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maturing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2초

A Medium 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605', with High Forage Productivity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Kim, Ki-Yong;Lee, Sang-Hoon;Choi, Gi Jun;Park, Hyung Soo;Hwang, Tae-Young;Ji, Hee Chung;Lee, Ki-W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56-16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from 2010 to 2017. As a variety that is sufficiently productive in the southern regions to replace imported varieties and sufficiently cold-resistant to be cultivated in the central-northern regions, "IR605" was developed and submitted to the Korea Seed & Variety Service in an application for protection. The novel Italian ryegrass variety "IR605" is a diploid with green leaves, a semi-erect growth habit before wintering, and an erect growth habit in the spring. "IR605" was a medium maturing variety with a heading date of around May 15th. "IR605" had a flag leaf width of 9.9 mm, flag leaf length of 26.7 cm, and plant length on the heading date of 100 cm, which was approximately 5 cm longer than "Kowinearly." The stem thickness and ear length of "IR605" are 0.08 mm thicker and 0.5 cm longer than those of "Kowinearly", respectively. The cold-resistance of "IR605" was weaker than that of "Kowinearly", but strong enough to be cultivated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The dry matter yield of "IR605" (9,308 kg/hectare) was 20% higher than that of "Kowinearly", which was further pronounced in the southern region of Haenam, where there was a 52% increased (p < 0.05). The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of "IR605" was 68.4% at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Kowinearly",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was 58.5%,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Kowinearly". Overall, the fe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IR605" were similar to those of "Kowinearly".

In Vitro Maturation of Round Spermatids Using Porcine Oviduct Epithelial Cell Monolayer Condition Medium

  • Jabed Md. Anower;Kamal Tania;Lee Seung-Min;Kim Byung Ki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41-245
    • /
    • 2005
  • Porcine oviduct epithelial cells (POEC) are widely used in co-culture experiments to improve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 vitro fertilization in embryo transfer programs for domestic animals and 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germ cells. POEC were mechanically isolated and cultured in tissue culture medium 199. Cells grew continuously, and confluent monolayers were formed after 7 days. After forming confluent monolayer of epithelial cells, supernatant was collected as the condition medium for maturing round spermatids in vitro. Round spermatids were also separated mechanically and cultured in the POEC condition medium.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20\%$ of round spermatid cultured were matured into elongating spermatid after 24 h, and about $10\%$ of round spermatid cultured showed complete elongation (elongated spermatid) within $24\~48$ h of in vitro culture. No further development was observed within $50\~72$ h and transformed cells lost their viability after 72 h. These preliminary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dition medium from POEC may be possible to overcome the round spermatid block by improving the milieu of culture system.

벼생유기간중의 논에서의 분석소비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he Consumptine Use of Irrigated Water in Paddy Fields During the Growing of Rice Plants(III))

