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rylate polym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1초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올레인산 혼합 에멀젼계 방수제 제조연구 (The Study on Prepare Water Proof Agent by Acryl Copolymer and Oleic Acid Mixed Emulison)

  • 김영근;황용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3-94
    • /
    • 1996
  • EMA-co-DAMA were synthesized from 2-diethylaminoethyl metacrylate and ethylhexyl metacrylate in acrylmonomer. To facilitate water emulsification, acrylic copolymer was cationized by acetic acid to produce acetated acrylic copolymer.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copolymer and acetated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IR, NMR,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 by GPC, and C.H.N elemental analysis. Acetated acrylic copolymers were perfectly emulsified in water and showed increased emulsion stability.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PDCM-PED) water proof agent of cement for concret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prepared by blending of the guaternized acrylic copolymer syndisized above,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and oleic acid emulsion. The result with prepared polymer dispersion of cement modifier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excellent waterprooffing effect ; Water permeability ratio is 0.50 under the water pressure of $100g/cm^2$ and 0.60 under $3kg/cm^2$, and water absorption ratio is $0.42{\sim}0.50$ and $1.0{\sim}1.02$ compressive strength ratio at mixed of water/PDCM-PED is 50 times.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 첨가재의 계면 특성화 (Interfacial Characterization of Mineralized Carbon Nanotubes)

  • 박찬욱;정지원;윤군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5호
    • /
    • pp.282-287
    • /
    • 2018
  • 본 연구는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 기지재료의 강화재로 사용할 때, 계면 결합력이 기존 탄소나노튜브 강화재에 비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탐구한다. 최근 탄소나노튜브에 질소를 도핑한 후 표면을 광물화 하는 실험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재료의 강화제로 첨가되었을 때 보일 수 있는 물성 증가 현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광물질로는 실리카($SiO_2$)를 사용했고 고분자 기지재료로는 열 가소성 수지인 poly(methyl metacrylate) (PMMA)를 사용했다. 계면 결합력과 계면 전단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강화재를 기지재료로부터 빼내는 pull-out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다. 계산 결과, 실리카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기지재료와 향상된 계면 상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진은 향후 광물화된 탄소나노튜브 강화재가 첨가된 나노 복합재료의 열 기계적 물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 합성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Poly[DMA-co-DAMA] 에멀젼을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방수성- (The Study on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Polymer Dispersion for Cement Modifier -The Waterproffing Effeet of Cement Mortar by Poly[DMA-co-DAMA] Emulsion-)

  • 김영근;허동섭;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5권4호
    • /
    • pp.669-680
    • /
    • 1994
  • 친유성기와 친수성기를 함유한 긴 탄화수소 화합물인 dodecylmetacrylate와 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로부터 DMA-co-DAMA를 합성하고 물에 쉽게 유화시키기 위해 양이온화 하여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와 아세트화 공중합체의 구조를 IR, NMR 등으로 확인하고 GPC로부터 분자량을 산출하였으며 C. H. N분석도 하였다. 아세트화 아크릴 공중합체는 물에 완전히 유화가 가능하였고 물에 대한 유화 안정성이 증진되었다. 위에서 합성한 아세트화 아크릴공중합체에 Sodium Silicate Sodium gluconate, Oleic acid, Triethanolamine을 브렌딩하여 제조된 혼화용 폴리머 분산제(PDCM-PDD)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가지고 용융시험한 결과 45배 희석시 강도비 1.02, 흡수비 0.36~0.57, 투수비는 수압 $100g/cm^2$에서 0.44, $3kg/cm^2$에서 0.55로 우수한 방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

Thermocontrol of Solute Permeation across Polymer Memberane Composed of Poly(N, 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Its Copolymers

  • Yuk, Soon-Hon;Cho, Sun-Ha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4호
    • /
    • pp.274-278
    • /
    • 2001
  • Polymer membranes composed of N, N-dimethylaminoethyl methaccrylate(DMAEMA) and acrylamide(AAm)(or ethyl acrylamide(EAAm) were prepared to demonstrated the thermo-control of solute permeation. Poly DMEMA has a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LCST) at around 50$\^{C}$ in water, With the copolymerization of DMAEMA with AAm (or EAAm) a shift in the LCST to a lowere temperature was observed, probably due to the formation of hydrogen bonds between the amide and N-N-dimethylamino groups. However, the temperature-induced phase transition of poly(DMAEMA-co-EAAm) did not show a similar trend to that of poly(DMAEMA- co-AAm) in the gel state. The hydrogen bonds in poly(DMAEMA-co-EAAm) were significantly disrupted with the formation a gel network, which led to a difference in the swilling behavior of polymer gels in response to temperature. To apply these polymers to temperature-sensitive sol-ute permeation, polymer membranes were prepared. The permeation pattern of hydrocortisone, used as the model solute, was explained based on the temperature-sensitive swelling behavior of the polymer membranes.

