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System

검색결과 6,220건 처리시간 0.031초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GAL 10 promoter와 exoinulinase 분비 서열을 이용한 Clostridium endoglucanase A의 과발현·분비 (Secretory Overexpression of Clostridium Endoglucanase A in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GAL10 Promoter and Exoinulinase Signal Sequeice.)

  • 임명예;이진우;이재형;김연희;서진호;남수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48-1254
    • /
    • 2007
  • Kluyveromyces marxianus 유래의 exoinulinase (INU1) 분비 서열과 GAL10 promoter를 이용하여 Clostridium thermocellum endoglucanase A gene (celA)의 과발현과 분비 성능 검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체 분비 서열을 가지는 pYEG- CT1 과 INU1 분비 서열을 가지는 pYInu-CT1, 두개의 plasmid는 S. cer-evisiae SEY2102와 S. cerevisiae 2805에 각각 형질전환시켜 ur-acil이 결핍된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celA gene 자체 분비 서열보다 INU1 분비 서열을 사용했을 때 발현량과 분비효율은 각각 약 $18{\sim}22%$ 와 11% 향상되었다. 이 중 361 unit/l의 발현율과 89%의 plasmid 안정성, 그리고 70%의 분비효율을 보인 S. cerevisiae 2805/pYinu-CT1 효모 형질전환체를 cellolose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재조합 효모 생균체로 선별하였다. Galactose 배지내에서 S. cerevisiae 2805/ pYInu-CT1의 발효조 회분배양 결과, 총발현량과 분비효율은 각각 418 unit/l 와 73% 로 나타났다. 또한 분비된 endoglucanase A는 분자량 100kDa 이상에서 활성 밴드를 보여, N-linked 당쇄부가에 의해 상당한 비율의 당쇄가 부가됨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한국청소년의 성실태고찰 (Implication for Korean Adolescent Sexuality)

  • 홍문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33
    • /
    • 1989
  • Rapid socio-cultur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country has brought with it changes in the society's value system. For a traditional society that is increasingly being exposed to modernization but where sex norms are still very restrictive, the adolescent sexual mores takes on added significance. Adolescents are caught between two opposing forces, the changing environment that allows for freer and liberal mores and the traditional society that cannot keep pa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refore demands resistance to changes. This paper focuses on problems of adolescent sexuality in this country and considers the countermeasures for the existing problems. Amongst the problems are: (a) increasingly younger age of the adolescents who start sexual intercourse (b) non-use of contraception, (c) unwanted pregnancies, (d) increase in the number of induced abortion and (e) increase in the number of unwanted children and unmarried mothers. The Korean adolescent's sexual behavior seems to follow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n other words, many western modes of life and sexual values seem to bave been copied in Korea and yet Korean adolescents lack in their knowledge of sex related matters such as reproductive physiology and contracep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emale students are reported to have less knowledge on sex than male students according to a 1988 survey by KIPH. Even among the unmarried famale factory workers, only 42.5 percent replied they know of the condom, and 25.1 percent and 23.1 percent said they had knowledge of spermicide and menstrual regulation respectively. However, 14.9 percent and 13.9 percent reported that they had a knowledge of the loop and female steriliz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1984 study by KIPH.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0.8 percent said they had experience in sexual intercourse, while 7.3 percen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having had sexual intercourse. The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rate among the unmarried female factory workers is 37.8 percent. Among those female factory workers with sexual experience, 46.7 percent had more than one sex partners. Only 39.1 percent of male students and 18.9 percent of female students among those with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have used contraceptives. mostly condoms and oral pills 45.1 percent of female factory workers with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used contraceptives such as pills, condoms and rhythm methods. The pregnancy experience rate among the female factory workers who had experience in sexual intercourse is 29.5 percent, which is 11.1 percent among the total respondents. Out of the 102 pregnant female workers, 98 workers(96.1 percent) terminated their pregnancy by induced abortion and 2 workders(2 percent) in natural abortion, while 1 worker(1 percent) was in pregnancy and another 1 worker had normal birth that was subsequently sent to orphanage. In order to cope with the problem of adolescent sexuality, a drastic and strong policy measures should be taken by the government. The most effective countermeasure to the adolescent sexual problems appears to the education. The sex and population education in the school is very much in need. In addition, sex education program through mass media and at the job sit-should be promoted for a healthy development of adolescents' sexual behavior. Also, the existing national family planning program, which has focused on the married couples, should be extended to the unmarried people in its scop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 PDF