  • 민병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75-1782
    • /
    • 1969
  • 벼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논에서의 수력소비(水力消費)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엽면(葉面) 및 주간수면증발(株間水面蒸發) 1) 벼의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은 조(早), 중(中), 만생종(晩生種) 공(共)히 이앙(移秧)후 점차(漸次) 증가(增加)하다가 수잉기(穗孕期)에 급증(急增)하고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出穗開花) 초기(初期)(조생종(早生種)은 제6기(第6期),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제7기(第7期)에 최대량(最大量)에 달(達)하며 그 후 점감(漸減)한다. 2) 벼의 엽면증발작용(葉面蒸發作用)은 조(早), 중(中), 만생종(晩生種) 모두 제5기(第5期)까지는 별(別) 차이(差異)가 없으며 제6기(第6期)에는 조생종(早生種)이 가장 왕성(旺盛)하고 제7기(第7期) 이후(以後)는 만생종(晩生種)이 계속(繼續) 제일(第一) 왕성(旺盛)하다. 3) 엽면증발(葉面蒸發)이 가장 왕성(旺盛)한 시기(時期)인 제6기(第6期) 조생종(早生種)와 제7기(第7期)(중(中), 만생종(晩生種)의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은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의 총엽면증발량(總葉面蒸發量)의 $15{\sim}16%$에 달(達)한다. 4) 벼의 엽면증발(葉面蒸發)은 그 생리작용(生理作用)에 기인(起因)하느니만큼 엽면증발량산정(葉面蒸發量算定)의 기준계수(基準係數)로는 증산강도(蒸散强度)를 채택사용(採擇使用)함이 타당(妥當)하다고 본다. (표(表)7) 5) 이 시험(試驗)에서 공시(供試)한 벼의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이 최대(最大)로 되는 출수개화(出穗開花) 초기(初期)까지의 각품종(各品種)의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을 산정(算定)할 수 있는 수식(數式)은 다음과 같다. 조생종(早生種) ; Y=0.658+1.088x 중생종(中生種) : Y=0.780+1.050x 만생종(晩生種) : Y=0.646+1.091x 7) 논 에서의 주간수면증발량(株間水面蒸發量)은 그림-1,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과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다. 8) 주간수엽증발량(株間水面蒸發量)은 증발계(蒸發計) 증발량(蒸發量)에 대(對)한 비(比)(표(表) 11)로 산정(算定)할 수도 있고 표(表)-10에 의거(依據)하던가 또는 주간수면증발량(株間水面蒸發量)이 최소(最少)로 되는 시기(時期)(조생종(早生種)은 이 시험(試驗)에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 대(對)해서 다음 수식(數式)으로 산정(算定)할 수도 있다. 조생종(早生種) : Y=4.67-0.58x 중생종(中生種) ; Y=4.70-0.59x 만생종(晩生種) : Y=4.71-0.59x 9) 엽(葉), 수면증발량(水面蒸發量)의 생육기별(生育期別) 변화상황(變化狀況)은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의 그것과 그 경향(傾向)이 동일(同一)하며 조생종(早生種)은 제6기(第6期)에 중(中), 만생종(晩生種)은 제7기(第7期)에 최대(最大)로 된다. 10) 논 에서의 엽(葉), 수면증발량(水面蒸發量)은 표(表)-12에 의(依)하거나 증발산강도(蒸發散强度)(표(表)14)에 의(依)하여 산정(算定)할 수 있으며 엽(葉), 수면증발량(水面蒸發量)이 최대(最大)로 되는 시기(時期)까지의 양(量)은 이 시험(試驗)에서 공시(供試)한 품종(品種)에 대(對)해서 다음 수식(數式)으로 산정(算定)할 수 있다. 조생종(早生種) : Y=5.36+0.503x 중생종(中生種) : Y=5.41+0.456x 만생종(晩生種) : Y=5.80+0.494x 11)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의 엽(葉), 수면증발량(水面蒸發量)의 증발계(蒸發計) 증발량(蒸發量)에 대(對)한 비(比)는 조생종(早生種)은 1.23, 중생종(中生種)은 1.25, 만생종(晩生種)은 1.27이었다. 12) 우리 나라의 기상조건하(氣象條件下)에서 무강우일(無降雨日)의 관측식(觀測植)만을 처리(處理)한 경우 벼 전생육간기(全生育間期)을 통(通)하 엽(葉), 수면증발량(水面蒸發量)과 제(諸) 기상요소(氣象要素)와의 관계(關係)는 기온(氣溫)만이 고도(高度)의 상관성(相關性)을 보여주고 있다. 2. 