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t quality grad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9초

무화과 발효물의 급여가 한우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g Fermented Product Supplementation on Animal Performance, Serum Profile and Meat Quality in Hanwoo Bulls)

  • 국길;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39-746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 수소 10두를 공시하여 전남 영암군의 지역특산물인 무화과 열매와 잎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10% 첨가하여 출하전 8개월간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성상, 도체성적 및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우 수소에 무화과 발효물 10%을 급여했을때 사료섭취량은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성상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도체성적에서는 육량등급에는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육질등급에서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근내지방도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여 육질등급 개선 효과가 있었다. 산육성적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으로 조지방 함량이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물리적 특성에서는 pH와 육색, 가열감량에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단력과 cholesterol 함량은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는 등심부위에서 리놀레인산이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유의적(P< 0.05)으로 증가하였으며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의 등심부위 피하지방에서 C16:0이 유의적(P< 0.05)으로 감소한 반면 C18:1는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냄새는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약간 개선되었으며 외관과 맛에 있어서는 무화과 발효물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무화과 열매와 잎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한우 수소에 급여시 도체등급 향상에 따른 축산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한우고기의 연도개선과 저콜레스테롤 그리고 외관과 맛에 차별화로 고급육생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Aging and Freezing Conditions o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1++ Grade Hanwoo Steer Beef: Implications for Shelf Life

  • Cho, Soohyun;Kang, Sun Moon;Seong, Pilnam;Kang, Geunho;Kim, Youngchoon;Kim, Jinhyung;Chang, Sunsik;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0-44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by evaluating the changes i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under distribution conditions similar to those during export to Hong Kong and China. Four muscles of the loin, striploin, tenderloin, and top round muscles were obtained from 10 animals of $1^{++}$ grade Hanwoo steers. The distribution conditions were 0, 7, or 14 d of aging at $2^{\circ}C$ and continuous storage at $-18^{\circ}C$ for 0, 3, 6, or 9 mon. The lightness (CIE $L^*$) values de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4 muscles increased as the aging time increased when they were frozen for 3 mon (p<0.05). The cooking loss values of the four musc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in, striploin, and top round muscles as the aging time increased (p<0.05). The changes in volatile basic nitrogen (16.67-18.49 mg%) and thiobarbituric reactive substance values (0.75-0.82 mg MA/kg me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meat was frozen for 9 mon after 14 d of aging.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during distribution should be limited to less than 9 mon of freezer storage at $-18^{\circ}C$ after 14 d of aging at $2^{\circ}C$.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로 인한 도체등급 저하가 도체의 품질 특성, 등심 및 삼겹살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creased Carcass Grade of Finishing Pigs due to Increasing Market Weight on Carcass Quality Trait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and Belly)

  • 박병철;하덕민;박만종;진상근;박재홍;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연구는 과중량으로 인해 강등된 도체등급이 등심과 삼겹살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85~150 kg 범위의 500두 출하돈의 도체로부터 평균 크기의 $1^+A$ 등급 도체 7개, A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5 kg)에 근접한 1A 등급 도체 7개, B 등급 도체의 상한중량(99 kg)에 근접한 1B 등급 도체 12개 및 100 kg 이상의 2C 등급 도체 각각 12개를 본 연구의 공시도체로 선발하였다. 근내지방도는 $1^+A$ 등급 도체가 다른 세 등급 도체보다 높았지만 근육과 지방의 색깔 및 조직감 관련 특성은 네 개의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의 색깔, pH, 화학적 조성 및 조직감 관련 품질 특성은 도체등급 저하로 인해 단지 최소 수준만 변하였다. 등심 및 삼겹살 신선육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이취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분삼출도는 $1^+A$ 등급 도체가 가장 낮았으며, 색깔과 근내지방도는 도체등급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한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들 부위 신선육의 기호도는 도체등급간 차이가 없었다. 등심과 삼겹살 가열육에서는 맛과 기호도가 비록 구배는 낮았지만 도체등급이 저하될수록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적어도 $1^+A$와 2C 등급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중량으로 인해 등급이 저하된 돼지 도체는 육질 또한 약간 저하되었는데 이는 즉 돼지 도체의 규격등급이 어느 정도는 육질도 반영함을 시사한다.

