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l trochle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Medial Trochlea of the Humerus in a Pitcher - A Case Report

  • Lee, Jin-Ho;Kim, Myung-S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1호
    • /
    • pp.40-43
    • /
    • 2014
  • Osteochondritis dissecans (OCD) is an idiopathic condition affecting the articular epiphysis. Initially described in the knee, this entity affects several other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talar dome, tarsal navicular, and femoral capital epiphysis. Osteochondritis dissecans (OCD) of the elbow is typically located in the capitellum of the humerus in young teenagers. OCD of humeral trochlea is very rare, but can be occurred among young athletes. OCD developed medial trochlea was extremely rare, especially, without any other trauma. We present a patient, pitcher with OCD in the medial trochlea of the humerus who underwent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icrofracture.

Bilateral Patellar Groove Replacement in a Dog with Iatrogenic Trochlear Groove Damage

  • Kim, Yongrak;Park, Yunsik;Park, Jiyoung;Jeong, Seong Mok;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95-299
    • /
    • 2016
  • A 2-year-old, 1.94 kg spayed female Toy Poodle was referred for revision surgery for patellar reluxation following surgery for bilateral medial patellar luxation (MPL). Intermittent non-weight-bearing lameness of the right hindlimb and weight-bearing lameness of the left hindlimb were evident on general inspection. A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re was a bilateral grade 4 MPL. On radiographs, the medial and lateral trochlear ridge was bilaterally worn out. Patellar groove replacement (PGR) was performed in two stages to replace the bilateral femoral trochlea that had a severely worn out groove. Corrective femoral osteotomy with increasing anteversion angle,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medial releasing, lateral imbrications and PGR were performed on the right hindlimb. Six months after surgery on the right hindlimb, a PGR prosthesis was positioned medially on the frontal plane and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and lateral imbrications were performed on the left hindlimb. Two weeks after surgery, reluxation of the patella occurred on the left hindlimb. The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was performed to realign the patella more laterally than the previous surgery, and a patellar sling was applied. Two years after the last surgery, the patient showed no pain on the stifle joint and satisfactory weight-bearing ambulation. Reluxation did not recur. PGR maybe a successful treatment for dogs with iatrogenically damaged and/or worn out patellar grooves.

정상 한국 성인의 상완골과 관절와의 후경각 및 개방적 수술의 비교 (Humeral, Glenoid Retroversion and Bicipital Groove Distance of the Normal Korean Adults)

  • 김진섭;유정한;박주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51-156
    • /
    • 1999
  • Purpose : Average humeral head retroversion was showed significant wide range from literatures based on variable measuring technique, We performed computed tomography(CT) study in an effort to define the specific anatomy relationships and evaluate their use. Materials and Methods : Two hundreds shoulders and distal humeri CT scan with no known pathology were examined.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to 10 groups by gender and age (from third to seventh decade). The number of each group was twenty. Retroversion of proximal humerus and glenoid were measured using the lines that were connected the central axis of humeral head, central points of the humeral epicondyles paralleling to the trochlea, paralled to the glenoid surface, midpoint between the transverse glenoid diameter and medial edge of the scapular. We also measured the bicipital groove distance from the humeral central axis and scapulothoracic angle. Results: Retroversion of proximal humerus was highly variable, ranging in this study from 13 to 58 degrees(mean 28.73) These values correlated with sex, not age, height or hand dominance. Glenoid retroversion at the inferior sections showed average 1.3 degree, did not signigicant differences. The central axis was an average of l0mm(5-15mm) posterior to the posterior margin of the bicipital groove. Scapulothoracic angle was average 43 degrees(25-53 degrees) Conclusion: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retroversion angle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bicipital groove could be useful as landmark for the lateral fin of the prosthesis to be positioned an average of 10mm posteriorly.

  • PDF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 (The Incidence and the Patterns of Associated Injuri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 이정환;윤경호;배대경;어재형;김정원;박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4-31
    • /
    • 2008
  •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손상 시기와 원인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을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던 547례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손상 시기(급성과 만성), 손상 원인(운동과 비운동) 및 운동 종목에 따라 동반 손상의 빈도와 양상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손상 시기에 따라 수상 후 3개월 이내는 급성으로, 3개월 이후는 만성으로 분류하였으며 급성 손상군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및 골 좌상이 많았고 만성 손상군에서는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4, 0.029).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활차부에(p=0.027), 만성 손상군의 경우 대퇴 내과에 많았고(p=0.011), Grade I, II의 연골 손상은 급성 손상군에(p=0.016), Grade III, IV의 손상은 만성 손상군에(p=0.017) 많았다. 손상 원인에 따른 차이로는 운동 손상군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높았으며(p=0.035) 비운동 손상군에서 대퇴 내과의 연골 손상이(p=0.010) 유의하게 많았다. 운동 종목 별로는 스키에서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p=0.005), 체조에서 연골 손상이(p=0.017) 다른 종목에 비해 많았다. 결론: 내측 및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 심한 연골 손상의 빈도는 만성 손상군에서 높았고 손상 원인과 운동 종목에 따른 동반 손상의 빈도 및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 PDF

연골결손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 수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 after Osteochondral Autogenous Graft Transfer for the Chondral defect of the Knee)

  • 최남홍;곽호윤;송백용;배상욱;이인묵;김우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3
    • /
    • 2001
  • 목적 : 이번 전향적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의 연골 결손 환자의 치료로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시행한 후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슬관절의 연골 결손의 치료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이 시행된 40명의 환자 중 14면에서 이차 관절경이 시행되었다. 환자들의 연령은 $17\~59$세로, 평균 연령은 34세였다. 수술 전 14명 중 11명에게서 자기 공명영상을 시행하여 9면에서 연골 결손이 관찰되었으나 관절경술상 전례에서 연골결손을 확인하였다. 연골 결손의 부위는 대퇴골 내과가 7명, 활차 부위가 4명, 대퇴골 외과가 3명이었다. 연골 결손의 크기는 평균 $13\times10mm$, 최소 $5\times10mm$, 최대 $22\times20mm$이었다. 사용된 골연골의 갯수는 1개를 사용한 경우 8명, 2개가 3명, 3개가 2명, 5개가 1명이었다. 결과 : 수술 후 추적 관찰은 평균 21개월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6개월에 이차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시행한 환자의 $86\%$에서 이식된 연골의 경도가 주변의 연골과 같았으며, $93\%$의 환자에서 주변 연골과 잘 융화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자가 골연골 이식술은 슬관절의 연골결손의 치료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