삼투량(渗透量) 1) 관개계획(灌漑計劃) 용수량산정(用水量算定)을 위한 삼투량(渗透量)은 보수일(保水日)에 의거(依據)함이 타당(妥當)하다고 본다. 3. 유효우량(有效雨量) 1) 벼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의 각(各) 기별(期別) 유효우량(有效雨量)과 유효율(有效率)은 표(表) 18과 같다. 2) 벼의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유효율(有效率)은 $65{\sim}75%$를 기준(基準)으로 함이 타당(妥當)하다고 본다. 3) 평년(平年)의 벼의 전생육기간중(全生育期間中)의 유효우량(有效雨量)은 550mm 정도(程度)로 추정(推定)된다. 4. 벼의 엽면증발(葉面蒸發)이 삼투(渗透)에 미치는 영향(影響) 1) 벼뿌리의 흡수작용(吸水作用)은 삼투(渗透)에 영향(影響)을 미치며 그 작용(作用)이 왕성(旺盛)할수록 삼투량(渗透量)은 감소(減少)한다. (표(表) 21, 표(表) 22) 2) 벼를 재식(栽植)한 경우 그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오전(午前) 및 후간(後間)과 오후(午後)와는 그 삼투량(渗透量)이 판이(判異)한 현상(現象)을 보이며 오전(午前)과 후간(後間)은 이식(移植)후 점증(漸增)하여 7월하순(月下旬) 또는 8월상순(月上旬)(수온(水溫), 지온(地溫)이 최고시기(最高時期)에 최대(最大)로 되고 그 이후(以後)는 감소(減少)하는데 대(對)해 오후(午後)는 정반대(正反對)로 이식후(移植後)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여 8월(月) 중순(中旬)(수잉기(穗孕期)) 후기(後期)에서 출수개화초기(出穗開花初期)에 최소(最少)로되고 그 후 점증(漸增)한다. 3) 주간삼투량(晝間渗透量)은 이식후(移植後)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의 증가(增加)와 더부러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지만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出穗開花) 초기(初期)에는 급감현상(急減現象)이 나타나고 8월(月) 하순(下旬)에는 다시 급증(急增)하고 9월(月) 중순(中旬)은 9월(月) 상순(上旬)보다 지온(地溫)이나 수온(水溫)이 낮은 데도 불구(不拘)하고 삼투량(渗透量)은 오히려 증가(增加)하는데 이는 9월중순(月中旬)에 이르면 벼뿌리의 흡수작용(吸水作用)이 크게 감퇴(減退)함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 일(日) 삼투량(渗透量)의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의 변화상황(變化狀況)을 보면 이식후(移植後) 점증(漸增)하여 7월하순(月下旬)에 최대(最大)로 되고 그 이후(以後) 감소(減少)하였다가 8월하순(月下旬)(등숙기(登熟期))에 다시 증가(增加)하고 그 후 다시 감소(減少)하는 다소(多少) 변동(變動)이 심(甚)한 현상(現象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수온(水溫)이나 지온(地溫)의 영향(影響(야간(夜間), 오전(午前))과 아울러 벼뿌리의 흡수작용(吸收作用)이 복합적(複合的)으로 영향(影響)을 미치는 결과(結果)라고 본다. 5) 주간삼투량(晝間渗透量)은 엽면증발량(葉面蒸發量)과 부(負)의 고도(高度)의 상관성(相關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야간삼투량(夜間渗透量)은 수온(水溫)이나 지온(地溫)의 영향(影響)이 지배적(支配的)이고 엽면증발(葉面蒸發)의 영향(影響)은 거의 없으며 일(日) 삼투량(渗透量)은 엽면증발(葉面蒸發)보다 그 이외(以外)의 요인(要因)의 영향(影響)이 보다 큰 것으로 생각된다. 6) 야간삼투량(夜間渗透量)과 수온(水溫)이나 지온간(地溫間)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성(相關性)이 인정(認定)되는데 대(對)해 오전(午前)과 오후(午後)의 삼투량(渗透量)과 수온(水溫)이나 지온간(地溫間)에는 상당성(相當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다. 7) 벼를 재식(栽植)한 포트의 일(日) 침투량(浸透量)과 재치(裁値)하지 않는 포트에서의 일삼투량간(日渗透量間)에는 $r={\div}0.8382$란 고도(高度)의 상관성(相關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다. 8) 벼의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通)한 총삼투량(總渗透量)은 벼의 엽면증발(葉面蒸發)에 의(依)한 영향(影響)보다는 토양고유(土壤固有)의 삼투성(渗透性)이나 수온(水溫), 지온(地溫)등 벼뿌리의 흡수작용(吸收作用) 이외(以外)의 다른 요인(要因)들이 보다 더 영향(影響)을 미친다고 여겨진다.