식품영양 관련 전공 남녀 대학생의 육우고기에 대한 인식조사 (Perception of Youku (Domestically Produced Holstein Steer) Meat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Studies)

  • 주신윤;이경은;김현지;임경숙;이홍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3호
    • /
    • pp.203-214
    • /
    • 2015
  •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youku meat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or nutrition.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located nationwide, and the responses from the 2,454 students were analyzed. More male and higher grad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about youku while only 20.0% had learned about Youku from class. Approximately 37.8% of the subjects recognized youku as 'dairy cattle which are too old to produce milk', 54.0% as 'all cattle grown for the purpose of meat', and 23.1% as 'all cattle except for Hanwoo'. Only 37.4% recognized youku correctly. Compared with the same quality grade, 25.3% recognized youku meat as being cheaper than imported beef, and only 25.6% of them recognized that youku meat has less fat than imported beef. As much as 83.3% of subjects did not know whether or not they were served youku meat, and 23.7% of subjects wanted increased availability of youku meat. As much as 22.9% of subjects opposed the increased use of youku meat, and the reasons were "it does not taste good" (18.1%), "it is not Hanwoo" (15.1%), "it is not sanitary" (13.1%), and "it is imported" (6.0%). The findings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barriers regarding youku meat promotion among subjects who will be dieticians in food service or managers in purchase departments of catering companies in the future.

Sensory Quality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Thoracis Muscles between Hanwoo and Holstein Steers from Different Quality Grades

  • Kim, Jae Yeong;Lee, Boin;Kim, Dong Hwan;Lee, Kichoon;Kim, Eun Joong;Choi, Young M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79-787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palatability,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marbled Hanwoo and Holstein steers of different beef quality grades (1, 2, and 3).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uscle pH24 h and cooking loss between the groups (p>0.05); however, quality grade 1 of Hanwoo steers (HA1) showed a darker muscle surface compared to grade 1 of Holstein steers (HO1) (30.9 vs. 33.9, p<0.05). The HA2 group exhibited a lower value of Warner-Bratzler shear force compared to the HO1 and HO3 groups (60.8 vs. 69.2 and 87.8 N, p<0.001). For sensory quality attributes, steaks from the HA1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softness, initial tenderness, and amount of perceptible residue than steaks from the HO1 group (p<0.001). Within the quality grade 2, Hanwoo steers had a higher score of softness compared to Holstein steers (p<0.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uiciness and flavor intensity between Hanwoo and Holstein steers at the same quality grade (p>0.05). This difference in tenderness attributes between the breeds within the quality grade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traits of muscle bundle, and Hanwoo steers had smaller bundle area (0.37 vs. 0.50 mm2, p<0.05) and higher fiber number per bundle (88.2 vs. 121, p<0.05) compared to Holstein steers. Therefore, bundle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thoracis muscle can be crucial for explaining factor for the explanation of tenderness variations between different breeds at the same beef quality grade or marbling.

Comparison of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Chikso and Hanwoo beef

  • Utama, Dicky Tri;Lee, Chang Woo;Park, Yeon Soo;Jang, Aera;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500-1506
    • /
    • 2018
  • Objective: Although Hanwoo has been selected as the superior commercial beef cattle breed in Korea,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is still recognized as a valuable breed for beef p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beef from Chikso and Hanwoo steers maintained under identical feed management, as information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is still limited. Methods: A total of 19 carcasses with a quality grade of 1 were selected, and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were collected from 11 Hanwoo carcasses and 8 Chikso carcasses. Meat quality and aroma analyses were performed at day four postmortem. Results: Though Hanwoo strip loin tended to have higher fat content (15.37%) than Chikso (12.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eat pH, water-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value, instrumental surface colo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L^{\star}$, $a^{\star}$, $b^{\star}$, chroma, and hue ang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oasted Chikso beef released more intense aroma than roasted Hanwoo beef based on the total area units of identified volatiles. Among identified volatiles, the amounts of toluene, heptanal, octanal, and nonanal were higher in roasted Chikso beef than in roasted Hanwoo beef. In addition, the aroma pattern of the roasted beef from these breeds was well-discriminated by electronic nose. Conclusion: No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meat quality between Hanwoo and Chikso beef in this study. However, the aroma pattern and volatiles of roasted Hanwoo and Chikso bee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rumental analysis.

육질등급별 한우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Effect of Quality Grade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anwoo)

  • 김범근;박찬은;이은지;김윤숙;김병삼;김종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87-293
    • /
    • 2013
  • 육질등급별 한우의 수분함량은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1^{{+}{+}}$로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은 육질등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이오글로빈 함량의 경우 육질등급이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가열감량과 드립감량은 육질등급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전단력은 육질등급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신선육에 대한 외관 평가 결과 표면의 수분은 육질등급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블링은 육질등급이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이취에 있어서는 2등급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p<0.05). 이에 따라 신선육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1^{{+}{+}}$등급과 $1^+$등급이 1등급이나 2등급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조리육에 대한 관능적 특성 결과 중 향미는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으며(p<0.05), 맛과 다즙성은 $1^+^+$등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에 따라 조리육에 대한 전체적인 기호도는 육질등급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한우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수분함량, 조지방, myoglobin 함량 및 전단력이 중요한 물리화학적 인자라고 판단되며, 신선육에 있어서 marbling score는 조리시 맛,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육 등급별 Hydroxyproline 함량 분석법을 이용한 육가공품의 품질 평가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Contents of Pork Meat for Quality Evaluation of Meat Products)

