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cago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Levels of Feed Intake and Inclusion of Corn on Rumen Environment, Nutrient Digestibility, Methane Emission and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by Goats Fed Alfalfa Pellets

  • Islam, M.;Abe, H.;Terada, F.;Iwasaki, K.;Tano,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948-956
    • /
    • 2000
  • The effect of high and low level of feed intakes on nutrient digestibility, nutrient losses through methane, energy and protein utilization by goats fed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pellets based diet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welve castrated Japanese goats were employed in two subsequent digestion and metabolism trials. The go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fered three diets. Diet 1 consisted of 100% alfalfa pellet, Diet 2 was 70% alfalfa pellet and 30% corn, and Diet 3 was 40% alfalfa pellet and 60% corn. The two intake levels were high (1.6 times) and low (0.9 times) the maintenance requirem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ON). Rumen ammonia nitrogen ($NH_3$-N) level of Diet 1 was lower (p<0.001) compared to Diets 2 and 3, but the values were always above the critical level (I50 mg/liter), The pH values of rumen liquor ranged from 6.02 to 7.30. Apparent digestibility of nutrient components did not show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two intake levels but inclusion of corn significantly altered the nutrient digestibility. Diet 3 had highest (p<0.001)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ether extract (EE) and nitrogen fee extract (NFE) digestibility followed by the Diet 2 and Diet 1. The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values among the three diets were in a narrow range (70.1 to 70.8%). Crude fiber (CF) digestibility for Diet 3 was slight higher (p>0.05) than that for other two diets. When alfalfa was replaced by corn,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p<0.001) increases in DM, OM, EE and NFE apparent digestibility and a slight increase in the CF digestibility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energy losses as methane ($CH_4$) and heat production among the diets but energy loss through urine was higher for the Diet 1. The total energy loss as $CH_4$ and heat production were higher for the high intake level but the energy loss as $CH_4$ per gram DM intake were same (0.305 kcal/g) between the high and low intake level. Retained energy (RE) was higher for Diet 3 and Diet 2. Nitrogen (N) losses through feces and urine were higher (p<0.001) for Diet 1. Consequently, N retention was lower (p>0.05) for Diet 1 and higher in Diets 3 and 2. It is concluded that inclusion of corn with alfalfa increased th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RE, and retained N through reducing the energy and N losses. The high level of intake reduced the rate of nutrient losses through feces and urine.

Evaluation of Structural Carbohydrates Losses and Digestibility in Alfalfa and Orchardgrass during Ensiling 1

  • Yahaya, M.S.;Kimura, A.;Harai, J.;Nguyen, H.V.;Kawai, M.;Takahashi, J.;Matsuok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701-1704
    • /
    • 2001
  •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carbohydrate losses and its effect on silages digestibility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was studied during 5, 21 and 56 days ensiling. About 70 and 60 kg fresh matter of the two forages were ensiled in 9 silos of 120 L capacity. The digestion trials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using the two grasses in two $4{\times}4$ Latin square design according to the four treatments being the grass and the three silag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M and CP contents resulting from 5 to 56 days ensiling in both forages.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hemicelllose, pectin, and energy were slightly reduced and appeared lower in 56 days silage. The ether extract and cellulose contents slightly increased as the ensiling process advanced in the two species. Hemicellulose losses of 29 and 41 g/kg DM were obtained in alfalfa and orchardgrass, respectively, 56 days after ensiling. While the cellulose losses in both species were very little, compared to that for hemicellulose, the pectin losses, 56 days after ensiling were 15 and 12 g/kg DM in alfalfa and orchardgras respectively. The total structural carbohydrates lost (ie., hemicellulose + cellulose + pectin) in g/kg DM of fresh material forage ensiled, is about four fifths the amount lost by WSC, in alfalfa and about two thirds, in orchardgrass, by 21 days ensiling after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 terminated, indicating that appreciable amount was used as substrate for silage fermentation. Ensiling alfalfa and orchardgrass for 0, 5, 21 and 56 days maintained a decreasing trend of 83.8, 82.5, 79.3 and 78.9% digestibility in alfalfa and 80.5, 77.0, 77.1 and 76.4% digestibility in orchardgrass. While the digestibility of cellulose and ether extract increased in silage in both species, the digestible energy values in silage were reduced from 2.6 to 2.3 and 2.9 to 2.7 Mcal/kg DM respectively in alfalfa and orchard during 5-56 days ensiling.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Non-traditional Straws: Alternate Feedstuffs for Ruminants

