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glov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중환자실 간호사의 개인보호구에 대한 지식, 태도, 안전환경 인식과 착용 수행도: 서술적 관찰 연구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attitudes, perceptions of a safe environment, and compliance with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 descriptive observational study)

  • 김은진;김현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63-7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a safe environment, as well as self-reported and observed compliance with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ctober 2021 with 55 nurses working in the medical and surgical ICUs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 observational tool for compliance with the use of PPE were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Except for masks, the observed compliance for all other PPE types was lower than the self-reported compliance. Male nurs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bserved compliance than female nurses. Self-reported compliance with PPE use, including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tact with objects contaminated with blood or body fluids, mucous membranes, damaged skin, or contaminated skin" (r = .23, p = .015) and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tact with blood, body fluids, secretions, or exudates" (r = .27, p = .004)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knowledge of PPE. In the results for self-reported compliance with PPE use, gown us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nowledge (r = .24, p < .001) and perceptions of a safe environment (r = .15, p = .016) for PPE, and glov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ttitudes (r = .14, p = .024) and perceptions of a safe environment (r = .18, p = .003). Conclusion: The observed compliance with PPE use tended to be lower than the self-reported compliance among ICU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improve actual compliance with PPE us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The Effect of Acute Respiratory Disease Infectious Diseases on the Life Chang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 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43-50
    • /
    • 2024
  •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due to COVID-19, must wear masks, protective clothing, face shields, and gloves to prevent infection during treatment and performance. Even if it is applied to disabled people, families who protect them are severely mentally tired from severe physical fatigue and stress from exposure to high-risk infectious diseases. As suc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has not only caused difficulties in using existing welfare and medical services but also caused various problems throughout the daily life of disabled people due to the prolonged infectious disease, and its scope is gradually expanding.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disabled people may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from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to isol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d it is time to actively assess the life changes felt by families caring for disabled people and consider and research to provide adequate services. According to the survey of disabled people is being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while research on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is rare for parents with disabilities.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in other areas of everyday life, including the health field, which is deteriorating through prior research. Therefore, through this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 changes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m to find out how parents were affected by each type of disability. It will be used as evidence to identify more necessary needs and problems for par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an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health care and welfare services in the future.

일개 의료원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례에 대한 조사 (Study on the Centipede Bite Cases Who Visited a Medical Center)

  • 이동욱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79-86
    • /
    • 2002
  •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중소도시에 소재한 의료원 응급실을 방문한 지네 교상 환자는 여자 21명(58.4%), 남자 15명(41.6%)으로 총 36명이었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6월에 한번 증가하고, 8월과 9월에 증가하며 9월에 가장 많았다. 시간에 따른 빈도는 일몰 후(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가 27명으로 일몰전 9명보다 많았다. 부위에 따른 빈도는 손가락 (30%), 목(28%), 발(25%), 손(14%) 등의 순이었다. 손과 손가락은 작업 중에 장갑을 끼거나, 일을 하던 중에 물렸으며, 발은 신발을 신다가 물렸다. 목의 경우는 잠을 자던 중에 물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소적인 증상은 통증 36명(100%), 종창 36명(100%), 홍반 26명(72.2%), 감각이상 5명(13.9%)이 있었고 전신적인 증상은 어지러움 2명(5.6%), 오심 1명(2.8%) 있었다. 국소적 증상에서 통증의 호전은 대부분이 48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종창의 호전은 48시간 이내 많은 호전이 있었고, 감각 이상은 72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전신적인 증상으로 어지러움과, 오심은 24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왕지네류 교상에서 치료와 예후는 각 나라마다 비슷하였다. 이에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표준화된 치료 지침을 만들어 지네에게 물렸을 때 국소적 증상과 전신적 증상, 그리고 외상에서 빨리 회복 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 PDF

치과 진료실 감염방지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at dental offices)

