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syndrome scor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41초

Early Life Factors Influencing the Risk of Obesity

  • Lifschitz, Carlos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4호
    • /
    • pp.217-223
    • /
    • 2015
  • The obesity epidemic is a worldwide problem. Factors predisposing to obesity include genetics, race, socioeconomic conditions, birth by cesarean section, and perinatal antibiotic use. High protein (HP) content in infant formulas has been identified as a potential culprit predisposing to rapid weight gain in the first few months of life and leading to later obesity. In a large multicountry study the effects of lower protein (LP) formula (1.77 and 2.2 g protein/100 kcal, before and after the 5th month, respectively) were compared to those of higher protein (2.9 and 4.4 g protein/100 kcal,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d that at 24 months, the weight-for-length z score of infants in the LP formula group was 0.20 (0.06, 0.34) lower than that of the HP group a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breastfed reference group. The authors concluded that a HP content of infant formula is associated with higher weight in the first 2 years of life but has no effect on length. LP intake in infancy might diminish the later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At 6 years of age HP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 (by 0.51; 95% confidence interval [CI], 0.13-0.90; p=0.009) and a 2.43 (95% CI, 1.12-5.27; p=0.024) fold greater risk of becoming obese than those who received the LP. In conclusion, several factors may influenc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Breastfeeding should always be encouraged. An overall reduction of protein intake in formula non breastfed infants seems to be an additional way to prevent obesity.

Association of serum ferritin level and depression with respect to the body mass index in Korean male adults

  • Lee, Hea Shoon;Park, Eun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263-267
    • /
    • 2019
  • BACKGROUD/OBJECTIVES: Obesity is globally a major public health issue. Evidence suggests that elevated ferri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obesity,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ferritin level and depression in Korean male adults with respect to classification of the prevailing obesity. SUBJECTS/METHODS: This was a case-control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obese group (${\geq}25.0kg/m^2$, 28 subjects) and normal group ($18.5-22.9kg/m^2$, 27 subjects).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depression levels as per the guidelines suggested by the Center program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CES-D).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group for assessing biomarkers, and isolated plasma was evaluated for fasting glucose, insulin,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and ferritin levels. Data were analyzed, and group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Body Mass Index (BMI), depression scale and biomarkers. RESULTS: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of the obesity group was 16.86, which was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12.56). Subjects scoring more than 16 points comprised 53.6% of the population in the obese group, which was more than double that in the normal group, as assessed by the CES-D program. Furthermore, the serum ferritin level of the obesity group was 207.12 ng/mL,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132.66 ng/mL). Lastly, the BMI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depression (r = 0.320, P = 0.017) and elevated ferritin levels (r = 0.352, P = 0.008).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f existing correlation between ferritin and depression with obesity.

40대 남자 생산직 근로자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인지 상태에 따른 식습관 및 식사의 질 (Food Habits and Dietary Quality by the Presence of Perceived Major Chronic Disease among Male Manufacturing Company Workers in Their 40s)

  • 한은정;김미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4호
    • /
    • pp.230-247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wareness of having a chronic disease with food habits and dietary quality among 320 male manufacturing workers in their 40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The first group comprised workers who were aware of having chronic diseases (ACD, n=160) and had been diagnosed with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major chronic diseases: Metabolic syndrome, hyperlipidemia, hypertensio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second group comprised those who had experienced none of the above diseases were classified as a group of people who were a ware of not having chronic diseases (ANCD, n=160).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4.2 years. The mean weight (P<0.001) and body mass index (BMI;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D than in the ANCD group. The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 number of current smok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Dietary attitud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frequency of egg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D group (P<0.05). Picky eating, vegetable intake, checking nutrition labels, and healthy eating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frequency of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CD group compared to the ANCD group (P<0.05). The mean nutrition quotient (NQ) score was 51.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wareness of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dietary attitudes, food habits, and overall dietary quality among production work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inculcate an awareness of health status that can lead to dietary changes.

Prediction of Colorectal Cancer Risk Using a Genetic Risk Score: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 Jo, Jae-Seong;Nam, Chung-Mo;Sull, Jae-Woong;Yun, Ji-Eun;Kim, Sang-Yeun;Lee, Sun-Ju;Kim, Yoon-Nam;Park, Eun-Jung;Kimm, Hee-Jin;Jee, Sun-Ha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0권3호
    • /
    • pp.175-183
    • /
    • 2012
  • Colorectal cancer (CRC) is among the leading causes of cancer deaths and can be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genetic factors. Therefore, we developed a prediction model of CRC using genetic risk scores (GR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conventional risk factors, including family history of CRC, in combination with GRS on the risk of CRC in Koreans. This study included 187 cases (men, 133; women, 54) and 976 controls (men, 554; women, 422). GRS were calculated with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with CRC through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increased by 0.5% to 5.2% when either counted or weighted GRS was added to a prediction model consisting of age alone (AUC 0.687 for men, 0.598 for women) or age and family history of CRC (AUC 0.692 for men, 0.603 for women) for both men and women. Furthermore, the risk of CRC significantly increased for individuals with a family history of CRC in the highest quartile of GRS when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a family history of CRC in the lowest quartile of GRS (counted GRS odds ratio [OR], 47.9; 95% confidence interval [CI], 4.9 to 471.8 for men; OR, 22.3; 95% CI, 1.4 to 344.2 for women) (weighted GRS OR, 35.9; 95% CI, 5.9 to 218.2 for men; OR, 18.1, 95% CI, 3.7 to 88.1 for women). Our findings suggest that in Koreans, especially in Korean men, GRS improve the prediction of CRC whe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age and family history of CRC.

