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iodistal width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인에서의 혼합치열기 공간분석 (The prediction of the tooth size in the mixed dentition for Korean)

  • 문성환;김성오;유형석;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1
    • /
    • 200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의 크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방정식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맹출 치아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혼합치열기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이 모이어의 예측 표와 다나카와 존스턴의 방정식이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백인을 위해서 제작된 것이고 치아 크기는 인종에 따라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아크기를 측정하여 하악 영구 절치의 크기 합과 견치 및 소구치의 크기 합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서 한국인에 맞는 예측표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178명의 한국 학생(남 108명, 여 70명, 평균연령 21.63)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을 석고모형상에서 calipers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성별간의 치아 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p<0.05). Correlation coefficient는 0.57에서 0.64의 범위였고,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는 여성에서 0.6으로써 남성보다 우수하였다. ${\gamma}^2$값은 0.27에서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한국인 소아에서 제2유구치에 대한 러버댐 클램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 박미래;마연주;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5
    • /
    • 2013
  •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구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무치악 환자를 위한 참고점들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reference points for edentulous patient)

  • 박정재;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0-317
    • /
    • 2015
  • 목적: 한국 성인 유치악자를 대상으로 치아와 안모 사이의 크기 및 형태적인 상관관계, 구강 내 해부학적 기준점들과 치아배치 양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총의치 제작 시 무치악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기준점들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 치의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상악 6전치가 정상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성인 남성 270명 여성 280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악안면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외과적 치료를 받은 경우, 교정치료를 받은 경우, 선천적으로 상악 전치부 치아 형태 및 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악 전치부 치관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수복치료를 받은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항목은 안모의 외형, 협골궁 폭경, 안모의 길이, 상악중절치의 형태 및 장경, 상악6전치의 치관 폭경, 견치간 거리, 절치유두 중심에서 중절치 순면까지의 거리, 절치유두 중심에서 양견치 첨단을 지나는 선까지의 수직거리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안면계측항목과 모형계측항목간의 비율 및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모의 외형과 상악 중절치의 형태가 일치하는 비율은 남성 55.56%, 여성 46.43%, 전체 50.91%이었다. 1) 협골궁 폭경과 상악중절치 폭경, 상악6전치 연합폭경의 비율은 각각 16.8 : 1, 3.0 : 1이며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상모학상 안모의 길이(Trichion-Gnathion)와 상악중절치 치관 장경, 코뿌리점-턱끝융기점간 거리(Nasion-Gnathion)와 상악중절치 장경과의 비율은 각각 19.7 : 1, 11.6 : 1이었고 남성에서는 코뿌리점-턱끝융기점간 거리가, 여성에서는 안모의 길이가 더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절치유두 중심과 양 견치첨단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수직거리는 $1.33{\pm}1.08mm$이었다. 4) 절치유두 중심에서 중절치 순면까지의 거리는 $9.23{\pm}1.20mm$이었다. 결론: 총의치 제작에 사용되는 기준점들은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효용성을 가지며, 중요한 해부학적 지표가 임상적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수치에서 차이를 보이고 개별적인 편차를 가지므로 인공치아의 선택이나 배열 후 환자의 동의를 받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석고 모형분석에 의한 치아 밀집의 통계학적 연구 (A STATISTICAL STUDY OF DENIAL CROWDING WITH DENIAL CAST ANALYSIS)

  • 손병화;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3-285
    • /
    • 1991
  • Crowded group is composed of 60 subjects who visited Yonsei University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has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Noncrowded group is composed of 26 subjects who has no crowding, considered to have a normal occlusion and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Currently available and approved analytic method was u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tooth size and arch size, and it's correlation on tooth crowding was stud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omparison of sum of mesiodistal width, of crown size of teeth was greater in noncrowded group than that of crowded group on both arch. (p < 0.01). 2. In comparison of arch lengths, the values measured from arch length 2 showed greater in noncrowded group (p < 0.01). Also in crowded group, arch length 1 showed greater value than arch length 2 on both arch (p < 0.01). 3. In comparison of arch widths, upper interlateral (p < 0.01) and upper intercanine width (p < 0.05) showed greater value in noncrowded group on upper arch and intermolar width showed greater value in noncrowded group on both upper and lower arches (p < 0.05). 4. In comparison of arch perimeters, arch perimeter 2 was greater value in noncrowded group on both upper and lower arches (p < 0.01). 5. Dentoalveolar disproportion was greater in noncrowded group on both upper and lower arches (p < 0.01). 6. In lower incisors MD/FL ratio, the central and lateral incisors were greater in crowded group, but statistial significance was only in lateral incisors (p < 0.01) 7. The irregularity index of lower incisors showed greater value in crowded group (p < 0.01).