  • 우승희;곽정숙;주온주;임근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2-29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infection control implemented at dental offices and factors affecting it in an attempt to help promote the health of dental health care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medical personnels who worked at dental offices in the region of South Jeoll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May 30, 2008,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at the dental offices, what the health care workers investigated did the most was post-treatment hand washing(95.0), a constant separation of infectious wastes(94.4), wearing rubber gloves all the time during medical instrument cleansing(92.8) and pre-treatment hand washing(91.7). 2. In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at the dental offices, what the dental personnels did the least was drying their hands with air(5.0), wearing goggles in times of treatment(23.3), receiving regular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26.7) and putting sterilizers to a performance test on a regular basis(43.9). 3. The dental health care work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in the management of contagious diseases(p=0.005). Their care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management of contagious diseases(p=0.000) and instrument cleansing/sterilization(p=0.043). The service area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wearing and managing personal protective clothes (p=0.040) and waste management(p=0.040). 4.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quisition of dental hygienist certificate and the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whether the dental health care workers were certified or not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5. As to th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ntagious diseas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hand washing(r=0.379), wearing and managing personal protective clothes(r=0.349), instrument cleansing/sterilization(r=0.323) and waste management(r=0.388). All the factors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ntagious diseases(p<0.01).

  • PDF

불산제조업체에서 발생한 불산화상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Occupational Hydrofluoric Acid Burns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 임현술;정해관;김지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87-598
    • /
    • 1993
  • Hydrofluoric acid is one of the strongest irritating, corrosive and poisonous inorganic chemical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occurring with ever-increasing frequency due to the wide use of this acid in industries. Hydrofluoric acid burns are characterized by severe progressive tissue destruction and excruciating pain due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freely dissolvable fluoride ion. The authors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in a hydrofluoric acid manufacturing factory from Sep. 1, 1990 to June 30, 1993.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leven measurements of air concentrations of hydrofluoric acid by detection tube method from 1990 to 1992 were all below TLV (Department of Labor, R.O. K). 2. There were 19 cases (22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which occurred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regular employees. The overall incidence density of hydrofluoric acid was 17.8 cases (20.6 spells) per 100 person-year. Incidence density was 19.0 cases (22.0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male workers and there were no female cases. Incidence density was 32.9 cases (38.3 spells) per 100 person-year among production workers and 1.9 cases (1.9 spells) per 100 person-years among management workers with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3. Of 32 cases (36 spells) of hydrofluoric acid burns among workers who were regularly employed or temporarily employed, 26 spells (81.2%) were between age 20 to 39. In 15 spells(41.7%) burns occurred between 12:00 and 17:59 with 16 spells(44.3%) having arrived at hospital within 2 hours after the accident. 4. Of 36 spells, the main cause of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by splashes (8 spells, 22.2 %). The most frequent site of burns were fingers and pain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 Thirty spells (83.3%) of the hydrofluoric acid burns were treated with local injection of antidote (calcium gluconate). Complete recovery without scarring were observed in most of the cases (34 out of 36 cases, 94.4%).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o prevent hydrofluoric acid burns, environmental control and the wearing of hydrofluoric acid resistant protective clothes and gloves are important. It is also stressed that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management and a transfer system for hydrofluoric acid burn victims is necessary.

  • PDF

작업치료실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The Status of Infection for Infectious Diseases and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ccupational Therapy - Focusing on Busan)

  • 정남해;배원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49
    • /
    • 2016
  • 목적 :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실의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 달 동안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 감염예방 관리 및 감염관리 인식도의 네 파트로 구성된 설문지를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실 23 곳, 작업치료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34.8%의 의료기관에서 작업치료사들이 옴, 결핵, C-diffficile, MRSA, HFM 등의 감염성 질환을 경험하였다.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감염예방 관리 항목에서 수행도가 높으나, '15초 이상 손 씻기'와 '장갑 착용 전 후에 손 씻기', '치료 시 마스크 착용'과 '사용한 마스크 즉각 버리기', '화장실 이용 시 시트 클리너 사용하기' 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그 외 '피, 침, 고름 및 분비물로 오염된 세탁물을 일반 세탁물과 분리 세탁하기'항목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염관리 교육은 중요하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감염교육은 대부분 근무처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염예방 관리 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치료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건강신념 및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치과 감염관리 수행도와의 관련요인 (The Relationship of Dental Hygienists' Performance of Dental Infection Control with Their Health Beliefs and Importance)