Evaluation of changes in random blood glucose and body mass index during and after completion of chemotherapy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Bang, Kyong-Won;Seo, Soo-Young;Lee, Jae-Wook;Jang, Pil-Sang;Jung, Min-Ho;Chung, Nack-Gyun;Cho, Bin;Jeong, Dae-Chul;Suh, Byung-Kyu;Kim, Hack-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4호
    • /
    • pp.121-127
    • /
    • 2012
  • Purpose: Improved survival of patients with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has drawn attention to the potential for late consequences of previous treatments among survivors, including metabolic syndrome.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3 parameters, namely, random blood glucose, body mass index (BMI), and Z score for BMI (Z-BMI), in children with ALL during chemotherapy and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Methods: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AL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at Sain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ho completed treatment with chemotherapy only were included (n=107). Random glucose, BMI, and Z-BMI were recorded at 5 intervals: at diagnosis, before maintenance treatment, at completion of maintenance treatment, and 6 and 12 months after completion of maintenance treatment. Similar analyses were conducted on 2 subcohorts based on ALL risk groups. Results: For random glucose, a paired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at 12 months post-treatment compared to those at initial diagnosis ($P$ <0.001) and before maintenance ($P$ <0.001). The Z-BMI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before maintenance than at diagnosis ($P$ <0.001),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nd of treatment ($P$ <0.001) and remained low at 6 months ($P$ <0.001) and 12 months ($P$ <0.001) post-treatment.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upon analysis of risk group-based subcohorts. Conclusion: For a cohort of ALL patients treated without allogeneic transplantation or cranial irradiation, decrease in random glucose and Z-BMI after completion of chemotherapy does not indicate future glucose intolerance or obesity.

소아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의 치료 결과 (Outcome of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Children)

  • 임연정;진현승;한혜원;오세호;박성종;박영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68-74
    • /
    • 2005
  • 목 적 : 혈역동 상태가 불안정한 신부전 환자에서 CRRT 시행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소아 환자에서의 보고는 드물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소아 환자들에서 CRRT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2001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CRRT를 시행한 소아 환아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원인 질환 및 신대체요법 시작 시 임상 양상과 경과, CRRT의 방법과 결과를 검토하였고 생존군과 사망군 사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23명의 환아 중 남아가 12명, 여아가 11명이었고 연령은 3일에서 16세(중간값 5세)였다. 체중은 2.4 kg에서 63.9 kg(중간값 23.0 kg)였고 20 kg 이하가 5명이었다. 대상 환아의 기저 질환은 종양성 질환이 9명, 다장기 부전 증후군 5명,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에 의한 고암모니아 혈증 4명, 간기능 부전과 동반된 급성 신부전 3명, 확장성 심근증 1명, 선천성 신증후군 1명 이었다. PRISM III 점수는 $17.6{\pm}7.6$이었고 평균 부전 장기의 수는 $3.0{\pm}1.7$개였다. CRRT를 시행한 기간은 1일에서 27일(평균 9일)이었다. 23명의 환아 중 11명(47.8%)이 생존하였다. 이중 4명에서 후유증이 남았는데 1명은 뇌출혈이 발견되었고 2명은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였으며 또 다른 1명에서는 내경정맥에 2중 도관 삽입과 관련된 상대정맥 혈전으로 인해 유미흉이 발생하였다.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였을 때 생존군에서 CRRT 시작 당시의 PRISM III 점수와 투여되는 승압제의 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 론 : 혈역동상태가 불안정하고 다장기 부전이 동반된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CRRT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고 생존율에는 CRRT 시작 전 PRISM III 점수, 승압제 투여 정도가 중요한 요인이었다.

추적 관찰을 통한 한국 농촌 노인의 수면 장애 예측 (Prediction of Sleep Disturbances in Korean Rural Elderly through Longitudinal Follow Up)

