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ju soybean fermentatio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전통 식품으로 메주발효 (Meju Fermentation for a Raw Material of Korean Traditional Soy Products)

  • 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61-175
    • /
    • 1995
  • 메주는 간장과 된장의 원료로 우리나라의 식물성 단백질인 조선 전통식품으로 중요하다. 조선 전통식으로 농가에서 만들어진 23종류의 메주덩어리를 수거하여, 29종의 균과 한 종의 세균을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이러한 중에서 다만 몇개의 미생물만이 메주발효과정에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나머지 미생물은 메주발효에서 잘못 발효로 일어나는 오염 미생물로 밝혀졌다. 메주발효과정에서는 물리적인 변화로 건조과정(수분활성도)과 열방생과정이 메주발효 중에 일어나며, 이러한 과정이 미생물(대부분의 경우 메주 표면에서는 균)의 천이를 유도시켜 메주의 생화학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의 천이 과정에서 수분이 많았을 때는 물곰팡이인 접합균이 첨 서식한 것이 발견되었으며, 메주발효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포자를 방출하는 Scopulariopsis brevicaulis는 메주표면에서 고초세균인 Bacillus megatrium와 함께 후기 발열반응과정에서 발견되고 있었다. 미생물들이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관한 조사에서, 각각의 미생물들은 콩 단백질 분해에 서로 상호보안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접합균들은 조선 전통의 메주발효과정에서 후기 메주발효를 유도하는 중요한 균으로 관찰되었다.

  • PDF

루우핀콩의 발효에 관한연구(I I) -한국 재래식 장유 제조시험 -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Lupin Seed (II) -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been Sauce and Paste -)

  • Oh, Sung-Hoon;Lee, Cherl-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1-248
    • /
    • 1983
  • 본 실험은 대두콩 대신 루우핀콩으로 메주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면서 숙성기간 중에 일어나는 성분 변화를 측정함과 동시에 대두콩으로 제조한 메주와 그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완전히 익은 콩에 Asp. oryzae를 접종하여 개량식 메주를 제조하였고, 건조된 메주는 소금물에 담궈 4주동안 숙성시켜 간장과 된장을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숙성 기간중 단백질 분해효소와 전분 분해효소의 활성은 대두콩 메주에서보다는 루우핀콩 메주에서 더 높았으며,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에서의 증가는 발효된 된장과 간장의 $\alpha$-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증가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숙성 중 간장의 색깔이 진한 갈색으로 되는 정도는 대두콩 메주와 비교할때, 루우핀콩 메주에서 더 빨랐다. 또한 이렇게 발효된 간장과 된장에 대해 관능검사한 결과 루우핀콩 된장은 전반적인 품질면에서 대두콩으로 제조한 된장에 비해 떨어졌으나 루우핀콩 간장은 전반적인 품질면에서 만족할 수 있었다.

  • PDF

싹튼 콩으로 제조한 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 최웅규;김미향;이난희;정연신;황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4-3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동안 싹튼 콩을 원료로 하여 콩알 메주를 제조한 후 발효기간에 따른 각종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전 기간 동안 pH는 6.3-6.5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증자 직후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15.5 mg%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48시간째에는 312.9 mg%를 나타내었다. 발효기간별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곰팡이의 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 호기성 세균과 효모의 수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메주의 제조 시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기산 함량은 점차 높아져 발효 48시간째에는 1,067.3 mg%가 검출되었으며 함량별로는 발효 전 기간에 걸처 citr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함량이 급격히 높아져 발효 48시간째에는 2,513.5 mg%로 발효 전에 비해 5.7배 가량 많이 검출되었다. 함량별로 보면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및 proline의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glutamic acid의 총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48시간째에는 21.2%로 나타났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발효초기에 123.9 mg%로 약간 증가한 후 그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 전 기간 동안 genistein>daidzein>glycitein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추장 메주와 고추 품종별 고추장의 발효특성 비교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 김문숙;김인원;오진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24-933
    • /
    • 1998
  •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was prepared by two common varieties of red pepper and natural fermented (NF) or pure cultured (PC) meju (soybean mass that is soaked, steamed, mashed and fermented by natural microflora or pure strain) and monitored their taste related component, enzyme activity and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at $25^{\circ}C$ for 120 days for confirming possibility of kochujang fermentation control. The reducing sugars, amino type nitrogen (reference quality factor) and amino acid content in PC kochujang were 11.4%, 0.58% and 1,372.9 mg% respectively, 7.1%, 0.42% and 1,038.7 mg% in NF kochujang. It is concerned higher ${\alpha}-{\;}and{\;}{\beta}-{\;}amylase$ and, acid and neutral protease in PC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The meju fermented by selected pure strain (A. oryzae CBU) can be applied to produced better quality of kochujang instead of natural meju.