  • PDF

나노스케일 박막의 표면주름 형성을 통한 산란반사도 향상 (Diffuse Reflectance Enhancement through Wrinkling of Nanoscale Thin Films)

  • 김윤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2호
    • /
    • pp.1245-12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나노스케일 박막의 표면주름 형성에 의한 산란반사도 향상을 평가하였다. 실리콘 기판 위에 120 nm 두께의 Poly(methyl metacrylate) 층을 스핀코팅(spin-coating)한 후, 20 nm 의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오븐에서 $95^{\circ}C$의 온도로 2 시간 동안 풀림처리하여 표면주름을 형성하였다. 분광광도계로 가시광선 영역의 산란반사도를 측정한 결과 400 nm 파장에서 40%의 증가를 보였으며, 표면주름 위에 100 nm 의 은박막을 추가적으로 증착한 경우 산란반사도가 50%까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란반사도의 증대를 요구하는 박막형 소자에 표면주름을 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1) : 폴리머 라텍스의 수율과 입자크기에 관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 on the Particle Size and Yield i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 고기영;김성일;김철웅;형기우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연구는 모노머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 및 농도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관한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LE-50, NP-50 > CE-50, Tween 20 > TX-405 > Brij 35 순으로 최종 폴리머 응석에 기인하여 낮아졌으며, 평균 입자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E형과 NP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체인의 길이(n)가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n = 30이상의 체인에서 평균입자크기는 250 - 320 nm, 폴리머 농도는 수용액 기준으로 40 %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초기에 반응기에 투입 (Initial reactor charge)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량에 무관하게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와 반응형 계면활성제인 HN-100의 경우에는 폴리머 에멀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는 SDS < CTAB < HN-100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다.

  • PDF

석조문화재를 위한 아크릴계 보존처리제의 무기친화성 개선 (Improvement in Inorganic Affinity of Acrylic Material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Assets)

  • 김연철;김은영;김헝중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14-19
    • /
    • 2010
  • 여러 원인에 의한 석조문화재의 풍화 손상을 저지할 목적으로 아크릴계 고분자를 이용하는 가압함침 보존 처리방법에서 함침된 고분자와 무기물질인 석재와의 친화성을 높이도록 silane계 아크릴 단량체의 사용을 연구하였다. 기본 단량체인 methyl metacrylate(MMA)에 vinyl trimethoxy silane(VTMS)의 함량을 변화시키고 라디칼 중합으로 MMA-VTMS 공중합체를 얻어 이들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평균분자량, 그리고 저장탄성률의 변화를 평가하여 benzoyl peroxide (BPO) 1 wt%, 중합시간 8시간, 그리고 VTMS 5 mol% 혼합의 경우(PMV5)가 최적 혼합비율과 중합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실제 국내산 화강암과 풍화된 암석의 시편을 함침 보존처리한 후 수분 흡수율, 충격특성, 내산성 및 접착특성 등을 측정한 결과 MMA 단독 사용과 비교하여 PMV5의 경우 모든 특성에 있어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선형 광 곁가지를 갖는 고분자계의 증대된 비선형 특성 (Enhanced nonlinearity of nonlinear optical side-chain polymers)

  • 이종하;이황운;원영희;이석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
    • /
    • 2000
  • 순수 N-(4-nitrophenyl)-(L)-prolinol (NPP)와 NPP를 곁가지로 갖는 poly(methyl metharcrylate) (PMMA) 및 poly(p-phenlene terephthalates) (PPT) 고분자계의 제 1차 초편극도 $\beta$를 전기장 인가 제 2고조파 발생(EFISHG)방법과 hyper-Rayleigh 산란(HRS)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1,2,2,-tetrachloroethane 용액속의 순수 NPP와 NPP-PMMA 경우, 두 방법으로 구한 $\beta$측정값은 실험오차 이내에서 유사하였다. 그러나 1,1,2,2,-tetrachloroethane 용액속의 HNPP-PPT 고분자 경우 $\beta$측정 결과는 순수 NPP에 비하여 EFISHG에서는 9.7배 증대되고 HRS에서는 2.4배 증대되었다. 이 결과는 견고한 고분자 주사슬에 비선형 광 발색단을 곁가지로 갖는 고분자계에서는 직류 전기장속에서 발색단들이 고분자 2차 비선형 특성에 상호 보강적으로 기여하여 극성 고분자 사슬에서와 같이 증대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필러를 배합한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물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PERTIES OF FILLER-ADDED METHACRYLATE POLYMERS)

  • 박동원;최부병;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6-616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operties of some chemically cured methacrylate polymers such as MMA, HEMA, TEG-DMA, bis-GMA, GMA. Material and Method : 5 kinds of methacrylates were selected and added 2% tertiary amine and benzoyl peroxide to make a chemically curable polymer 25 micron crushed silicas which are treated with silane were selected as filler, they were added into methacrylate monomer until the consistency did not changed by the load of 500gram. All of the experimental resins were 5 kinds, and a serial test was done with 3 kinds of items including the filler contents,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bond strength. The number of specimen were 10 for each group. Filler contents were obtained by reducing the specimens to ashes at $600^{\circ}C$ for 1 hour. The specimens with the dimension of 6mm in diameter and 3mm thick were immersed in $37{\pm}1^{\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before test, and tensile strength were measured with cross-head speed 1mm/min. Shear bond strength were mea sured on the specimens attached to bovine enamel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for 1 minute. Results : 1. Maximum filler incorporation was the highest as 75.5% on MMA, and the least as 53.4% on bis- GMA(p<0.0001). 2. The tensile stregth were MMA 141.3, GMA 154.3, TEG-DMA 157.4, bis-GMA 161.4 MPa, and HEMA showed the highest value, 226.9MPa(p = 0.0004). 3. The bond strength were GMA 10.1, TEG-DMA 11.7, HEMA 12.2, bis-GMA 13.3 MPa, and MMA showed the highest value, 15.3MPa, however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not (p =0.3838), 4. TEG-DMA and HEMA were not different on the aspect of maximum filler contents and shear bond strength(p>0.05). Conclusion : HEMA can be used as an another diluent substituting TEG-DMA with the increased strength and with the constant bond strength and the constant filler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