  • 문상은;홍선화;이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27-235
    • /
    • 2021
  • 본 연구는 치과의원에 근속 중에 있는 치과위생사 142명을 대상으로 건강신념과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와의 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염관리를 위한 수행도는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고, 감염성 질환에 관한 문진을 '항상' 하는 경우, 하루 평균 내원하는 환자 수가 50명 미만인 군에서 마스크와 라텍스 장갑의 착용률이 가장 높았다. 감염관리의 유익성과 행동의도가 높을수록, 개인방호용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호안경의 착용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마스크 교체빈도가 높을수록 수행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편의추출로 조사지역과 대상이 국한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며,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식도에 초점을 맞춰 실제 치과에서 이루어지는 감염관리 현황을 세밀하게 조명하지 못했다.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인지된 유익성을 높이고 장애성을 낮춘다면 감염관리 수행도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용 Re-186 오염폐기물의 규제해제를 위한 방사능측정 (Measurement of Specific Radioactivity for Clearance of Waste Contaminated with Re-186 for Medical Application)

  • 김창범;이상경;장성주;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633-638
    • /
    • 2017
  • 방사선 진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료분야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갑상선암 진료 목적의 I-131을 비롯하여 PET/CT 조영제로 사용하는 F-18, 핵의학검사에 폭 넓게 적용하는 Tc-99m 등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사용과정에서 이러한 핵종에 오염된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일정기간 보관한 후에 방사능이 규제해제(Clearance) 수준으로 감쇠하면 소각 등의 방법으로 자체처분하게 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는 $10{\mu}Sv/y$의 개인선량 및 1man-Sv/y의 집단선량과 함께 핵종별 농도에 근거하여 방사성폐기물의 규제해제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IAEA의 핵종별 방사능농도기준에 따른 규제해제 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Tc-99m과 방사화학상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Re-186 관련 방사성폐기물을 수집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Re-186은 반감기가 3.8일로 방사성의약품으로는 비교적 길고, 베타선 및 감마선을 방출하여 방사성의약품 치료와 영상에 모두 사용된다. Re-186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염된 일회용장갑(Poly Glove)의 방사능측정을 위하여 다중파고분석기(Multi Channel Analyzer; MCA)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표준물질을 제작하여 MCA를 교정한 이후 감마방사능 측정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측정결과를 근거로 방사능 감쇠 유도식을 산출하여 이론식과 대비하여 고찰하였는바, Re-186 핵종의 유도반감기(3.6일)는 이론적 반감기(3.8일)에 비해 다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정결과에 근거한 유도반감기를 적용한다면, 다소 줄어든 기간 동안 Re-186 핵종 폐기물을 보관하였다가 자체처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에 포함될 예정이다.

수도권 치과의료 종사자들의 B형 간염에 대한 기초방호실태 및 수행에 관한 조사 (A Survey of the Basic Protection Manners of Dental Personnels Against Hepatitis B in and around Seoul)

  • 윤미숙;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52
    • /
    • 2001
  • 2001년 3월 29일부터 2001년 5월 9일까지 서울 경기지역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에 소속되어 있는 치과의원과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78명과 치과조무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일반적 특성, 자가 건강관리, 개인방호의 실천, 치과진료기구의 취급, 손 씻기에 관한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 특성과 요인들간의 관계를 비교 관찰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 근무 전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는 근무년수 5-7년 미만이 71.4%로 가장 많았고, 병원 근무 후 건강검진을 받은 경우는 근무년수 9년 이상이 61.5%로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5). 2. 병원 근무 후 B형 간염예방접종을 받은 경우는 연령별로는 35세 이상이 71.4%로 가장 많았고, 근무년수별로는 9년 이상이 57.7%로 가장 많게 나타나 연령과 근무년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P<0.05). 3. 개인방호실천은 치과위생사와 치과조무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개인방호 실천도를 3점 만점으로 할 때 마스크 착용 2.40과 장갑착용 1.96에 비해 진료용 보안경 착용 1.48로 낮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사용하고 남은 마취제의 관리는 1회 사용 후 버리는 경우가 치과위생사는 89.7%, 치과조무사 70.0%로 치과위생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5. 손 세정제로 항균용 액체비누를 쓰는 치과위생사가 19.3%, 치과조무사 10.0%로 매우 낮았으며, 손 건조 방법으로 1회용 종이수건을 사용하는 치과위생사 37.2%, 치과조무사 36.0%로 낮게 나타났다(P>0.05).