  • PDF

제조 원료를 달리한 된장의 숙성중 당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이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17-924
    • /
    • 1995
  • 재리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메주로 담금한 된장의 일반성분 유리당 및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은 10.3~14.6%로 재래식 메주 사용의 된장과 나토된장이 높았고 고오지 된장이 낮았다. 수분은 46.9~54.5% 범위로 숙성과정 중 다소 증가하였고 나토된장이 많았다. 에틸알코올은 숙성 75일 까지는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된장에서 높았으나 숙성 90일에 고오지 된장이 2.8%로 최대치를 보였다.총당과 환원당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들 당 함량은 고오지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 재래식 메주사용의 된장, 나토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된장의 유리당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 arabinose가 동정되었으며 이중 glucose, galactose가 타유리당 보다 많았다. 숙성 90일 후에는 glucose나 총 유리당 함량은 재래식 메주로 담근 된장에서 높았고, galactose는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다. 된장의지방산으로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rachidonic acid가 분리되었고, 이 중 oleic acid가 38.5~46.9%로 시험된장 모두에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성기간이나 시험구에 따른 지방산 조성 비율은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 PDF

3단계 발효에 의한 콩 알레르기성의 저하 (Reduction of Allergic Potential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 류충호;이정옥;손대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66-10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서로 다른 미생물을 이용하여 콩을 발효시킨 후 제품의 알레르기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증자 후 가열 살균된 콩은 유산균(Lactococcus actis subsp. lactis) 그리고/또는 황국균(Aspergillus oryzae) 그리고/또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이용하여 발효되었다. 콩 단백질이 발효과정에서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발효과정 후 콩 단백질의 알레르기성과 항원성의 변화는 콩 단백 특이 다클론 항체 또는 콩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환자들의 혈청을 이용하여 면역반응검사법으로 확인되었다. 콩 단백질은 니아신 생성균주 L. lactis subsp. lactis IFO12007와 황국균 그리고 고초균을 이용한 3단 발효에 의해 가장 강력한 분해가 이루어졌다. 3단 발효 후 콩의 알레르기성 및 항원성도 크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3단 발효법은 콩의 알레르기성을 저하시키는 강력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Characterization of Nonaflatoxigenic Aspergillus flavus/oryzae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Meju

  • Sang-Cheol Jun;Yu-Kyung Kim;Kap-Hoon Han
    • Mycobiology
    • /
    • 제50권6호
    • /
    • pp.408-419
    • /
    • 2022
  • Filamentous fungi that could be classified into Aspergillus flavus/oryzae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meju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aflatoxin B1 and ochratoxin A contamination by HPLC; however, no toxin was detected. In addition, fungal and bacterial metagenomic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microbial distribution in the sam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ungi and bacteria differed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production region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of the meju sample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ITS region sequencing, and assessment of the aflatoxin-producing ability, a total of 32 A. flavus/oryzae strains were identified. PCR analysis of six regions with a high mutation frequency in the aflatoxin gene cluster (AGC) revealed a total of six types of AGC breaking point patterns. The A. flavus/oryzae strains did not exhibit the high amylase activity detected in the commercial yellow koji strain (starter mold). However, their peptidase and lipase activiti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koji isolates. We verified the safety of the traditionally fermented meju samples by analyzing the AGC breaking point pattern and the enzyme activities of A. flavus/oryzae strains isolated from the samples. The isolated strains could possibly be used as starter molds for soybean fermentation.

