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opause managemen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부에서의 최대 골밀도 및 골소실률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ge-related Bone Loss and Peak BMD in Korean)

  • 김영란;박창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7-83
    • /
    • 2018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 2차년도에 참여한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골부위의 최대 골밀도 변화와 골 소실률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도 하였다. 척추와 대퇴부 부위의 골밀도 차이는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는 Cub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에서의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20-2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5-79세에서 대퇴부에서는 80세 이상에서 골 소실률이 가장 높았다. 여성에서는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40-4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0세 이상에서 대퇴부에서는 75-79세, 80세 이상, 55-59세 순으로 골 소실률이 높았다. 따라서, 남성에서는 75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검사율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여성에서는 50대 이후에서 폐경과 관련해서 골다공증의 관리 전략을 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생활양식요인을 이용한 골량감소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Reduced Bone mass in Women u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 Life Style Factors)

  • 이은남;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3-109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s for reduced bone mass and to construct prediction model which can classify women with either low or high bone mas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body weight, height, education level, family history, age of menarche, postmenopausal period, gravity, parity, menopausal status, and breast feeding period were identified and factors of life style such as past milk consumption, past physical activity, present daily activity, present calcium intake, alcohol intake, cigarette smoking, coffee consumption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in women. Four hundred and eighty women aged between 28 and 76 who had given measurement bone mineral density by dual energy x-ray absortiometry in lumbar vertebrae and femur from July to October, 1997 at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Pusa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omen were excluded if they had a history of any chronic illnes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diabetes mellitus, hyperthroidism, &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any medication such as calcium supplements, calcitonin, estrogen, thyroxine, antacids, & corticosteroids known affect bone. As a result of these exclusion criteria, four hundred and seventeen women were used for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duced bone mass. A SAS procedure was used to estimate risk factor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lumbar spine, the variables significant were age, body weight, menopause status, daily activity, past milk consumption, and past physical activity(p<0.01), while for femoral Ward's triangle, age, body weight, level of education, past milk consumption, past physical activity(p<0.001). Past physical activity, present daily activity and past milk consumption are the most powerful modifiable predictors in vertebrae and femur among the predictors. When the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outcome with predicted outcome, the model correctly identified 74.1% of persons with reduced bone mass and 84.5% of person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lumbar vertebrae and 82.9% of persons with reduced bone mass and 75.0% of person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femoral Ward's triang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reduced bone mass may be made : First, those woman who are classified as high risk group of the reduced bone mass in the prediction model should examine the bone mineral density to further examine the usefulness of this model. Second, the optimal amount of milk consumption and a regular weight bearing exercise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 should be ensured.

  • PDF

Role of a Risk of Malignancy Index in Clinical Approaches to Adnexal Masses

  • Simsek, Hakki Sencer;Tokmak, Aytekin;Ozgu, Emre;Doganay, Melike;Danisman, Nuri;Erkaya, Salim;Gungor, Tayf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793-7797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edictive role of risk of malignancy index in discriminating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adnexal masses preoperatively.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69 patients with adnexal masses/ovarian cysts managed surgically at our clinic between January 2006 and January 2012. Obtained data from patient files were age, gravidity, parity, menopause status, ultrasound findings and CA125 levels. For all patients ultrasound scans were performed. For the assessment of risk of malignancy index (RMI) Jacobs' model was used. Histopathologic results of all patients were recorded postoperatively. Malignancy status of the surgically removed adnexal mass was the gold standard. Results: Of the total masses, 245 (43.1%) were malignant, 316 (55.5%) were benign and 8 (1.4%) were borderline. The mean age of benign cases was lower than malign cases ($35.2{\pm}10.9$ versus $50.8{\pm}13.4$, p<0.001). Four hundred and five of them (71.2%) were in premenopausal period. Malignant tumors were more frequent in postmenopausal women (81% versus 29%, p<0.001). All ultrasound parameters of RM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favorable for malignant masses. In our study ROC curve analysis for RMI provided maximum Youden index at level of 163.85. When we based on cutoff level for RMI as 163.85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was calculated 74.7%, 96.2%, 94% and 82.6%, respectively. Conclusions: RMI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arker in preoperativ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n adnexal mass, and was useful for referring patients to tertiary care centers. Although utilization of RMI provides increased diagnostic accuracy in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 with an adnexal mass, new diagnostic tools with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re needed to discriminate ovarian cancer from benign masses.

