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propose a vehicle-mounted, location-aware mobile digital signage system that can be used for public transportation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installations of the LED display panels at the backside of the bus., which display traffic information to cars behind the bu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would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oad information, public commercials and private commercials. We propose the system architecture and further implement the prototype of mobile digital signage system for demonstration. The system is based on the Client-Server system. Each bus has a client terminal which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by a GPS receiver and send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The terminal device receives advertisements and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it to the large LCD or LED panel installed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s. We use the Android smartphone as a client system, which inherently equipped with GPS an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GPS detects the location of bus and reports its geo-location data to the traffic information center server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server side, we developed a specially designed control server, where i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traffic information center and updates and manages the databases contents being displayed by each position. The server contains location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and returns selected information back to the vehicle in real time. Spatial database is used to process location based data. Server system periodically receives the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road information center database. And it process the information by bus location and bus line numb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bile digital signage service and explain the system implementation of this service.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 제조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 단말들은 단말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 받기위해 콘텐츠 제공자에게 HTTP 헤더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말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이 없어 서비스망 외부의 콘텐츠를 사용할 때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는 상호운용성의 문제가 있다. 국외에서는 OMA(Open Mobile Alliance)의 UAProf(User Agent Profile)을 사용하여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UAProf을 사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지원 정보, 스마트카드 지원 정보, 외부 저장소 지원 정보 등에 대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단말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의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정보를 표현하는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에 대해 UAProf을 기반으로 확장 설계하였으며, 이에 기반한 콘텐츠 Adaptation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Kim, Hyunjin;Park, Jaemyoung;Cha, Jaeyun;Song, Chang-Ho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제3권1호
/
pp.43-48
/
201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n gait features during mobile phone use while ramp walkin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three healthy adult subjects performed four walking conditions on an outside ramp with a 5 m length, 1.5 m width, and a $5^{\circ}$ angle. All participants were touch screen mobile phone users. Four walking conditions were used: 1) ramp ascent, 2) ramp descent, 3) texting during ramp ascent, and 4) texting during ramp descent. In conditions 3) and 4), subjects texted the words of "Aegukga"-the song of patriotism-while walking. Upon the signal of start, the subjects walked the ramp during texting.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at the length of 3 m excluding 1 m of the start and end of the total length. Each situa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subject, and mean values were calculated. For gait examination, a gait analyzer was used (OptoGait). Results: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3 to 38 years (mean age, 27.73). Eighty-three percent of subjects in our study had experienced an accident during mobile phone use. Texting on a mobile phone while walking significantly decreased ramp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single support (p<0.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tride time, step time, gait cycle, and double support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dence, step length, stride time, step time, and single support during ramp ascent and descent (p<0.05). Conclusions: Texting on a mobile phone while walking significantly decreased gait quality.
본 연구는 국민 채팅 앱으로 일컬을 수 있는 카카오톡을 부모들이 안심하고 초등학교 자녀들이 쓰게 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 자녀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양 대상자 간의 사용자 경험의 차이점을 조사한 후 카카오톡의 개선 영역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을 조사하고, 키즈폰 출시와 한계점, 카카오톡의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부모 8명과 해당 자녀 8명을 대상으로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설문조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대상자의 카카오톡의 구체적인 사용 실태와 관점, 니즈를 파악하였고, 부모들은 신뢰성 부분에서 카카오톡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카카오톡 실제 개선까지 이루어져 부모와 자녀가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카카오톡이 되기를 기대한다.
Kim, Ji-Su;Yun, Doeun;Kim, Hyun Joo;Ryu, Ho-Youl;Oh, Jaewon;Kang, Seok-Min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제24권4호
/
pp.283-291
/
2018
Objectiv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nd to describe the needs for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of cardiac patients. Methods: In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a supervised ambulatory cardiac rehabilitation (CR) program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with the participation of heart failure or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who were smartphone use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martphone usage, demands for smartphone-based disease education, and home health monitoring systems. Result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rincipal diagnosis. Results: Ninety-six patients (66% male; mean age, $5{\pm}11$ years), including 56 heart failure and 40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completed the survey (completion rate, 95%). The median daily smartphone usage time was 120 minutes (interquartile range, 60-300),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martphone function was text messaging (61.5%). Of the patients, 26% stated that they searched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using their smartphones more than 1 time per week. The major source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was Internet browsing (50.0%), and the least sought source was the hospital's website (3.1%). Patients with heart failure express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disease education on treatment plan, home health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and body weight (${\chi}^2=5.79$, 6.27, 4.50, p < 0.05).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expressed a significant need for home health monitoring of body temperature (${\chi}^2=5.25$, p < 0.05). Conclusions: Heart failure and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show high usage of and interest in mobile health technology. A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high demand areas and modified to suit to each principal diagnosis.