Characterization of Aspergillus sojae Isolated from Meju,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Brick

  • Kim, Kyung Min;Lim, Jaeho;Lee, Jae Jung;Hurh, Byung-Serk;Lee, In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251-261
    • /
    • 2017
  • Initially, we screened 18 Aspergillus sojae-like strains from Aspergillus spp. isolated from meju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brick)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cause members of Aspergillus section Flavi are often incorrectly identified because of their phylogenetic similarity, we re-identified these strains at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genetic levels. Fourteen strains were finally identified as A. sojae. The isolates produced protease and ${\alpha}-amylase$ with ranges of 2.66-10.64 and 21.53-106.73 unit/g-initial dry substrate (U/g-IDS), respectively, which were equivalent to those of the koji (starter mold) strains employed to produce Japanese soy sauce. Among the isolates and Japanese koji strains, strains SMF 127 and SMF 131 had the highest leucine aminopeptidase (LAP) activities at 6.00 and 6.06 U/g-IDS, respectively. LAP plays an important role in flavor development because of the production of low-molecular-weight peptides that affect the taste and decrease bitterness. SMF 127 and SMF 131 appeared to be non-aflatoxigenic because of a termination point mutation in aflR and the lack of the polyketide synthase gene found in other A. sojae strains. In addition, SMF 127 and SMF 131 were not cyclopiazonic acid (CPA) producers because of the deletion of maoA, dmaT, and pks/nrps, which are involved in CPA biosynthesis. Therefore, A. sojae strains such as SMF 127 and SMF 131, which have high protease and LAP activities and are free of safety issues, can be considered good starters for soybean fermentations, such as in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meju, doenjang, and ganjang.

콩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페놀물질획분의 성분분석과 항산화 작용 특성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Fraction Isolated from Soybean Fermented Food)

  • 이정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89
    • /
    • 1997
  • Doenjang(fermented soybean paste) was prepared by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soaking, cooking, first fermentation(3 days at 30$\pm$2$^{\circ}C$) for the preparation of meju(soybean koji) after inoclulation of Aspergillus oryzae, and further fermentation (60 days at 30$\pm$2$^{\circ}C$) for the ripening after addition of salt 13% to meju. the crude phenolics extracted from defatted soybean and doenjang were fractionated onto the neutral phenolics(isofavonoids) and acidic phenolics(phenolic acids), respectively.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fractions were determined. The neutral phenolic fractions contained genistin, genistein and daidzein; on the other hand, acidic phenolic fractions had syringic acid and seven other components. The content of genistin in doenjang dramatical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whereas the content of genistein ra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tent of syringic acid of acidic phenolic fractions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se changes in individual phenolic components affec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neutral phenolics or acidic phenolics.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were evaluated during soybean fermentation. The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eutral phenolic fractions and acidic phenolic fractio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also investigated.

  • PDF

콩알 메주 간장 발효 중 이소플라본 함량 (Isoflavone Content in Soy Sauce mad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during Fermentation)

  • 이희영;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0-465
    • /
    • 2006
  • 기존의 개량식 메주와 이를 콩알 메주로 대체하여 제국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효과 및 생리 기능성을 가진 한식 간장의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간장 발효 중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와 동시에 aglycone 형태의 daidzein과 genistein 함량의 변화를 분석 비교하였다. 개랑 메주 간장인 Control 및 제품 A의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발효 120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발효 180일경에는 발효 초기에 비해 각각 15배 및 4.3배씩 증가하였다. 반면 콩알 메주 간장 B 및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총 이소플라본 함량이 최대값(각각 $20.53{\mu}g/g$$19.52{\mu}g/g$)을 나타낸 다음 그 후부터는 감소하였다. 콩알 메주 및 밀싻 메주 혼합 간장 D에서는 발효 20일차에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그 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또는 유리형에 관계없이 이소플라본의 함량의 대부분을 daidzein이 차지하고, 개량 메주 간장(Control 및 제품 A)에서는 숙성과 함께 증가한 반면에, 콩알 메주 간장(제품 B와 C)에서는 발효 0일차에 daidzein의 함량이 최고 많았고, 숙성과 함께 서서히 감소하였고, 대신 genistein함량은 서서히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