  • PDF

Analysis of crown size and morphology, and gingival shape in the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in Korean young adults

  • Song, Jae-Won;Leesungbok, Richard;Park, Su-Jung;Chang, Se Hun;Ahn, Su-Jin;Lee, Suk-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4호
    • /
    • pp.315-32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dimensions of clinical crowns and to classify the crown and the gingival type in the anterior teeth in Korean young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Casts were obtained from 50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24 to 32. Measurements of length and width were made on the casts using a pair of digital calipers on the entire dentition. Crown thickness and papilla height were also measured and MDW/CL (mesiodistal width to clinical length) and CW/CL (cervical width to clinical length) ratio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calculated. The K-clustering method was used for CW/CL to classify the anterior tooth shape into three groups (tapered, ovoid, and squar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post-hoc comparison were us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ooth shape and papillary height (PH)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ooth shape and gingiv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as 9.89 mm; the mesio-distal width was 8.54 mm; and the ratio of width/length was 0.86 in Korean young adults. The average bucco-palatal thickness of the central incisor was 3.14 mm at the incisal 1/3 aspect. Ovoid type was the most common tooth shape (48%), followed by square type (29%) and taper type (23%) in the central incisors of Korean young adults. Tooth shape and gingival type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CONCLUSION. New reference data were established for tooth size in Korean young adults and the data show several patterns of tooth shape and gingival type. Clinicians should diagnose and trea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for better results in the Korean population.

치아 크키와 치열궁 폭경이 치아밀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Dental Crowding to Tooth Size and Arch Width)

  • 황현식;김정태;조진형;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88-496
    • /
    • 2004
  • 본 연구는 치아밀집이 과도한 치아크기에 의해 나타나는지 아니면 좁은 치열궁으로 인해 초래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앵글씨 1급 구치관계를 가지면서 상악 하악 모두 7mm이상의 치아밀집을 나타내는 경우와 정상교합자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82조(남29, 여53)의 치아밀집 석고모형과 82조(남37, 여45)의 정상교합 석고모형에서 각 치아의 치관 근원심폭경과 협측 및 설측 치열궁 폭경을 측정하고 치아밀집군과 정상교합군 간에 비교한 결과 치관근원심폭경과 치열궁 폭경 모두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아밀집의 기여요인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 치아밀집은 치열궁과 치아크기, 모두에 의해 초래됨으로 치열궁 확장 및 치아발치, 모두가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종 근관확대 기구를 이용한 근관 형성후의 근관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OOT CANAL SHAPE FOLLOWING CANAL PREPARATION OF VARIOUS CANAL ENLARGING INSTRUMENTS)

  • 최호영;민효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74-8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ing root canal angulation and shape change after using various enlarging instruments. The mesial canals (120) of extracted human mandibular 1st and 2nd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Control, K-type me, Heliapical me, Canal Master me, sonic and ultrasonic instrumentation group. Vertical angulation of each canal was determined by a straight line through the long axis of canal and another straight line through the apical foramen to intersect at the point where the canal began to leave the long axis of the tooth. By recording and comparing the measured angles of the each set of pre-and postinstrumentation. Then, the roots were sectioned horizontally in the apical, middle, coronal thirds and the canal shapes examined, as was the mesiodistal canal diameter as it relates to the external root surf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strumentation using K-type me group resulted in the highest mean change in angulation ($9.900^{\circ}$) (p < 0.005), while Sonic Air MM 3000 group resulted in the least degree of straightening canals ($8.250^{\circ}$) (p < 0.005). 2. Canal Master file group resulted in the best canal shape at the three levels (P < 0.005). 3. Measured minimal mesial root width produced Heliapical me group at the apical 1/3 level, Sonic Air MM 3000 group at the middle 1/3 level, Heliapical me group at the coronal 1/3 level (P < 0.005). 4. Measured minimal distal root width produced Sonic Air MM 3000 group at the apical 1/3 level (P < 0.05), Heliapical me group at the middle 1/3 level (P < 0.005), Canal Master me group at the coronal 1/3 level (P < 0.005). 5. HeIiapical me group produced more increased canal diameter than any other groups (P < 0.005).