초등학교급식에서의 영양관리실태조사-부산광역시 초등학교들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Nutrition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 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2호
    • /
    • pp.192-20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etitians' nutrition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84 elementary schools in Pusan that operated the conventional school lunch program system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y were grouped into schools that had started the school lunch program gofore('Previously") and after 1996("Newly"). 84.5% of dietitians were 20-29 years old and 44% of them had a career less 1 year old. 74.6% of "Previously" and 72.4% of "Newly" served their meals in the classrooms. The student's nutrition and preferences were mainly considered in menu planning in both groups. The standardized recipe was used in 90% of total schools but not effectively in both groups. The nutrient value of meals was evaluated by the dietitians in most schools. Nutrition surveys of the meals students ate at home were carried out in 27.3% of "Previously" and 13.8% of "Newly". Students preferences were studied regularly in 60% of "Previously" and 48.3% of "Newly" and students evaluations of meals served by the school lunch program in 52.7% of "Previously" and 34.5% of "Newly". In 92.7% of "Previously" and 72.4% of "Newly", nutrition education was executed but was done mostly by letterssent to students' parents(in about 95% of schools), with only 11.8% of schools educating within in their classrooms. There were few instructional medi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most of them used notice boards(48.0% of "Previously" and 41.6% of "Newly") . Evaluation studies on nutrition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were hardly correlated to the dietitian's career and educational level. They were also not correlated to the number of meals served by the school lunch program. In conclusion, the status of the nutrition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was not good and schools that had started the school lunch program before ("Previously") and after 1996(Mewly") were not that different. It appears that most of the dietitians from elementary schools started the school lunch program before 1996 have followed the nutrition management method established in these schools. In order to have better manag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we need to improve the dietitian's position and more studies in the fields fo better nutrition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done.ram, we need to improve the dietitian's position and more studies in the fields fo better nutrition manag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done.

  • PDF

퍼지관계 이론에 의한 집단지성의 도출 (Elici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by Fuzzy Relational Methodology)

  • 주영도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35
    • /
    • 2011
  • 집단지성은 개인들의 협업과 경쟁을 통한 공통이해에 기반한 생산으로서 대중의 지혜를 창출하는 개별 지성들의 통합체라고 할 수 있다. 집단지성의 활용은 공개와 공유 그리고 참여의 기본 철학을 갖고 있는 웹 2.0의 주요한 설계원칙으로 자리잡은 후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개인들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집단지성을 밝혀보려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응용대상은 정보검색과 분류 분야이며, 개인지성의 표현과 도출을 위해 개인 컨스트럭트 이론과 지식 그리드 기법에 퍼지관계이론을 적용한다. 개인의 개별적인 지성은 헤세 다이어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지성 구조로 표현하여 내재된 지식적인 의미를 분석한다. 논문의 목적인 집단지성의 도출은 개인지성들의 비교를 통해 상호간 공유와 일치를 찾아낼 수 있는 유사성 이론의 도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방법론은 퍼지관계 이론 및 퍼지 매칭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험 데이터로부터 유사성을 측정하고, 개인지성들을 대표할 수 있는 최적의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68-676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중학교 건축 계획 시 참조점을 구하기 위해 관련 연구가 부족했던 일본의 중학교 건축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준공된 14개 학교들을 선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 기타 주요 공간 등의 영역별 계획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학교들의 계획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석대상 학교들은 학교 운영방식에 따라 교과교실형 학교와 특별교실형 학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 되는 교육 및 생활공간의 계획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2) 교과교실형 학교는 교과교실, 홈베이스, 미디어 스페이스, 교사공간 등의 요소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며 홈베이스와 교과교실과의 인접여부에 따라 교실 부속형과 독립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3) 특별교실형 학교는 학급교실과 다목적 공간으로 교육 및 생활공간이 구성되는데, 다목적 공간과 학급교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형과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4) 특별교실은 지역개방과 과목별 특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획특성이 나타나며 부속 공간들의 연계로 공간의 분화특성이 나타난다. 5) 도서실은 개별실이 아닌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 홀 등과 연계된 복합구성으로 계획되며 벽으로 구획하지 않고 개방적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강하다. 6) 체육시설로는 옥내 체육관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와 함께 무도장, 옥외 수영장 등의 설치 빈도가 높다. 이들은 체육수업뿐만 아니라 방과 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측면도 크다. 7) 테라스, 발코니, 외부계단 등의 적극적인 계획을 통해 외부공간을 입체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계획하고 있다.