  • PDF

금속가공유를 취급하는 남성 근로자의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 among male workers exposed to metalworking fluids)

  • 진영우;이준영;김은아;박승현;채창호;최용휴;김규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2호
    • /
    • pp.381-391
    • /
    • 1997
  • 산업장에서 사용되는 오일의 종류와 그 폭로 형태의 차이에 따른 피부질환의 유병률과 접촉성 피부질환의 주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오일의 분석, 1회의 방문진찰과 2회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수용성 절삭유의 분석결과, 탄소수 12-20개 사이의 지방탄화수소(do, tri, tetra... decane)가 49.04%였으며, methy-naphthalene 등의 방향족이 14.90% 기타지방 및 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이 36.04%였으며, 방청유의 분석결과 대부분(90.99%)이 탄소수 6-9개 사이의 지방족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알콜 및 에스테르계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어 두 오일은 서로 다른 물질이며, 따라서 자극성도 다를 것으로 생각된다. 2. 피부과적 진찰 결과, 전 연구대상에서 전체 피부 질환의 빈도(시점유병률)는 17명(연구대상자 100명당 53.1)이었다. 접촉피부염, 오일 여드름과 모낭염의 빈도(시점유병률)는 7명(12.7), 11명(20.0)이었으며, 광알러지성 피부염, 염소성 여드름, 종양, 피부변색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결과, 두 군에서 접촉피부염의 누적유병률과 1년간 기간유병률은 연구대상자 100명당 28.4, 16.7와 15.3, 13.0로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5), 연령과 접촉 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4. 발생까지의 기간은 절삭유접촉군의 경우 4개월 미만이 8명(22.9%)이었고, 26명(74.3%)이 2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청유접촉군의 경우 응답자 6명 중 4명(66.7%)이 2년 이후로 대답해 군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10년 이상인 경우도 절삭유 접촉군에서 2명, 방청유접촉군에서 1명이 있었다. 호발계절은 절삭유접촉군의 경우 응답자 41명중 16명(42.1%)이 여름에 가장 많은 것으로 답하였으나 방청유접촉군의 경우 계절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5. 유병기간은 양 군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68.6%가 1개월 이내에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6개월이상 잘 낫지 않는 정우도 3명(7.9%)이 있었다. 재발횟수는 절삭유접촉군에서는 1년에 수회가 응답자 15명(44.1%)로 가장 많았으나, 방청유접촉군에서는 1회로 끝난 경우가 3명(42.9%)로 가장 많았고, 전체 응답자 41명중 26명(63.4%)이 1년에 1회 이상 재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주요 발생형태로는 홍반성 구진이 절삭유접촉군과 방청유접촉군에서 각각 21명(60.0%), 6명(85.7%), 전체적으로는 27명(64.3%)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수포 형성이 각각 12명(34.3%), 1명(14.3%), 전체적으로 13명(31%)로 나타났다. 7. 처음 접촉피부염 발생시 보호구를 착용했다는 응답이 38명(86.8%)으로 대부분이었으나, 24명(68.6%)이 보호구의 종류로서 면장갑을 착용한다고 하였으며, 그 외 고무장갑이나 비닐장갑을 이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8. 피부염발생시 치료 여부에 대해 22명(51.1%)이 약국이나 병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위생에 신경 쓴다, 별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사내의무실을 이용한다가 각각 11명(27.9%), 6명(14.0%), 3명(7.0%)로 대부분 자비를 부담하여 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피부염의 발생에 대해 느끼는 정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절삭유접촉군에서는 16명(47.1%)이 심각하다라는 응답을 하였으나, 방청유접촉군에서는 응답한 6명 모두가 별로 심각하지 않다라고 하여 대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오일로 인한 사업장의 피부질환조사 시에는 접촉 수준(빈도와 양), 접촉물질의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적절한 조사시기(계절)가 고려되어야 하며, 접촉피부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적절한 보호구와 보건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접촉피부염의 유병률 특히, 기간유병률 등을 파악하는데 있어, 설문 조사가 주요한 도구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