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lilotus dentatus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3 seconds

A New Record for Invasive Alien Plant: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Desf. (Fabaceae) in Korea

  • Se Ryeong Lee;Eun Su Kang;Hyeon Jin Jeong;Dong Chan S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6 no.3
    • /
    • pp.219-224
    • /
    • 2023
  •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Desf. is an invasive plant native to Europe, Russia, Uzbekistan, Mongolia and China. It was introduced to North America to create grazing areas for livestock; its growth has since become uncontrollable. Melilotus dentatus is now found in Namyang-eup, Hwaseong-si, Gyeonggi-do, South Korea as an alien plant.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Melilotus suaveolens Ledeb. and Melilotus officinalis (L.) Lam. M. dentatus differs from other species based on its oblong leaflets, distinct teeth, two ovules, surface of the legume that is minutely reticulate-nerved or smooth, and seeds that are dark green to greenish brown. Here, we have provided a detailed description and photographs of the alien species M. dentatus as well as an updated key to five Melilotus taxa studied, which will help prepare a continuous monitoring and management plan.

Unrecorded iNvasive Alien Plant: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Pers. (Fabaceae)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서양전동싸리 (콩과))

  • Se Ryeong Lee;Eun Su Kang;Hyeon Jin Jeong;Dong Chan S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9-49
    • /
    • 2022
  • 경기도 화성시 일대에서 미기록 침입외래식물인 서양전동싸리(Melilotus dentatus)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아시아, 유럽 원산이며, 주로 경작지와 공원, 정원 등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발견된다. 국내에서 발견된 서양전동싸리는 경작지 내 작물의 종자와 함께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농수로를 따라 인근 주변에서 약 15개체의 생육이 확인되었다. 국내 전동싸리속은 모두 외래식물로 현재 4종(M. suaveolens, M. albus, M. indicus, M. officianalis)이 보고되었으며 탁엽 기부가 엽병에 합착되고, 3출 우상복엽이며, 긴 총상화서,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 열매를 가지는 공통된 형태적 특징으로 서양전동싸리와 혼동되기 쉽다. 그러나 본 종은 탁엽이 피침형이고, 소엽이 장타원형이며, 거치가 뚜렷하고, 배주가 2개이며, 종자의 색이 녹갈색인 특징으로 국내 근연 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양전동싸리의 실체와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학적 기재 및 화상자료를 비롯하여 주변식생 목록과종 식별을 위한 검색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