Nausea and Vomiting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cidence and Risk Factor Analysis

  • Wang, Shi-Ying;Zhu, Wen-Hao;Vargulick, Sonya;Lin, Sam Bill;Meng, Zhi-Q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5995-6000
    • /
    • 2013
  • Background: Nausea and vomiting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re common in clinical practice,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such event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nausea and vomiting after TACE for HCC.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a prospectively maintained database. Between May 2010 and October 2012, 150 patients with HCC were analyzed for incidence and preprocedural risk factors. Results: The incidence of postembolization nausea and vomiting was 38.8% and 20.9%,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HCC. Patients who developed nausea had lower levels (<100 IU/L)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LP) compared to those without nausea ($123.04{\pm}69.38$ vs. $167.41{\pm}138.95$, respectively, p=0.044). Female gender correlated to a higher incidence of nausea as well (p=0.024). Patients who developed vomiting,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also had lower levels (<100 IU/L) of serum ALP ($112.52{\pm}62.63$ vs. $160.10{\pm}127.80$, respectively, p=0.010), and serum alanine transferase (ALT) ($35.61{\pm}22.87$ vs. $4.97{\pm}29.62$, respectively, p=0.045).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the incidences of nausea and vomiting between male patients over 50 years old and female patients who have entered menopause (p=0.051 and p=0.409,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female gender and ALP>100 IU/L were the most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of postembolization nausea (odds ratio (OR): 3.271, 95% CI: 1.176-9.103, p=0.023 and OR: 0.447, 95% CI: 0.216-0.927, p=0.030, respectively). ALP>100 IU/L was also the most independent predictive risk factor of postembolization vomiting (OR: 0.389, 95% CI: 0.159-0.952, p=0.039). Conclusions: Postembolizaiton nausea and vomiting are common in patients with HCC. Recognition of the risk factors presented above before TACE is important for early detec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postembolization nausea and vomiting. Nevertheless, future studies are required.

Ca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Predict Bladder Cancer in Women with Haematuria?

  • Yavuzcan, Ali;Caglar, Mete;Kayikci, Muhammet Ali;Basaran, Ekrem;Tekin, Ali;Ozdemir, Enver;Dilbaz, Serdar;Ustun, Yusuf;Cam, Haydar Kami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107-5110
    • /
    • 2013
  • Background: Among women with haematuria, defining individuals under high risk for bladder cancer based on reproductive factors prior to cystoscopy would be of great benefit in the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ge and reproductive factors such as menopausal status, parity, age at first delivery and age at the last delivery between women who have haematuria with or without bladder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63 patients underwent diagnostic cystoscopy in D$\ddot{u}$zce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between 1 June 2008 and 1 June 2013. Female patients who presented with persistent microscopic or macroscopic haematuria and underwent standard evaluation for haematuria including urinalysis, urine culture, urine cytology, urinary tract imaging with excretory urography or computerized tomography with contrast enhancement and endoscopic evaluation of the urethra and blad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xclusion criteria were tobacco use and high risk occupations for bladder cancer such as textile, dry cleaning, painting and etc. Forteen women had hematuria due to benign conditions, and 18 due to bladder cancer. Data were retrospectively retriev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Duzce University Hospital. Results: Patients with haematuria due to benign reaso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patients who were found to have bladder cancer in terms of age (p=0.28), menopausal status (p=0.29), mean parity (p=0.38), being nulliparous (p=0.57), parity ${\geq}3$ (p=0.22), age ${\leq}18$ years at first delivery (p=1.00), age ${\geq}30$ years at last delivery (p=0.26), age ${\geq}35$ years at last delivery (p=0.23) and percentage of the patients with advanced age (${\geq}65$ years) (p=0.18). Conclusions: It is difficult to predict a high risk for developing bladder cancer in women with haematuria based solely on reproductive factors.

50세 이상 폐경여성의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성 (Vitamin D Level in Blood of Menopausal Women over 50 and the Relation with the Proportion Requiring Dental Scaling)

