으로 생각하고 이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 prednisolone 주입으로 숙주의 면역반응을 저하시킬 때 충체회수률이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은 은어의 근육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마우스 5개 strain (A,DBA,CBH,CSTBL,KK) 총 60마리에 대해서 3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1주일 후에 도살하여 충체회수률 및 충체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 ICR계 마우스 29마리에는 각각 1,8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되 그중 15마리에 대해서는 감염 1주전부터 도살시까지 격일로 prednisolone l0mg/kg를 주입하였고 각각 감염 6시간부터 35일까지의 충체회수율을 관찰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우스 5개 strain에 있어서 감염성공률은 25.0∼83.3%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였고, 충체국수률은 1.2∼18.9%, 나수충체의 크기는 평균 길이 0.554∼0.683mm, 폭 0.214∼0.244mm이었다. 이들 수치는 KK 및 CSTBL strain에서 다른 3가지 strain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리를 보였다. 2. ICR계 마우스에서 시간별로 관찰한 충체회률은 감염 1일이내에는 38∼66%의 높은 율을 보였으나 1일 이후에는 35일까지 0.7%이하의 낮은 회수률을 보였다. 그러나 prednisolone을 투여한 군에서는 감염후 21일까지도 16∼80%의 높은 충체회수률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마우스는 strain에 따라 요꼬가와흡충 감염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다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수성이 낮은 ICR계 마우스도 prednisolone을 주입하면 감염 3주까지 높은 충체회수률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경남 태화강에서 채집된 담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Iresh-water fish in River Taewha, Kyongnam Province)

  • 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63-274
    • /
    • 1988
  • 1988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경남 청주군의 서북부와 남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태백산맥의 남쪽 끝에 형성된 가지산, 신불산 등에서 기원하여, 청주군과 청주시를 외류한 후 충주호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태화강에서 투망, 낚시 등으로 담수어와 반함수어를 채집하여 어체 부위별로 각종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를 주(1980)의 조사성적과 비교하였다.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는 붕어, 꼬치동자개, 꺽지, 잉어, 몰개, 긴몰개, 파랑볼우럭, 버들치, 납지리, 모래 무지, 참붕어, 돌고기, 흰줄납줄개, 피래미, 갈겨니 및 은어의 16종이었다. 채집된 16종 어류에서 7종의 피낭유충(Clonorchis sinensis, Cyathocotyle orientalis, Echinochasmus sp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agonimus yohogawai, Exorchis oviformis 및 Metorchis orientalis)과 4종의 소속미정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인체에 기생하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7종의 담수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그 기생률은 1980년 주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높았으나, 기생정도에 있어서는 3종의 어류(꼬치동자개, 몰개, 돌고기)에서는 1980연에 비해 낮았으며, 납지리에서는 높았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률은 5종의 담수어(붕어, 몰개, 납지리, 봉치동자개, 파랑볼우럭)에서는 낮았으나, 돌고기, 피래미, 갈겨니에서는 그 율이 높았고, 은어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 정도는 1980연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은어에서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Cythocotyle orientalis, Echinochtl'smus sp., Exorchis owiformis, 및 _Metacercaria hasegawai 피낭유충의 기생율은 어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해 높았다. 비늘, 지느러미 및 꼬리에서의 피낭유충 기생율은 변동이 심하여, 비교할 수 없었으나,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기생율은 일반적으로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에 있어서 간흡충을 비롯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률은 아직도 높으나, 그 기생 정도는 1980연에 비해 어종별로 심한 변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ecrease of Metagonimus yokogawai Endemicity along the Tamjin River Basin

  • Lee, Jin-Ju;Kim, Hyo-Jin;Kim, Min-Jae;Lee, Jo-Woon-Yi;Jung, Bong-Kwang;Lee, Ji-Youn;Shin, Eun-Hee;Kim, Jae-Lip;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289-291
    • /
    • 2008
  • The Tamjin River which flows from Jangheung-gun via Gangjin-gun to the South Sea was reported to be a highly endemic area of Metagonimus yokogawai infection in 1977 and 1985. However, there were no recent studies demonstrating how much change occurred in the endemicity, in terms of prevalence and worm burden, of metagonimiasis in this river basin. Thus, a small-scale epidemiological survey was carried out on some residents along the Tamjin River basin in order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M. yokogawai infection. A total of 48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by the Kato-Katz thick smear and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s. The egg positive rate of all helminths was 50.0%, and that of M. yokogawai was 37.5%, followed by C. sinensis 22.9% and G. seoi 4.2%. To obtain the adult flukes of M. yokogawai, 6 egg positive cases were treated with praziquantel 10 mg/kg in a single dose and purged with magnesium sulfate. A total of 5,225 adult flukes (average 871 specimens per person) of M. yokogawai were collected from their diarrheic stools. Compared with the data reported in 1977 and 1985, the individual worm burdens appeared to have decreased remarkably, although the prevalence did not decrease at all. It is suggested that the endemicity of M. yokogawai infection along the Tamjin River has been reduced. To confirm this suggestion, the status of infection in snail and fish intermediate hosts should be investigated.

경북 영양퇴역 흡충류 역학조사 (Epidemiological Studies of Digenetic Trematodes in Yongyang County, Kyungpook Province)

  • 정동일;김영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25-338
    • /
    • 1991
  • 경북 영양지역 주민들의 흡충류 감염실태와 제2중간숙주 담수어의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규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충란검사는 반정량적 formalin-ether 집란법에 의거하였고 흡충류 충란양성자는 Stoll씨 충란계산법으로 감염정도를 추정하였다.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은 슬라이드 글라스 여박법과 인공소화법으로 조사하였다. 피검자 955명중 18.5%(177명)에서 요충군이 검출되었고 그 중 흡충류 충란은 간흡충 단독감염자 7.3%(70명), 이형흡충류 단독감염자 7.7%(74명), 간흡충과 이형흡충류 이중감염자 2.5%(24명), 간흡충과 경충 이중감형자 0.1%(15명), 및 간질 위감염자 0.1%(1명)으로 17.9%(171명)에서 검출할 수 있었다. 성별 간흡충 감염은 남성 675명중 12.6%(85명), 여성 280명중 3.6%(10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형흡광류 감염 역시 남성 675명중 12.0%(81명), 여성 380명중 6.1%(17명)으로 남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감염정도도 우흡충 모두 남성에서 여성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세 이상군에서 30세 미만군보다 심한 감염정도를 나타내었다. 10∼19세군에서는 양 흡충류의 감염자가 없었다. 감염정도와 연령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을 인정할 수 없었다. 반변천에서 채집된 8종의 담수어중 횡천흡충 피습유충의 기생률과 고 정도는 각각 갈겨니에서 57.5%, 12.4개로 가장 높았고 동사리에서 6.8%, 0.2개로 가장 낮았으며 피래미에서 55.4%, 1.3개로 중간을 나타내었다. 간흡충 피낭유충은 몰개에서만 기생률 23.3%, 그 기생정도 2.1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영양지역은 간흡충과 이형흡충류의 만연지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