  • Kaushal, S.;Wadhwa, M.;Bakshi, M.P.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22-1727
    • /
    • 2006
  • The nutritive value of 4 straws, obtained after thrashing of seeds from fodder crops, was assessed as complete feed for ruminants. Sixteen male Murrah buffaloes (liveweight 365.8${\pm}$19.5 kg), were divided into 4 equal groups and offered ad lib. straw of either Trifolium resupinatum, Trifolium alexandrium, Medicago sativa or Lolium perenne, supplemented with minerals and vitamin A, for 40 day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Simultaneously, each straw was offered to 3 rumen fistulated male buffaloes in order to assess the biochemical changes in the rumen. Compared to other straws M. sativa straw had higher (p<0.05)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acid-detergent fiber (ADF) and cellulose content. L .perenne had the highest (p<0.05) hemicellulose and lowest (p<0.05) CP and acid-detergent lignin (ADL) content. T. resupinatum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cell wall constituents (CWC).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of T. resupinatum and L. perenne straw was similar, but higher (p<0.05) than that of other straws. M.sativa straw showed highest (p<0.05) digestibility of CP. The highest OM digestibility of T. resupinatum and CP digestibility of M. sativa were responsible for highest (p<0.05) total volatile fatty acids and trichloroacetic acid precipitable nitrogen in the strained rumen liquor. The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was highest (p<0.05) in M. sativa followed by that in T. alexandrium. The total purine derivatives excreted in urine varied from 0.22-0.32 mmol/kg $W^{.75}/d$. The efficiency of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dicated that OM of straws of M. sativa and that of T. alexandrium was used more (p<0.05) efficiently. The microbial protein synthesized was highest in T. resupinatum, but statistically similar to other groups. The values for N-retention and apparent biological value were highest for L. perenne, though comparable with that of M. sativa and T. alexandrium. The available metabolizable energy (ME) was highest (p<0.05) in T. resupinatum followed by that in L. perenne and lowest in M. sativa. It was concluded that all the straws, supplemented with minerals and vitamin A, could be fed exclusively to adult ruminants with no adverse affect, as animals were able to maintain body weight (372${\pm}$20.1 kg).

야산(野山) 목초지용(牧草地用) 내산성(耐酸性) 우수(優秀) 질소고정균주(窒素固定菌株) 개발(開發) -I. 영남지방(嶺南地方) 목야지(牧野地) 근류균(根瘤菌)의 내산성정도(耐酸性程度)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cid Tolerant and Superior Nitrogen Fixation Symbionts for Pasture on Hilly Land -I. The Degrees of Acid Tolerance of Rhizobia from the Pastures in Yeongnam Area)

  • 강위금;최주현;조강진;정연태;이재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4
    • /
    • 1987
  • 우량(優良) 질소고정균주(窒素固定菌株)를 개발(開發)하여 척박(瘠薄)한 야산(野山) 개발지(開發地)에서 효율적(效率的)인 초지조성(草地造成)을 꾀하고자, 영남지역(嶺南地域) 목초지(牧草地) 근류균(根瘤菌)의 내산성(耐酸性) 정도(程度)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분리균주(分離菌株)의 내성산도(耐性酸度)는 R. meliloti의 경우(境遇) pH 4.3~5.5, R. trifolii에서는 pH 4.0~5.5 범위(範圍)이였음. 2. 내산성(耐酸性)이 큰 R. meliloti M3 및 M4와 R. trifolii T27, T30, T31, T33 균주(菌株)는 숙주접종(宿主接種)으로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하였고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도 있었다. 3. 우리나라 야산(野山)의 평균산도(平均酸度)인 pH 4.8~5.0에서의 내산성(耐酸性) 균주(菌株)는 R. trifolii는 80~99%였으나 R. meliloti는 35~47%에 지나지 않으므로 보다 내산성(耐酸性)이 큰 R. meliloti의 선발(選拔)이 요구(要求)됨.