  • 이선희;노상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3-402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변수의 결측 및 당뇨와 골다공증 유병자를 제외하고 최종 1,327명을 연구대상자로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50세 이상) 대상자에서,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양측난소절제술 포함) 여성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룹1 (<10)은 충분 그룹(${\geq}30$)에 비해서 치주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6.66배 높게 나타났다(OR, 6.66; 95% CI, 1.004~44.19). 이상의 결과로 보아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은 폐경여성(양측난소절제술 받은 여성 포함)에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 바, 치주질환 예방 및 관리 시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one Mellow Density in Adults of Domestic Local Area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Focus on Corelation About Eating Habits,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 이태희;김태형;소운영;임희겸;임청환;박명환;천명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16
  •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 detecte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계산된 골밀도 값과 대상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5일부터 2016년 6월 6일까지 00의료원에 내원한 검사자 141명(남: 63명, 여: 78명)을 대상으로 MDCT를 시행하여 HU값을 골밀도의 T-score 값으로 환산하였다. 골밀도를 측정한 대상 부위는 요추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요추이었으며, 남녀별 골밀도 차이와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독립표본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남녀의 골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p<0.05), 연령별 골밀도 값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골밀도 값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남성의 경우는 20대부터 5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20대와 60대 이상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의 경우는 20대부터 4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50대 이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인 경우만이 월경과 폐경, 출산, 음주 유무와 잡곡류, 계란, 기름진 음식 섭취 유무에 대하여 골밀도 변화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남성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DCT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법으로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고,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 기반 고혈압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Effect of a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in women older than 50 years of age)

  • 박서연;권종숙;김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28-241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서울의 3개 지역 보건소에서 5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8주와 추후관리 8주로 구성된 16주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정상혈압군 (71명)과 정상혈압을 초과한 고혈압군 (44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시작 전, 8주 교육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에 실시한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혈액분석,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군의 혈압강하제 복용 비율은 86.4%였고 체중, BMI, 체지방비율, 허리둘레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높았다. 영양교육 8주 후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의 수축기혈압이 감소되었고 (p < 0.05), 체중 (p < 0.001), BMI (p < 0.001), 허리둘레 (p < 0.001), 체지방비율 (p < 0.01)이 감소하였다. 혈액검사결과 고혈압군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 HDL-콜레스테롤 증가 (p < 0.001)와 중성지방 감소 (p < 0.01), LDL-콜레스테롤 감소 (p < 0.05)가 나타났고, 정상혈압군도 HDL-콜레스테롤 (p < 0.001)과 중성지방 (p < 0.01)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일반식습관 총점수와 규칙적인 식습관, 균형 잡힌 식습관, 건강을 의식한 식습관의 항목 소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이 두 군 모두 교육 후 유의적인 상승을 나타냈다 (p < 0.001). 또한 정상혈압군의 나트륨 관련 식행동 총점이 상승되었고 (p < 0.001) 고혈압군에서도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부합하여 고나트륨 함유음식의 섭취빈도 총점이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국수류, 찌개와 탕류, 김치류와 음료류의 섭취빈도가 낮아졌다. 혈압관리를 위한 자기효능감점수의 총점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는데 (p < 0.001) 특히 고혈압군은 자아효능감의 모든 문항점수가 향상되었다. 종합하면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식생활영양교육은 혈압이 높은 군과 정상혈압군 모두에서 혈압관리 뿐만 아니라 신체계측지표 및 혈액지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저나트륨 관련 식행동을 비롯한 일반식습관의 전반적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는 건강위험에 대한 각성, 식생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계기와 모니터링을 통한 실천 관리를 제공한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건강위험이 높아지는 50대 이상 여성의 혈압관리 및 만성질환 예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해 보건소에 기반한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의 유효한 모델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폐경 단계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과 혈관운동증상의 차별적 연관성 (Differential Association of History of Premenstrual Syndrome/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ith Vasomotor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

  • 현홍대;조숙행;정현강;고영훈;권은주;김혜경;고승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57-65
    • /
    • 2015
  • 연구목적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발생하는 월경과 폐경 시기에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이 나타난다는 공통된 임상적 특징과 생물학적 기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폐경기 증상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에서 각각의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의 과거력과 대표적인 폐경기 증상 중의 하나인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16개 지사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한 361명의 폐경주위기 여성과 693명의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혈관운동증상과 월경전 증후군 과거력 및 여러 요인(연령, 결혼, 수입, 교육 수준, 음주, 운동, 흡연,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 스트레스)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 과 전기 폐경주위기를 제외한 후기 폐경주위기, 전기 폐경후기, 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여성에서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전기 폐경주위기, p=0.824 ; 후기 폐경주위기, p=0.001 ; 전기 폐경후기, p=0.001 ; 후기 폐경후기, p=0.01).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PSST score와 혈관운동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후기 폐경주위기, r=0.213, p=0.010 ; 전기 폐경후기, r=0.246, p<0.001). 우울, 폐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생활습관요인 등의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졍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예측하는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후기 폐경주위기, OR=5.197, p=0.005 ; 전기 폐경후기, OR=3.017, p=0.010). 결 론 본 연구는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단위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