  • PDF

2모작 작부체계 적응 다수성 및 조숙성 헤어리베치 품종 선발을 위한 생산력 검정 (Performance Trial for Developing High - Yielding and Early Maturing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Cultivar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3-250
    • /
    • 2011
  • 본시험은 2모작 작부체계적응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헤어리베치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산력검정은 조생종 Cold green, Haymaker plus, Cappello와 중만생종 Cheong pa, Challenger, Hungvillosa 및 Latigo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사초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북성주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되었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7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09년 9월 26일과 2010년 10월 11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2010년과 2011년 공히 4월 30일에 실시하였다. 내한성은 울리포드베치인 Haymaker plus와 Cappello가 다른 헤어리베치품종에 비해 약간 낮았다. 50%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3일로 가장 빨랐으며, Haymaker plus와 Cappello가 각각 4월 26일과 4월 24일로 비슷했으며, Cheong pa와 Challenger는 5월 13일로 같았고, Hungvillosa 5월 17일, Latigo 5월 22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Cold green이 Haymaker plus를 제외하고 제일 높았으며 (P<0.05), Haymaker plus는 다른 품종들 보다 높았으며(P<0.05), Cappello, Cheong pa, Challenger는 Hungvillosa와 Latigo 보다 높았다(P<0.05). 2년차 시험에서 Cold green이 가장 높았으며 (P<0.05), Haymaker plus는 다른 품종들 보다 높았고(P<0.05), Cappello는 Hungvillosa와 Latigo 보다 높았고(P<0.05), Cheong pa와 Challenger는 Latigo 보다 높았다(P<0.05).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ADF 함량은 낮았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파종베치의 품종은 조생품종이 양호했으며 차선으로 중만생품종중에서 선택할 경우 개화기가 빠른 품종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야간조명 광도에 따른 벼 품종별 생육 및 수량 반응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Rice Cultivars to Different Night illumination Intensities)

  • 김충국;조현숙;서종호;최성호;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71-474
    • /
    • 2002
  • 산업의 발달로 농경지 주변에 야간조명이 증가되고 있어, 야간조명 광도에 따른 벼 생육 반응과 수량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조생종인 흑진주벼, 중생중인 화성벼, 중만생종인 일품벼를 공시하여 야간조명 광도 1.0-20.0lux(0.3-5.$1\mu\textrm{W}$ $cm^{-2}$)에서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야간조명 광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망장은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고, 특히 화성벼의 망장은 야간조명 광도 2lux 이하에서는 1.93cm이었으나, 10-20 lux에서는 4.09cm로 현저히 길어졌다. 2. 출수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지연이 심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야간조명 광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10-20 lux에서 흑진주벼는 3일, 화성벼는 5일, 일품벼는 9일이 지연되어, 일품벼 > 화성벼 > 흑진주벼 순으로 지연이 심하였다. 3. $m^2$당 수수는 야간조명 광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어 화성벼와 일품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쌀 수량은 야간조명 광도 2 lux 이하에 비하여 10-20 lux에서는 조생종인 흑진주벼는 10.0%, 중생종인 화성벼는 17.7%, 중만생종인 일품벼는 20.7%가 감소되었다.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이 문고병(紋枯病) 발생(發生) 소장(消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ing Seasons of Rice Varieties on the Occurence of Sheath Blight)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23-30
    • /
    • 1976
  •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이 문고병(紋枯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병경률(罹病莖率) 및 피해도(被害度)는 이앙기(移秧期)가 늦을수록 피해(被害)가 적었다. 2). 조생종(早生種)의 피해도(被害度)가 가장 크고 다음이 중생종(中生種)이며 만생종(晩生種)이 가장 적었다. 3). 7월(月) 28일(日) 조사(調査)한 이병경률(罹病莖率)은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들이 Japonica계(系) 품종(品種)들보다 낮았으나 피해도(被害度)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피해도(被害度)는 출수기(出穗期)와 높은 상관(相關)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출수전(出穗前) 10일(日)부터 출수후(出水後) 30일(日)까지의 적산온도(積算溫度)와도 높은 상관(相關)을 보이고 있어, 수도생육후기(水稻生育後期)의 고온(高溫)이 문고병(紋枯病) 피해도(被害度)에 크게 작용(作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밤나무림에서 1995-2010년의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 변화 (The Changes of Damage Rate by Peach Pyralid Moth, Dichocrocis punctiferalis (Lepidoptera: Pyralidae) in Chestnut Orchards from 1995 to 2010 Year)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9-382
    • /
    • 2011
  • 밤나무 재배지에서 밤의 종실에 발생하여 알밤을 가해하는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 을 선정된 조사지역에서 1995년부터 2010년까지 16년 동안 년도별, 지역별, 숙기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년도별 피해율은 1998년이 34.5%로 가장 높았고, 2000년이 17.9%로 가장 낮았다. 년도별 피해율의 패턴은 3년의 반복 주기로 변화되었다.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과 강우량과는 부의 상관($-0.6261^*$)이었고, 온도의 상관은 정의 상관($0.5826^*$)이었다. 조사 지역의 전체 평균 피해율은 22.2%이었고, 조사지역 중에서 합천지역이 27.0%로서 가장 높았고, 함양지역이 15.0%로서 가장 낮았다. 밤나무 성숙기별 피해율은 조생종인 단택품종이 26.1%로서 피해율이 가장 높았고, 중생종과 만생종인 축파, 은기품종의 피해율이 각각 19.3%, 21.1%로 같은 수준이었다.

