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Space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초

세월호 참사 이후 지역 커뮤니티에 형성된 치유의 공간에 대한 지리적 고찰 (A Geographical Study of Therapeutic Spaces after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in a Local Community)

  • 박수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5-53
    • /
    • 2017
  •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시의 고잔동과 와동을 중심으로 나타난 대안적 치유의 공간의 지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월호 참사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치유 대상의 스펙트럼이 넓게 퍼져 있어 개별 치유의 공간이 지향하고 있는 치유의 목표는 그 주체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현재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약 7개 내외로 추산되며, 민간에서 주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등학교 주변이되 시선에서 약간 빗겨간 곳에 위치해 있고, 특별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깨어진 일상을 다시 원래의 자리로 회복시키기 위한 단순하며, 반복적인 일, 예를 들어, 식사, 뜨개질, 학습 등을 주요 치유의 활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유의 대상이 개별 치유의 공간을 장소로 점점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제3자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치유의 주체들이 스스로 끌어가거나, 기억하며, 심지어 앞으로의 방향까지 설계하고 있어 마치 그들만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월호 참사는 직접적인 피해자뿐만 아니라 희생자의 부모, 형제, 친척, 친구, 지역주민 등까지 넓은 범위의 집단에게 트라우마를 지운 사건이었던 만큼 치유의 공간이 지원하는 대상은 폭넓지만, 개별 치유의 공간을 활용하는 대상은 겹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지역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집단 트라우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를 조밀하게 유지하고 상시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셋째, 참사와 같은 트라우마 극복에 있어 사건의 지속적인 기억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지적되는데, 세월호 참사의 경우에는 지역주민들의 피로감 혹은 갈등, 노후화된 안산시를 떠나는 이들, 시간이 지나감에 따른 퇴색되는 분위기 등이 기억의 유지에 위험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치유의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회복, 다양한 이벤트 기획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안산시 외의 다른 단체와도 유기적으로 연결해 세월호 참사의 기억이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PDF

북한지역(北韓地域) 전통주거(傳統住居)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2) -북한출신주민들의 지식체계분석을 통하여-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North Korea(II) - Based on the Memories of Immigrants from North Korea -)

  • 강영환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3호
    • /
    • pp.61-76
    • /
    • 1997
  • A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North Korea(I) have been published in 1996. This paper is written to supplement the preceding paper.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new data of traditional house in North Korea. But still being prohibited for the researchers of South Korea to approach to the field, I had to depend on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the immigrants from North Korea who are now living in Kangwon and Incheon Provinc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drawings, they described vivid memory of their old houses. I was able to add new data of 70 cases, which are significant and valuable as much as those of the real field are. Those data, including the exisiting data, are enough for me to analize statstically the regional charateristics, the differnces among economical classes, and the periodical change. It opens the way for verfying the existing theory. Regional charateristics of house in North Korea can be described as followings: a. Hamkyong-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Double-fold type plan, Including 'cheongju-kan' space, Weak fences b. Pyongan-do ; Concentrat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二 shape buildings ,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c. Pyongannam-do to Myolak mountains; Concentraing spaces into two buildings, ㄱ, ㄷ shape buildings, Single-fold type plan, Strong fence d. Southern area of Myolak mountains; Concentrating spaces into one building ㅁ shape building, Single-fold type plan with wooden floor space

  • PDF

구매심리과정(AIDMA)모델을 적용한 식음공간의 실내디자인요소 분석 (Analysis of Interior Design Elements in Food and Beverage Apply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Purchasing(AIDMA) Model)

  • 이미진;한정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2-1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hat can improve added value of commercial space strategically using the ident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consumers' purchasing psychology (AIDMA : Attention, Interest, Desire, Memory, Action) and elements of interior design. For this purpose, case study and survey were carried out on food and beverage spaces, where they were doing business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selected from the ones appeared in the interior journal "A." Based on the study, basic details including a ground plan, design summary and representative image were identifi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a researcher visited the target spaces and carried out a research and analysis on interior design elements. Three spaces among targets of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design elements and AIDMA items which consumers feel,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stomers of the selected food and beverage spaces. Results of the case study on the 18 food and beverage spaces showed that features of the each of AIDMA items in material and color elements were most well expressed. As a result of survey conducted on visitors of each food and beverage space, features of each item were expressed in overall design elements. In particular, space elements and color elements in "Space 1," space elements and lighting elements in "Space 2" and space elements, furniture & objet elements in "Space 3" were most well expressed in each space.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design concept, location and business operation of target food and beverage spaces but attributes of AIDMA items were remarkably recognized in common in the space elements.