  • 김진성;김재훈;박진규;박재남;이주운;변유량;변명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2-367
    • /
    • 2006
  • 본 연구는 돈육 등급과 hydroxyproline(Hyp)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최종적으로 육가공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돈육 semitendinosus(사태)와 같은 특정 부위의 Hyp 함량은 돈육 등급과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체로부터 분리한 fresh ham(후지) 전체 부위를 분쇄하여 시료로 사용한 경우 $A{\sim}E$등급까지 등급이 낮아질수록 Hyp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와 E등급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도 E등급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Hyp의 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resh ham(후지) 전체 부위를 원료로 하여 햄버거 패티를 제조한 후 Hyp 함량을 분석한 결과 등급이 낮아짐에 따라 Hyp 함량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돈육 semitendinosus(사태)와 같은 특정 부위에 존재하는 Hyp의 함량은 돈육 등급과의 상관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fresh ham(후지) 전체 부위를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등급에 따른 Hyp 함량과의 유의적 상관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육가공품의 제조시 원료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돈육의 경우 fresh ham(후지) 부위가 주로 사용되는 만큼 이상의 결과들은 최종적으로 육가공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Bentonite and Probiotics on Meat Characteristics and Health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fed Rice Straw As a Sole Roughage Source (a Field Study)

  • Kwak, Wan-Sup;Lee, Sang-Moo;Kim, Young-Il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7-396
    • /
    • 2012
  •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etary effects of Na-bentonite (NaB) and probiotics on meat characteristics and health of Hanwoo steers fed rice straw as a sole roughage source. A total of 24 growing Hanwoo steers (avg BW 232 kg) were assigned to two treatments which included a control diet (concentrate mix and rice straw) and a treatment diet (control diet + 0.5-1.0% NaB + 0.5-1.0% probiotics. The diets were fed for 22 months up to the time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Dietary treatment increased (p<0.05) concentrations of trace minerals such as Zn, Cu, and Fe in the longissimus muscl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reatment diet did not affect cold carcass weight, yield traits such as backfat thickness, longissimus muscle area, yield index, yield grade and quality traits such as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maturity and quality grade. Blood profiles of growing steer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s for healthy cattle. In conclusion, feeding a combination of clay mineral and probiotics to Hanwoo steers fed rice straw as a sole roughage source could have a desirable effect on improving trace mineral retention in longissimus muscle without any deleterious effects on carcass traits of steers.

한우 도체 육질등급 요인 분석과 육질등급에 따른 이화학 및 관능 특성 (Analysis of Carcass Quality Grade Components and ChemicoPhysical and Sensory Traits of M. longissimus dorsi in Hanwoo)

  • 이종문;박범영;조수현;김진형;유영모;채현석;최양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33-840
    • /
    • 2004
  • 1995년부터 10년간 축산연구소에서 도축된 한우도체 773두에 대하여 한우도체의 육질등급 판정 요인특성을 출하체중 및 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육질등급에 따른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육질등급은 출하체중대별로 거세우 및 암소가 수소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P<0.05) 출하 체중이 높을수록 육질응급이 향상되었다. 육질등급 판정요인 중 근내지방도, 조직감, 성숙도, 육색 및 지방색은 성별로 차이 가(P<0.01) 있었으나 출하체중별로는 근내지방도와 성숙도 요인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우의 최종 육질등급은 근내지방도(r= - 0.$81^{**}), 육색(r= 0.21^{**}), 지방색(r= 0.10^{**}) 및 조직감(r =0.41^{**}$)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성숙도는 영향이 없었다. 배최장근에서 측정한 평균 단백질함량, 수분함량 빛 지방함량은 각각 20.68%, 69.34% 및 8.05%로 육질등급이 3등급에서 $1^+$등급으로 우수할수록 단백질함량 및 수분함량은 감소되었고 지방함량은 증가되었다(P<0.01). 전단력, 가열감량 및 보수성은 평균 5.2kg/$cm^2$, 129.4% 및 47.3%로서 육질등급이 증가됨에 따라 전단력과 가열감량은 감소되었으나(P<0.01), 보수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은 육질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와 적색도 및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관능특성에서, 풍미와 다즙성은 및 연도는 육질등급이 우수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배최장근의 지방함량은 전단력(r=$0.56^*$)과 보수성(r=$0.18^{**}) 및 다즙성 (r=0.46^{**}), 연도(r =0.49^{**}), 향미 (r= 0.34^*)에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단력이 높을수록 관능특성 요인인 향미, 연도, 다즙성이 나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