춘작 재배시 Chip 가공용 감자 품종에 따른 저장성 연구 (Studies on storage of potato chip variefies on spring crop)

  • 김경제;이은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9-78
    • /
    • 2002
  • 춘작 재배시 가공용 감자 품종의 품질 요인을 분석하고 저장중 glucose 및 sucrose 함량과 chip color의 변화를 알기 위해하여 99년 4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재배한 감자 품종을 104일 동안 저장하여 춘작 재배에 가장 좋은 품질을 나타내는 품종 및 요인을 밝혀내기 위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 중 잎의 질소 농도는 생식 행장 초기와 괴경 성숙 단계인 개화 말기에 잎의 질소 농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2. 생육중 잎의 K+ 농도는 종생종은 70일 만생종인 snowden은 90일부터 높게 나타나 약 20일간의 차이를 보였다. 3. Snowden 품종은 춘작재배시 110일 이상 수확 일수 확보가 어려워 춘작 재배 품종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 Solid 함량과 sugar 함량은 chip color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solid가 높을수록 sugar 함량이 낮고 저장 중품질의 변화가 적었다.

  • PDF

만생종 중립계 포도 품종 Sheridan, Tano Red 및 Muscat Bailey A의 저장성 비교 (Storage Life Comparison of late Maturing Medium Sheridan, Tano Red and Muscat Bailey A Seed Grapes)

  • 남상영;강한철;김태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76-379
    • /
    • 1999
  • 만생종 중립계 포도에 대한 저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재배면적이 많은 Sheridan, Tano Red 및 Muscat Bailey A 등 3품종을 공시하여 저장전 SO$_2$훈증처리, 저장온도 $0^{\circ}C$, 습도 90% RH의 조건에서 polyethylene film으로 밀봉하여 저장성을 시험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많았으며, Sheridan 품종이 감소의 정도가 가장 적었다. 비정상과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많았고, 저장 90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상품성이 저하되었으며, 135일 저장 시 Sheridan

  • PDF

An adaptable to climatic change and early maturing rice variety 「Gawaji 1」 for double cropping system in Gyeonggi-Do, northern area of South Korea

  • Lee, Ji-Hye;Jang, Jung-Hee;Choi, Byoung-Rourl;Won, Tae-J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0-310
    • /
    • 2017
  • 'Gawaji 1', an early maturing and low amylose content rice variety adaptable to double cropping system with barley as later winter crop., was developed by the crop breeding team of Crop Research Division, GARES, Hwaseong, Korea in 2016. 'Gawaji 1'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Baegjinju' and 'Sangmibyeo' in 2004. This variety had heading date of August 4 in Gyeonggi Province. It had a semi-elect plant type and resistance to lodging with strong culm. Its culm length was 67 cm. This variety had 15 tillers per hill and 104 spikelets per panicle. It was medium grain variety showing 1,000 grain weight of brown rice of 19.3g. Its protein contents of milled rice was 8.2% which was lower than 'Baegjinju'. Its milling ratio was 75.5% which was higher than 'Baegjinju'. The yield of milled rice was 5.0 MT/ha under the ordinary culture of the local adaptability test in 3 areas of Gyeonggi Province for three years. 'Gawaji1' is highly adaptable to Gyeonggi Province, especially to northern region of Han Riv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