  • PDF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Flagship store)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데페이즈망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eatures of Depaysement Observed in Interior Spaces of Fashion Flagship Stores)

  • 전민지;김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01-210
    • /
    • 2014
  • Recently, it is considered that the fashion flagship stores are being standardized as they are focusing only on external decorations and that they are hardly expressing their own intrinsic identities. That being the case, the fashion flagship stores are, now, pursuing diversity and are trying for any experimental designs in order to make their spaces more unique than those of other fashion flagship stores are, and regarding customers who would visit the stores, they have this desire to experience spaces, which are all unusual and different, just quickly while they shop. The topic of this study, depaysement which is making it unfamiliar, applies some unfamiliar a stimulus to people, and that makes the users remember this realization of original images and psychological stimuli as long as possible as leading the users to experience those spaces of special values.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categorizes the features of depaysement into those groups, such as distortion of scales, juxtaposition of foreign materials, fantasy and ambiguity of a boundary, and analyzes the interior spaces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s. After all, this study applies depaysement to the fashion flagship stores' interior spaces, which have been all familiarized and standardized through some habitual relations, and works on different stimuli in order to invite the users to experiences of those totally new senses which are different from what the users have been felt in their daily lives. In the end, the study aims to propose ideas for how to design a place attractive enough to make the users revisit the place as after going through such memory process mentioned on the above.

에너지 관점에서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메모리 접근 형태 (Memory Access Behavior of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in Energy Viewpoint)

  • 양희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3호
    • /
    • pp.223-228
    • /
    • 2005
  •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메모리가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임베디드 자바가상기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자바가상기계의 개발을 위해서는 자바 메모리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프로그램 실행 시 수많은 바이트코드들이 어떻게 논리적 메모리를 접근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런 접근 형태 분석은 자바 메모리의 설계 및 구현 기술을 선택하는데 큰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힙, 오퍼랜드 스택, 지역변수배열 등 세 가지 논리적 데이터 공간에 대해 각각 메모리 접근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오퍼랜드 스택이 가장 빈번하게, 또한 균일하게 사용되었으며 힙이 가장 드물게, 그리고 불균일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힙과 지역변수배열은 읽기 위주로 사용되었으며, 오퍼랜드 스택은 읽기와 쓰기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트리 자료구조를 이용한 비 휘발성 메모리의 가비지 수집 기법 (Garbage Collection Technique for Non-volatile Memory by Using Tree Data Structure)

  • 이도근;원유집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2호
    • /
    • pp.152-162
    • /
    • 2016
  • 비 휘발성 메모리를 할당받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 휘발성 메모리 전용의 가비지 수집 기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비 휘발성 메모리 할당 정보 관리용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고 이를 Allocation Tree라고 명명하였다. 이 메타데이터는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트리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었고, 하나의 노드 안에는 할당 메모리 시작 주소와 저장소 ID 정보가 키-밸류 형태로 저장된다. 비 휘발성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여 가용 공간이 70% 이하로 떨어지면 가비지 수집기가 작동되어 가비지 수집을 수행하게 되고 Allocation Tree와 사용자 데이터를 비교하여 가비지를 판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알고리즘을 Persistent Heap기반의 메모리 할당 플랫폼인 'HEAPO'에서 구현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증명하였다.

