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kle proof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머클트리를 활용한 영상무결성 검사 기법 (Video Integrity Checking Scheme by Using Merkle Tree)

  • 강윤희;장은영;권태언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39-46
    • /
    • 2022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영상과 사운드를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가 생성되어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에 전송된 후 저장되어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을 위해서는 해당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검증은 필수적이며, 검증 자료의 네트워크 대역폭 효율성 보장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상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들을 유지 및 관리하며 제공하는 서버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서버는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듈인 Logger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영상데이터의 검증을 수행하는 모듈인 Verifier에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해시값을 사용하여 경량 머클트리를 구성한다. 경량 머클트리(light-weight Merkle tree)는 두 버젼의 영상프레임 인덱스의 해당 영상프레임 변경사항을 개별 해시값의 비교 없이도 빠르게 무결성 위반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대역폭 효율성을 갖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해시값을 생성하여 경량 머클트리를 구성하고, 이를 무결성 검증의 증명 수행 결과로 제시한다.

블록체인 상호호환성 메커니즘 (Blockchain Interoperability Mechanism)

  • 쩌우칭;이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76-168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모듈화, 추상화, 계층화 개념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크로스-체인 개념의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컨센서스 알고리즘과 특정한 응용 로직으부터 크로스-체인 기능을 분리하며, 크로스-체인운영의 타당성과 합법성을 보장하기 위해 머클 증명을 활용한다. 또한, 동종 블록 체인과 이종 블록 체인의 기본 구현이 다르기 때문에 크로스-체인에서는 이를 분리하여 다루기로 한다. 동종 블록 체인의 경우 TCP와 유사한 크로스-체인 전송 프로토콜(CCTV)을 제안한다. 이종 블록 체인의 경우 크로스-체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릴레이 체인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식은 크로스-체인 데이터의 정확하고 효과적이며 신뢰할 수 있고 질서 있고 시기 적절한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신뢰실행환경(TEE) 기반의 블록체인 오프라인 결제 프로토콜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Based Blockchain Offline Payment Protocol)

  • 정동현;김범중;이중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5호
    • /
    • pp.1021-1035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TEE-BOP(Trusted Execution Environment-Based Blockchain Offline Payment)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TEE-BOP는 신뢰실행환경(TEE) 내에서 오프라인 잔액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머클 트리를 활용해 블록체인에 기록된 초기 입금 증명을 효율적으로 검증한다. 또한, TEE Attestation을 통해 생성된 키와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함으로써,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무결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연구와 달리, TEE-BOP는 중앙 기관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하고 이상적인 모델을 가정하지 않음으로써,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본 프로토콜은 다층적 방어 메커니즘으로 이중 지불 문제를 해결하고, 수취인이 TEE와 블록체인 간의 데이터 일치를 직접 검증하는 방식으로 위조 방지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가 불안정한 지역에서도 신뢰성 있는 블록체인 기반 오프라인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본 연구가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개발도상국이나 재난 상황에서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