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ship Projec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정보 영재반 중학생들의 IT 융합 사사 프로젝트 수행에 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IT fused Mentorship Project Performance with Gifted Secondary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Class)

  • 전영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5-58
    • /
    • 2016
  • 이 논문은 2년의 수학-정보 통합 영재교육 과정을 마치고 사사과정에 진입한 중학생들이 IT 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를 분석하고 형성평가의 관점에서 사사과정 프로그램을 보완할 요인을 도출하였다. 담당 교수는 학생들이 중학생 3학년의 수준과 사사 과정의 특징을 감안하여 로봇키트와 미디어를 융합한 상호작용적 IT 융합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안내해 주었다. 2015년 2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사사과정 기간 동안 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 관한 문서와 보고서를 비롯하여 사진 및 동영상 자료, 작업 결과물, 학생들과의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컴퓨팅 실력과 IT 융합 프로젝트에 대한 흥미가 제각기 달랐음에도 팀별 프로젝트 수행은 아이디어 탐색과 설계에 해당되는 초기 단계보다 그 이후의 구현 단계에서 적극적이고 안정된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의 산출물을 연구와 교육(R&E)의 9단계 모델에 따라 형성평가한 결과 작품 완성도에서 상중하에 따른 개인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이 사례는 향후에 질적으로 보완해야 할 방향 및 사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미적 체험을 강조한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발도르프교육의 작도교육의 활용 - (A Case Study on the Mentorship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with Construction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s. - Focused on Waldorf Education -)

  • 조영미;정연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21-636
    • /
    • 2013
  • 최근 수학의 정의적 영역의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지만, 정의적 영역과 관련되어 있는 수학의 심미적 가치는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등교육에서 아이들의 감성의 발달과 예술성에 바탕을 둔 발도르프교육에서 활성화된 작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미적 측면이 강조된 영재 사사교육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 수업에서는 특별히 '심미적 안목', '통합적 안목', '실질적 기능'의 함양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작도를 통하여 기하학적 구조가 지닌 특성을 심미적 체험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중에서 이슬람 문양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협력하여 만든 공동의 주요 산출물을 제시하였다.

  • PDF

Strengtheni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Tuberculosis Prevention Capacity among South African Healthcare Workers: A Mixed Methods Study of a Collaborative Occupational Health Program

  • Liautaud, Alexandre;Adu, Prince A.;Yassi, Annalee;Zungu, Muzimkhulu;Spiegel, Jerry M.;Rawat, Angeli;Bryce, Elizabeth A.;Engelbrecht, Michelle C.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2호
    • /
    • pp.172-179
    • /
    • 2018
  • Background: Insufficient training in infection control and occupational health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in countries with hig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nd tuberculosis (TB) burdens requires attention.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1-year Certificate Program in Occupational Health and Infection Control conducted in Free State Province, South Africa in an international partnership to empower HCWs to become change agents to promote workplace-based HIV and TB prevention. Methods: Questionnaires assessing reactions to the program and Knowledge, Attitudes, Skills, and Practices were collected pre-, mid-, and postprogram. Individual interviews, group project evaluation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also condu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rank test. Qualitative data were thematically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Kirkpatrick framework. Results: Participants recruited (n = 32) were mostly female (81%) and nurses (56%). Pre-to-post-program mean scores improved in knowledge (+12%, p = 0.002) and skills/practices (+14%, p = 0.002). Preprogram attitude scores were high but did not change. Participants felt empowered and demonstrated attitudinal improvements regarding HIV, TB, infection control, and occupational health. Successful projects were indeed implemented. However, participants encountered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trying to sustain improvement, due largely to lack of pre-exis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combined with inadequate staffing and insufficient management support. Conclusion: Training is essential to strengthen HCWs' occupational health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ttitudes, skills, and practices, and workplace-based training programs such as this can yield impressive results. However, the considerable mentorship resources required for such programs and the substantial infrastructural supports needed for implementation and sustainability of improvements in settings without pre-existing experience in such endeavors should not be under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