GPU를 이용한 Quantum-Inspired Evolutionary Algorithm 가속 (GPU-Based Acceleration of Quantum-Inspired Evolutionary Algorithm)

  • 류지현;박한민;최기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9권8호
    • /
    • pp.1-9
    • /
    • 2012
  • Quantum-Inspired Evolutionary Algorithm(QEA)은 알고리즘 자체에 충분한 data-level parallelism이 내재되어 있어 GPU를 이용한 가속에 용이하다. 그러나 효과적인 실행시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CPU와 GPU에의 적절한 task-mapping이 필요하다. 이때 단순히 함수 자체의 병렬성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CPU와 GPU간의 데이터 전송도 고려하여 task-mapping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추가적인 성능향상을 위하여 zero-copy host memory와 적절한 execution configuration의 사용, 그리고 memory coalesc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30,000개의 item수를 가진 0-1 knapsack problem에 대한 QEA의 수행을 multi-threading CPU에 비해 평균 3.69배 빠르게 할 수 있었다.

섹터 매핑 기법을 적용한 효율적인 FTL 알고리듬 설계 (Design of an Efficient FTL Algorithm for Flash Memory Accesses Using Sector-level Mapping)

  • 윤태현;김광수;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2B호
    • /
    • pp.1418-1425
    • /
    • 2009
  • 본 논문은 플래쉬 메모리 접근시 erase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섹터 매핑 기법을 적용한 FTL (Flash Translation Layer)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블록 매핑 기법을 적용한 기존의 알고리듬에 비하여 제안한 알고리듬은 섹터 단위의 매핑 테이블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섹터 매핑 기법을 사용하여 erase 횟수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메모리 억세스 시간을 줄이고 플래쉬 메모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듬에서는 write를 위한 빈 공간이 없을 때 erase 횟수가 가장 적은 블록을 victim 블록으로 선택함으로써 wear-leveling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을 검증하기 위하여 MP3 재생기, 동영상 재생기, 웹 브라우저, 문서 편집기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을 사용하였을 때 기존의 BAST, FAST 알고리듬과 비교하여 72.4%, 61.9%의 erase 횟수가 감소하였다.

평가와 선택기법에 기반한 대표패턴 생성 알고리즘 (A Representative Pattern Generation Algorithm Based on Evaluation And Selection)

  • 이형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9-147
    • /
    • 2009
  • 메모리 기반 추론 기법은 단순히 학습패턴이나 대표패턴의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며 테스트 패턴과의 거리 계산을 통하여 분류한다. 이 기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습 패턴 전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학습 패턴들을 대표 패턴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 다른 기계학습 방법에 비하여 많은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며, 저장되는 학습패턴이 증가할수록 분류에 필요한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과 분류 성능의 향상을 위한 EAS 기법을 제안하였다. 즉, 학습패턴에 대해 분할공간을 생성한 후 생성된 각 분할공간을 MDL기법과 PM기법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 결과 가장 우수한 분할공간만을 취하여 대표패턴으로 삼고 나머지는 다시 분할하여 평가를 반복하는 기법이다.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에서 벤치마크 데이터를 발췌한 실험 자료를 사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과 메모리 사용량에 있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기억의 경관에서 미적 경험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Landscape of Memory)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29-140
    • /
    • 2017
  • 본 연구는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이나 메모리얼 등 기존 모습을 유지한 채 근대적 기억을 담은 장소와 경관을 만드는 최근 조경 설계 경향에 대한 미학적 해석이다. 논의의 주요 대상은 방문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집단 기억을 간직한 대형 공원과 오픈스페이스다.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일어나는 방문자의 미적 경험은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 등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미학적 개념이 강도 높은 트라우마 기억과 연관될 경우 방문자는 병적 상태에 다다를 위험이 있다. 그러나 '방문'을 통해 미적 경험이 이루어진다는 장소와 경관의 매체적 특성에 의해 방문자는 기억의 장소와의 거리를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억의 장소에서 온전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숭고, 노스탤지어, 멜랑콜리를 통한 미적 경험은 시간성의 발현과 비가역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시간성이란 장소와 경관이 가진 기억과 시간의 특성을 의미하며, 기억의 장소와 경관에서 발현되는 시간성은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의 비가역성에 기초한다. 이 때 방문자가 가진 기억과 배경지식은 장소 기억과 더불어 장소와 경관에서 미적 경험을 구축해 나가는 주요 요소이다. 본 연구는 기억의 장소와 경관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장소 기억과 방문자의 기억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방문자의 기억에 소홀했던 물성 중심적 설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 또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