국내 대학 e-러닝의 운영 특징 및 수강자 요구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Learn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and the Needs of Distance Learners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in Korea)

  • 민경배;신명희;류태호;곽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39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e-러닝 운영 특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수강자의 평가 및 요구사항은 어떠한지를 조사하여 대학 e-러닝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영주체차원의 조사로 10개 일반대학 및 17개 사이버대학의 홈페이지와 언론보도를 분석하여 e-러닝 중점사업을 조사하였으며, 이용자차원의 조사로 Q&A게시판 내용분석 및 수강생 대상 일대일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대학은 모바일 스마트 캠퍼스 구축, 강의콘텐츠 다양화, 상호작용 시스템 강화, e-러닝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e-러닝 수강자들은 모바일에서의 e-러닝 환경이 학사행정에 있어서는 편리하나 과목수강과 관련해서는 불안정하거나 기능이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강의콘텐츠는 아직도 특정 형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강의내용에 따라 차별화된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운영자 및 시스템의 상호작용보다 수강자 상호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라고 있었으며, 일반적인 스마트미디어활용교육이 아닌 강의 및 학습과 관련하여 활용할 수 있는 소셜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대학의 e-러닝 활성화를 위해서는 행정중심적 사업추진이 아닌 교육중심적 e-러닝 환경구축을 목표로 한 실효성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LDA 기반 은닉 토픽 추론을 이용한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Automatic TV Program Recommendation using LDA based Latent Topic Inference)

  • 김은희;표신지;김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70-283
    • /
    • 2012
  • 다채널 TV, IPTV 및 Smart TV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수많은 방송 채널과 방대한 TV 프로그램 콘텐츠가 시청자 단말로 제공됨으로써 시청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고 소비하는 것이 어려운 TV 시청 환경을 맞게 되었다. 따라서 TV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자동 추천해 줌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로의 접근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미래의 지능형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한 이슈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 취향과 대중의 선호취향을 모두 고려한 협업필터링 개념의 통계적 기계학습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시청한 TV 콘텐츠에 대한 선호 토픽을 사용자의 시청 선호도로 보고, 최근 널리 활용되고 있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모델을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에 적용하였다. LDA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TV시청 이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을 은닉 변수로 하고,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에 대한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은닉 변수의 확률분포 특성을 비대칭 디리클레(Dirichlet) 분포로 모형화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LDA 기반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유사 시청 특성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상위 5개의 TV 프로그램을 일주일 단위로 추천하였을 경우 평균 66.5%, 2개월 단위의 추천에 대해서는 평균 77.9%의 precision 추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응점 및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영상 간의 컬러 차이 측정 기법 (Method of Measuring Color Difference Between Images using Corresponding Points and Histograms)