  • 박경미;김우정;최은채;안석균;남궁기;염유식;김현창;이은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17
  • 목 적 : 불면 증상을 나타내는 수면 장애는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매우 급격히 증가중인 질환이다. 3년간 추적 관찰한 우리나라 농촌의 60세 이상 노인 코호트를 대상으로 수면 장애의 유병률과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2012년과 2014년의 조사를 통해 두 번 데이터를 얻었다. 뇌졸중, 심근경색증, 협심증, 관절염, 폐결핵, 천식, 백내장, 녹내장, B형 간염, 요실금, 전립선 비대, 암,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대사증후군에 대한 진단 여부를 물었다. 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을 평가하였고 역학연구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증상을 평가하였다. 2015년에는 이 중 235명에게 DSM-IV의 제1축 장애의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을 시행하였고 피츠버그 수면 질 척도로 불면증의 정도, 즉 수면 장애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시행하였다. 수면장애를 예측하기 위하여 성별, 나이, 교육, 첫 번째와 세 번째 주기의 우울 점수, 공존 질환의 개수, 그리고 현재의 분노 억제 점수와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설명 변인으로 삼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의 27%가 수면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회귀 분석 결과, 3년 전의 공존 질환 수, 1년 전의 우울 점수 및 현재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가 수면 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결 론 : 3년 전 측정한 공존 질환과 1년 전 평가한 우울증상이 현재의 수면 장애를 예측할 수 있었다. 공존 질환 및 우울 증상의 치료가 수면 장애를 호전시킬 수 있는지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사의 건강문제와 업무에 대한 부담감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burden of nurse's work and health problems on presenteeism)

  • 이지은;이은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4호
    • /
    • pp.769-78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건강문제와 업무에 대한 부담감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와 D광역시 4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편의추출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건강문제는 목 어깨 등 허리통증이 가장 많이 나타났 고, 간호사는 평균 3.62개의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은 100점 만점에 평균 $43.37{\pm}12.43$점으로 나타났다. 건강문제의 개수와 업무에 대한 부담감과 프리젠티즘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문제의 개수와 업무에 대한 부담감은 현 병동에서의 근무기간, 직급, 의료 기관 규모, 성별 등의 인구사회 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수록, 건강문제를 잘 관리 할수록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낮 출 수 있다는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간호사의 개인수준, 조직수준, 사회수준에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프리젠티즘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하겠다.

뇌하수체저하증 소아에서 발생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 윤정민;고재성;서정기;신충호;양세원;문진수;양혜란;장주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2010
  • 목 적: 뇌하수체저하증 환아들은 비만, 당불내성, 고지질혈증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양상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하수체저하증과 연관된 소아 지방간질환의 임상 양상과 간조직 소견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뇌하수체저하증 환자 중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으로 진단된 소아 11명의 임상자료를 조사하였다. 결 과: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 연령은 10.4${\pm}$3.2세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시 연령은 13.1${\pm}$2.7세였다. 두 개인 두종이 뇌하수체저하증의 기저질환 중 가장 흔하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당시 체질량지수 85백분위수 이상이 9명(82%), 금식 시 고혈당이 5명(45%), 고지질혈증이 9명(82%)에서 발견되었다. 신장의 표준편차 점수의 평균은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보다 지방간질환 진단시에 유의하게 낮았다. 간생검을 실시한 6명 중에서 1명은 간경변, 2명은 연결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2명은 경도의 간문맥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1명은 단순 지방간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뇌하수체저하증을 가진 소아는 저신장, 비만, 고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간조직의 진행된 섬유화가 흔하기 때문에 뇌하수 체저하증 환아에서 지방간질환의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양극성 경향과 스트레스 취약성:기분장애설문지 양성 반응군과 음성 반응군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A형 행동, 그리고 생활습관의 비교 (The Relation of Bipolar Tendency with Type A Behavior Pattern, Perceived Stress, and Lifestyle:Comparison between Mood Disorder Questionnaire Positive and Negative Respondents)

  • 김병수;김성윤;최재원;주연호;윤대현;한내진;김유신;김선옥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19-29
    • /
    • 2010
  • 연구목적 : 본 연구를 통해 양극성 장애 I형 혹은 II형 진단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지만, (경)조증적 성향 혹은 기분 불안정성 등의 양극성 경향(bipolar tendency, bipolarity)을 가진 사람에게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A형 행동 유형(Type A Behavior Pattern, TABP), 그리고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의 위험이 증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30세 이상의 1987명의 연구 대상군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기분장애설문지 (Mood Disorder Questionnaire, MDQ)의 (경)조증적 증상 경험에 대한 13개 항목 중에서 7개 항목에 "예"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양극성 경향군으로 분류하였다. 양극성 경향군과 비양극성 경향군 사이에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A/B Lifestyle ques-tionnaire) 점수와, 음주, 흡연,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 부족 등의 생활 습관 변인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양극성 경향군(329명, 16.6%)은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TABP를 반영하는 A/B 생활 습관 설문의 총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125.4점 vs. 115.9점, p<0.001), TABP로 판정(총 점수 135점 이상)된 비율도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41.3% vs. 30.1%, p<0.001).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의 비교에서도, 양극성 경향군이 비양극성 경향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18.5 vs. 16.5, p<0.001). 생활습관의 비교에서 '불규칙적인 식사'(20.1% vs. 14.3%, p=0.002), '주 4회 이상 음주'(29.8% vs. 16.5%, p<0.001), '현재 흡연'(41.9% vs. 23.0%, p<0.001), '주 2회 이하 운동'(63.2% vs. 55.1%, p=0.007) 이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양극성 경향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 론 : 양극성 경향을 가진 경우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행동 양상이 높게 관찰되고,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도 높고 흡연, 음주, 불규칙한 식사와 운동 부족과 같은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을 위험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험 요소들은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양극성 경향을 가진 사람들은 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