  • PDF

알팔파근류의 질소고정활성과 체내탄수화물 및 질소함량의 연중변화와 이들의 상호관계 (Seasonal Changes of Nodule Activity, Carbohydrates and Nitroge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n Alfalfa)

  • 류종원;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7-435
    • /
    • 1984
  • 알팔파 근류의 질소고정활성의 연중변화를 규명하고 건물중과 탄수화물 및 질소함량의 연중변화를 추적하여 이들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하여 조성후 3년째인 알팔파 포장에서 비예취구와 예취구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근류의 무게와 Acetylene환원법에 의하여 근류의 질소고정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각부위별비구조적 전탄수화물 및 전질소함량을 분석하였다. 1. 근류의 무게는 6월초에 최대로 높았으며 개화기부터는 전생육기간을 걸쳐 느린 속도로 감소되었다. 근류의 질소고정활성의 연중변화는 4월초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5월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6월초에 최대로 높았고, 그리고 개화기로부터 낮아지기 시작하여 7월말부터 8월중순까지는 낮은 활성을 유지하다가 8월말과 9월초에 다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 각부위의 건물중의 변화곡선과 근류의 무게 및 활성의 변화곡선은 개화기까지는 같은 경향의 증가 곡선을 보였다. 그러나 개화후기에 건물중은 변화가 없었으나 협의 형성에 따른 근류가 이용할 수 있는광합성물질의 감소, 한발, 고온 등에 의하여 근류의 질소고정활성이 급격히 낮아졌기 때문에 이들의 상호관계는 개화후부터 맞지 않았다. 3. 탄수화물함량과 질소함량은 개화기인 6월초에 가장 높고 7월의 결협기부터 낮아지기 시작하였으며 여름기간동안 높은 온도의 영향을 받아 7월말과 8월중순동안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가을에 다시 증가하였다. 각부위의 탄수화물함량 및 질소함량과 근류의 질소고정활성과의 상호관계는 뿌리의 탄수화물함량과 잎의 질소함량을 근류의 질색고정활성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7월중의 예취는 고온기의 탄수화물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하여 가을철에 재생에 사용되었고 근류활성 회복에 기여하였다.

  • PDF

건조방법별 알팔파와 봄 연맥의 건초조제 효과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Field Drying Rate and Quality of Alfalfa and Spring Oats Hay)

  • 서성;김종근;정의수;이종경;김원호;신동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7-74
    • /
    • 2001
  • 본 시험은 봄철 속정건조에 의한 건조효과와 건초품질을 구명하여 양질의 건초를 조제코자, 알팔파(Vernal)과 연맥(Swan)을 공시하여 건조방법(건조제, conditioning, 대구조)을 달리하여 1997년 봄 수원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수확시기는 6월 3일로 얄팔파는 개화초기, 연액은 춤수기였으며, 화학제인 건조제는 $KCO_2$ 2%를 수확직선 처리 하였고, 물리적인 conditioning은 모델 GMR 2800 trail-type mower conditioner를 사용하였다. 포장건조후 각형 곤포를 조제하였으며, 건조의 외관평가와 사료가치는 2개월간 보관저장후 분석.평가하였고, 시기별 식물체의 수분 함량은 포장상태에서 양파망을 이용 조사하였다. 건조방법별 건조속도는 conditioning구에서 우수 하였고, 전반적으로 건조제 처리효과는 낮았다. conditioning 처리시 건초조제 가능일수는 3일 정도로 건조제 처리구나 대조구에 비해 1일 이상 포장 건조기간 단축효과가 있었다. 건초의 건물손실은 알팔파와 연맥 모두 conditioning구에서 적었으며. 달관평가에서도 conditioning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건초의 화학성분 평가에서 사료가치는 수확당시에 비해 크게 낮았는데, 이는 건조기간중 강우(7.8mm)와 저장기간중 가용성 당류의 손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조구에 비해 conditioning구에서 ADF와 NDF 함량이 다소 낮고 건물소화율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알팔파와 본 연맥의 건초조제 시 포장 건조기간 단축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mower condition$\varepsilon$r 사용이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건조제 처리효과는 없었고, 전반적으로 알팔파 건초의 품질이 본 연맥에 비해 우수하였다.