  • PDF

Strip 형 유리치은 이식술이 부착지은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using free gingival graft with strip technique)

  • 이동열;권영혁;박준봉;허익;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305-318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when free gingival graft with strip technique was used. After the partial thickness flap was prepared, it was positioned apically more than 7mm using mucoperiosteal suture. At the donor site, strip was achieved with 2mm width, less than 1mm thickness, (mesiodistal teeth length + 6)$^{\ast}$2 mm length. Then, it was divided into 2 same pieces and located at the recipient bed apico-coronally with more or less 3mm interval. Follow-up check was made at 1,2,4,8,12 weeks after the 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nter-strip space was mostly filled with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2. The contraction of the graft was nigligible, and 92% of planned area was filled with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3.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s at donor site was minimal. 4. The width of the strip was widened. In conclusion, free gingival graft using strip technique is useful to achieve the keratinized attached gingiva maximally with free gingival graft minimally an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donor palatal site of the patients.

Periodontal tissue reaction to customized nano-hydroxyapatite block scaffold in one-wall intrabony defect: a histologic study in dogs

  • Lee, Jung-Seok;Park, Weon-Yeong;Cha, Jae-Kook;Jung, Ui-Won;Kim, Chang-Sung;Lee, Yong-Keu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2권2호
    • /
    • pp.50-5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histologically the tissue responses to and the effects of a customized nano-hydroxyapatite (n-HA) block bone graft on periodontal regeneration in a one-wall periodontal-defect model. Methods: A customized block bone for filling in the standardized periodontal defect was fabricated from prefabricated n-HA powders and a polymeric sponge. Bilateral $4{\times}{\times}4{\times}5$ mm (buccolingual width${\times}$mesiodistal width${\times}$depth), one-wall, critical-size intrabony periodontal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at the mandibular second and fourth premolars of five Beagle dogs. In each dog, one defect was filled with block-type HA and the other served as a sham-surgery control. The animals were sacrificed following an 8-week healing interval for clinical and histological evaluations. Results: Although the sites that received an n-HA block showed minimal bone formation, the n-HA block was maintained within the defect with its original hexahedral shape. In addition, only a limited inflammatory reaction was observed at sites that received an n-HA block, which might have been due to the high stability of the customized block bone. Conclusions: 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customized n-HA block could provide a space for periodontal tissue engineering, with minimal inflammation.

치열궁 길이 부조화의 기여요인과 예측도에 관한 연구 (CAUSATIVE FACTORS AND PREDICTABILITY OF ARCH LENGTH DISCREPANCY)

  • 정민호;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7-471
    • /
    • 1997
  • 본 연구는 치열궁 길이 부조화(Arch length discrepancy : 이하 ALD)의 원인요소간의 상대적 중요성과 혼합치열기에서의 예측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Angle씨 I급 대구치관계이며 근기능 이상이나 골격형태의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142명의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성별과 ALD의 양에 따라 여섯군으로 나누어 각 치아의 크기와 치열궁 각 부위의 크기를 계측하였다. SPSS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군의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Student t-test,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을 이용한 ALD의 예측가능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정상군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spacing군은 대부분의 계측치에서, crowding군은 몇가지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남자crowding군과 여자 spac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주로 치아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남자 spacing군과 여자crowding군은 해당 정상군에 비해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상관관계분석과 요인분석결과에서는 주로 치열궁의 크기에 관한 계측치들이 ALD와 큰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5. 혼합치열기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중절치, 측절치, 제1대구치의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 치열궁 장경 을 이용한 ALD의 다중회귀분석은 최소 $63\%$에서 최대 $80\%$의 예측도(R square)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