  • 황영배;김제우;최병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05-315
    • /
    • 2012
  • 두 카메라 혹은 다수의 카메라에서의 컬러 보정은 이후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 및 양안식 3D 카메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최근 컬러 보정 방법들이 다수 제안되었지만 이 방법들의 결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방법이 많지 않으며 기존의 측정 방법은 두 영상이 카메라의 위치에 따른 서로 다른 장면을 가지고 있을 경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보정을 위한 컬러 간의 차이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대상이 되는 두 영상의 장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여 대응점 검색을 통해 두 장면간의 같은 컬러를 가져야 하는 대응점을 찾고 이 대응점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통계치를 계산하여 컬러의 차이를 계산한다. 이 경우 두 영상의 위치 변화를 하나의 기하학적 변환으로 설명하는 기존 방법에서 생길 수 있는 대응점간의 불일치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대응점들이 영상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영상의 통계치를 계산하여 컬러의 차이를 측정한다. 최종적인 컬러의 차이는 대응점 기반과 전체 영상 기반의 컬러 차이의 가중치의 합으로 결정되며 이 가중치는 대응점 기반의 컬러 비교가 영상 내의 얼마만큼의 영역을 포함하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S-JND 모델을 사용한 주관적인 율 제어 알고리즘 기반의 HEVC 부호화 방법 (A Perceptual Rate Control Algorithm with S-JND Model for HEVC Encoder)

  • 김재련;안용조;임웅;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29-94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인지 화질을 고려하기 위해 S-JND 모델 기반의 율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율 제어 알고리즘은 인간이 가지는 시각 시스템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하여 시각적 민감도와 시각적 관심도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작된 S-JND (Saliency-Just Noticeable Difference) 모델을 사용한다. 율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비트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픽쳐 내에 존재하는 각 CTU (Coding Tree Unit)가 가지는 S-JND threshold를 구한다. 각 CTU의 threshold는 적응적으로 적절한 비트를 분배하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제안하는 비트 분배 모델은 인지 화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서 제안하는 방법을 HM 16.9에 구현하였으며, CTC (Common Test Condition) RA (Random Access), Low-delay B와 Low-delay P의 경우에 Class B와 Class C 영상들에 대해 실험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율 제어 알고리즘 대비 평균 2.3%의 비트율이 감소했고 BD-PSNR은 약 0.07dB 향상이 있었으며 비트 정확도 또한 0.06% 정도 증가하였다. DSCQS (Double Stimulus Continuous Quality Scal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방법 대비 0.03 MOS (Mean Opinion Score) 향상을 보였다.

1920-30년대 한국의 이상적 '신여성' 이미지와 패션 (The Ideal Image and Fashion of the 'New Woman'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 이재윤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72-183
    • /
    • 2014
  • The term "new woman" (신여성 [Sinyeoseong], 新女性) refers to an idealized image of contemporary women during the so-called modern period in East Asia. In Korea, these "modern girls" were also referred to as modan (毛斷), or "cut-hair", reflecting changes in appearances that reject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in favor of "the new" in everyday life. Although it was used to refer to the perceived educated leaders of this new period, it also had the negative connotation of referring to frivolous women only interested in the latest fashion. The popular discourse on this "new woman" was constantly changing during this early modern period in East Asia, ranging from male-driven women's movements to women-driven liberal and socialist movements. The discourse often included ideals of what constituted female impeccability in women's domestic roles and enlightened views on housekeeping, yet in most cases the "new woman" was also expected to be a good wife and mother as well as a successful career woman. The concept of the "new woman" was also accompanied by an upheaval in women's social roles and their physical boundaries, and resulted in women repositioning themselves in the new society. The new look was a way of constructing their bodies to fit their new roles, and this again was rapidly reproduced in visual media. Newspapers, magazines, and plays had gained immense popularity by this time and provided visual material for the age with covers, advertisements, and illustrations.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fashion of the "new woman" through archival resources, specifically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will investigate how women's appearances and the images they pursued reflected the ideal image of the "new woman."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trendsetters, and levels of popular acceptance will also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early stage of the fashion industry in East Asia, includ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dditionally, as the idea of the "new woman" was a worldwide phenomenon throughout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e effect of Japanese colonialism on th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and its role as a cultural mediator will also be considered in how the ideal image of beauty was sought, and whether this was a western, colonial, or national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