해킹 공격자는 공격 근원지 IP 주소를 스푸핑하여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켜 DDoS 공격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응 기술로 제시된 IP 역추적 기술은 DDoS 공격의 근원지를 판별하고 공격 패킷이 실제적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된 경로를 재구성하는 기법이다. 기존의 역추적 기법은 크게 패킷을 중심으로 한 마킹 방법 또는 메시지 방식을 이용한 전향적 역추적 기법과 해킹 공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네트워크 관리 모듈에 의해 공격 경로를 재구성하는 대응적 기법이 있으나 각기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전향적 기법인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라우터에 대한 공격시 취약점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ushback 기능을 적용하여 DDoS 판별/제어 기능을 제공하면서 DDoS 공격 근원지를 역추적하기 위해 개선된 ICW Traceback 기법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역추적 성능을 향상시켰다.
수배전반의 경우 지면 또는 건물의 바닥 면에 바로 설치되며 지진과 같은 진동이나 외부 충격 발생 시 수배전반의 내부 전력기기, 배선 그리고 보호계전기 등의 전기부품 손상,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내진형 수배전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제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의 연구 개발 및 제품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진형 배전반의 진동,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제진형 배전반의 진동 및 환경 데이터수집을 위한 IoT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진형 배전반에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진동 정도 및 온습도 데이터를 측정하고 신뢰성 있는 메시징 전송을 위한 MQTT 프로토콜을 사용하였고, 모니터링과 데이터 저장은 Node-RED를 통해 MySQL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각화를 진행하였다. 제진형 배전반에 IoT 기기를 부착하여 테스트를 진행 하였으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Node-RED의 대시보드 UI에서 진동 및 환경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제21권11호
/
pp.301-311
/
2021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of the last two decades directed the era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oT enables billions of devices to connect through the internet and share their information and resources on a global level. These devices can be anything, from smartphones to embedded sensors. The main purpose of IoT is to make devices capable of achieving the desired goal with minimal to no human intervention. Although it hascome as a social and economic blessing, it still brought forward many security risks. This paper focuses on providing a survey of the most commonly used application layer protocols in the IoT domain, namely,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CoAP),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MQTT), 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 (AMQP), and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XMPP). MQTT, AMQP, and XMPP use TCP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hile CoAP utilizes UDP to achieve this purpose. MQTT and AMQP are based on a publish/subscribe model, CoAP uses the request/reply model for its structuring. In addition to thi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sion of MQTT, AMQP, and CoAP is not very high, especially when the deliverance of messages is concerned. The selection of protocols for each application is very a tedious task.This survey discusses the architecture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applications of each of these protocol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work is to describe each of the aforementioned application protocols in detail as well as providing their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This survey will be helpful to the developers in selecting the protocol ideal for their system and/or application.
Sajjad S. Fazel;Shelby Fenton;Nicole Braun;Lindsay Forsman-Phillips;D. Linn Holness;Sunil Kalia;Victoria H. Arrandale;Thomas Tenkate;Cheryl E. Peters
Safety and Health at Work
/
제14권1호
/
pp.43-49
/
2023
Background: Messaging surrounding skin cancer prevention has previously focused on the general public and emphasized how or when activities should be undertaken to reduce solar ultraviolet radiation (UVR) exposure. Generic messages may not be applicable to all settings, and should be tailored to protect unique and/or highly susceptible subpopulations, such as outdoor worker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t of tailored, practical, harm-reducing sun safety messages that will better support outdoor workers and their employers in reducing the risk of solar UVR exposure and UVR-related occupational illnesses. Methods: We adapted a core set of sun safety messages previously develop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to be more applicable and actionable by outdoor workers and their employers. This study used an integrated knowledge translation approach and a modified Delphi method (which uses a survey-based consensus process) to tailor the established set of sun safety messages for use for outdoor worker populations. Results: The tailored messages were created with a consideration for what is feasible for outdoor workers, and provide users with key facts, recommendations, and tips related to preventing skin cancer, eye damage, and heat stress, specifically when working outdoors. Conclusion: The resulting tailored messages are a set of evidence-based, expert- approved, and stakeholder-workshopped messages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ork settings as part of an exposure control plan for employers with outdoor workers.
본 논문에서는 승강기 비상통화 장치의 활용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시 모니터링 환경의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WebRTC 기반의 비상 화상통화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비상상황 시 승강기 내의 비상 호출 시스템과 유지보수 담당자들 간의 원활한 통화 환경을 제공하고 대상 승강기의 모니터링을 통해 승강기 비상 호출에 대한 신속한 응답 처리를 수행하고 승강기의 물리적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통화에 필요한 제약환경을 극복하여 음성과 영상의 저지연 실시간 화상통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그 성능이 검증된 OpenAPI를 기반으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실시간 화상통화 및 저지연 통화 품질 제공, 그리고 신속한 메시징 방식의 비상상황 전파 방식을 통해 비상 화상통화 장치의 성능 및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제시된 시스템 구조는 승강기 제어반 및 다양한 장치와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기능 확장 및 신뢰성 있는 서비스 환경을 통해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지능적 모델을 구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