  • PDF

종자피복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Effect on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한건준;민두홍;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66
    • /
    • 2000
  • 본 시험은 1998년 충남 성환에 있는 천원목장의 불경운초지 및 임간초지에 선점식생을 제거하지 않고 피복종자를 겉뿌림하였을 때 목초의 정착 및 초기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불경운초지에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정착률 및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불경운에서 alfalfa 피복종자는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7% 및 $4\;g/\textrm{m}^2$로 부처리에 비하여 높았다 (p<0.05). 한편 임간초지에서 tall fescue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11.8%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으나 (p<0.05), 초기생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간초지에서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처리간에 정착률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초기생육은 피복종자가 18.7%로 무처리의 0.3% 보다 높았다 (p<0.05). 임간초지에서 alfalfa 피복종자의 정착률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p<0.05).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tall fescue, orchardgrass 및 alfalfa 종자를 피복하여 불경운 초지 및 임간 초지에 겉뿌림시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 PDF

알팔파 캘러스로부터 삼투압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from Alfalfa Callus by Osmotic Stress Treatment)

  • 김진수;이동기;이상훈;우현숙;이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79-886
    • /
    • 2004
  • 알팔파의 최적 조직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자엽으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첨가물질과 삼투압 스트레스 처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에 첨가되는 식물생장조절물질로는 5mg/L 2,4-D와 0.2mg/L kinetin이 혼용 첨가된 SH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배발생 캘러스를 1mg/L 2,4-D와 2mg/L BA가 첨가된 SH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체세포 배가 형성되었다. 재분화 배지에 첨가되는 질소원으로 5mM L-proline과 1g/L casein hydrolysate를 동시에 첨가해주었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배발생 캘러스를 0.7M 농도의 삼투압 스트레스 조건에서 12 ${\sim}$ 18시간 처리한 후,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재분화율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율은 0.7M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18시간 처리한 후,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30.7%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알팔파의 효율적인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체계는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알팔파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Biosynthesis of rare 20(R)-protopanaxadiol/protopanaxatriol type ginsenosides through Escherichia coli engineered with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genes

  • Yu, Lu;Chen, Yuan;Shi, Jie;Wang, Rufeng;Yang, Yingbo;Yang, Li;Zhao, Shujuan;Wang, Zheng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116-124
    • /
    • 2019
  • Background: Ginsenosides are known as the principal pharmacological active constituents in Panax medicinal plants such as Asian ginseng, American ginseng, and Notoginseng. Some ginsenosides, especially the 20(R) isomers, are found in trace amounts in natural sources and are difficult to chemically synthesize.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approach to produce such trace ginsenosides applying biotransformation through Escherichia coli modified with relevant genes. Methods: Seven uridine diphosphate glycosyltransferase (UGT) genes originating from Panax notoginseng, Medicago sativa, and Bacillus subtilis were synthesized or cloned and constructed into pETM6, an ePathBrick vector, which were then introduced into E. coli BL21star (DE3) separately. 20(R)-Protopanaxadiol (PPD), 20(R)-protopanaxatriol (PPT), and 20(R)-type ginsenosides were used as substrates for biotransformation with recombinant E. coli modified with those UGT genes. Results: E. coli engineered with $GT95^{syn}$ selectively transfers a glucose moiety to the C20 hydroxyl of 20(R)-PPD and 20(R)-PPT to produce 20(R)-CK and 20(R)-F1, respectively. GTK1- and GTC1-modified E. coli glycosylated the C3-OH of 20(R)-PPD to form 20(R)-Rh2. Moreover, E. coli containing $p2GT95^{syn}K1$, a recreated two-step glycosylation pathway via the ePathBrich, implemented the successive glycosylation at C20-OH and C3-OH of 20(R)-PPD and yielded 20(R)-F2 in the biotransformation broth.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rare 20(R)-ginsenosides can be produced through E. coli engineered with UTG 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