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gabalanus ros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해양오염 평가를 위한 빨강따개비(Megabalanus rosa)의 생리생화학적 오염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Bioindicators of Barnacle, Megabalanus rosa for Marine Pollution Assessment)

  • 이장원;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6-282
    • /
    • 2003
  • Using Megabalanus rosa a sessile filterfeeder, its scope for growth (SFG) by analysis of energy budget were examined and free amino acids composition of whole body tissue were analyzed under the exposure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g Cu and Cd. The $96\;hr-LC_{50}$ of the barnacle after 96 hr exposure to Hg, Cu, and Cd were 0.220, 0.269 and $1.380\;mgL^{-1}$, respectively. Hg and Cu showed stronger toxicity than Cd, while Hg and Cu had simila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the barnacle. SFG of the barnacles exposed to sublethal concentrations of mercury was 18.936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e of mercury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0.041 $Jgdrywt.^{-1}hr^{-1}\;at\;0.1\;mgL^{-1}$ concentration of Hg. In the case of Cu, the SFG was 29.841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e of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8.304 $Jgdrywt.^{-1}hr^{-1}\;at\;0.1\;mgL^{-1}$ concentration. In Cd the SFG was 15.852 $Jgdrywt.^{-1}hr^{-1}$ in control group, an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the SFG remarkably reduced to -19.490 $Jgdrywt.^{-1}hr^{-1}\;at\;0.1\;mgL^{-1}.$ Content of free amino acid (FAA) of whole body tissue of the barnacle was 45084 $mgkg^{-1}$ in control group, but it was reduced remarkably to 28,130, 37,500 and 37,106 $mgkg^{-1}$ at 0.1 $mgL^{-1}$ concentration of Hg and Cu, and 0.4 $mgL^{-1}$of Cd, respectively. Sum of threonine + serine was 1,334 $mgkg^{-1}$ if control but reduced remarkably to 1,223, 849 and 888 $mgkg^{-1}$ at 0.1 $mgL^{-1}$ of Hg and Cu, and 0.4 $mgL^{-1}$ of Cd, respectively.

1979年産 韓國動物學會 秋季學術大會 發表論文要旨錄: 한국산 따개비류(Cirripedia, Thoraciea, Balanomorpha)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김훈수;김일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60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따개비류를 관찰한 결과, 이 중에서 15종 2 아종이 동정 분류되었으며 아래의 7종 2아종은 한국 미기록이므로 이를 기재하여 발표하고저 한다. Octomeris sulcata, Chthamalus challengeri,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Balanus reticulatus, Btrigonus, Megabalanus rosa, M. volcano.

  • PDF

Systematic Studies on the Cirripeds (Crustacea) from Korea: I. Balanomorph Barnacles (Cirripedia, Thoracica, Balanomorpha)

  • Kim, Il-Hoi;Kim, Hoon-S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1-194
    • /
    • 1980
  • 저자들은 1963년부터 1978년 사이에 남한의 38개지점으로부터 채집되어 서울돼 자연대학 동물학과에 보관된 따개비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15종, 2아종이 밝혀졌따. 이들을 모두 기재하여 보고한다. 이들중 다음의 2종 1아종은 한국내 미기록종 및 아종이다 : (Chelonibia patula, Chirona (Striatobalanus) amaryllis, Solidobalanus (Hesperibalanus) hesperius hesperius.

  • PDF

도서생물지리설의 관점에서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a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from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 서인수;최병미;김미향;윤재성;박재영;이상엽
    • 환경생물
    • /
    • 제28권4호
    • /
    • pp.179-187
    • /
    • 2010
  • 본 연구는 가거도, 소화도 및 독도해역에 대한 2009년 8월의 조하대 암반조사를 통해서 해양생태계의 중요 구성생물 중의 하나인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생물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의 관점에서 3개섬에 서식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의 유사성 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04종, 7,176개체(399 inds. $m^{-2}$)와 27,120.68 g (1,506.70 g $m^{-2}$)이었다. 연체동물류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에 있어서 각각 전체의 44.23%, 41.19% 및 90.32%를 점유하여 가장 우점하는 생물군이었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와 생체량을 근거로 상위 10위까지의 우점종을 선정하였다. 개체수에 기초한 상위 10위 우점종들이 차지하는 밀도는 4,820개체로 전체의 67.17%를 점유하였다. 특히 절지동물 갑각류의 미동정 옆새우류(Amphipoda spp.)와 연체동물 이매패류의 개적구(Modiolus agripetus)는 각각 1,580개체, 22.02%와 1,228개체, 17.11%를 점유하여 단일 종으로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생체량에 있어서도 상위 우점종들이 나타내는 생체량은 25,942.80 g으로 전체의 95.66%를 차지하였다. 이 가운데 이매패류의 홍합 (Mytilus coruscus)과 태생굴(Striostrea circumpicta)은 각각 15,167.64 g과 4,781.16 g을 나타내 55.93%와 17.63%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그룹 1에는 가거도 정선 2의 하부 수심 정점을 제외한 가거도와 독도의 모든 정점이 포함되었고, 그룹 2는 이를 제외한 정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해역에서 갑각류의 미동정의 옆새우류, 바다대벌레류 및 성구동물의 상어껍질별벌레(Phascolosoma scolops)가 공통적으로 우점하였다. 이를 제외하면, 그룹 1에서는 다모류의 고리털갯지렁이(Eunice antennata), Syllidae unid., 갑각류의 만각류에 속하는 빨강따개비(Megabalanus rosa) 및 홍합의 밀도가 높았다. 반면 그룹 2에서는 갑각류의 집게류에 속하는 갯가게붙이(Petrolisthes japonicus), 연체동물 복족류의 햇살밤고둥 (Lirularia pygmaea) 및 완족동물의 세로줄조개사돈(Coptothyris grayi)이 대표적인 생물이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출현 종수는 소화도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거도와 독도의 순이었다. 각 해역의 면적과 육지와의 떨어짐 정도를 기초로 도서생물지리설에 근거하면, 연구해역에서의 생물다양성은 도서생물지리설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잘 부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