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ing Reading Effective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취약계층 어린이를 위한 책 배달, 책 읽어주기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Book Delivery and Reading Program for Vulnerable Children: Focusing on the Case of Library A in Gyeonggi-do)

  • 공정자;조미아;이부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1-154
    • /
    • 2023
  • 본 연구는 경기도 A시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취약계층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행한 찾아가는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A시 도서관은 방문교사를 활용하여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책을 비대면으로 책만 배달하거나, 대면으로 책을 읽어주고 책 배달을 함께 하였다. 2022년 프로그램 참여자는 103가정 158명으로 이 중 책 배달은 67가정 103명, 책 읽어주기는 36가정 55명이다. 취약계층 어린이와 양육자를 대상으로 사업 시작과 종료 시기에 독서 효과 측정지표를 설문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방문교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분석결과 책 배달과 책 읽어주기 중 어린이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고 상호작용이 큰 책 읽어주기의 효과가 높았다. 연령상으로 독서경험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유아가 초등학생보다 독서 효과가 더 좋았다. 계속 참여집단보다 신규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약간 더 효과적이었다. 이외에 프로그램 시행 후 독서 흥미, 독서 태도, 독서환경, 독서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사회성, 언어능력, 독서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도서관 이용률 등에서 향상되었다.

도서관에서의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Operation in Library)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9-207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의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사전 및 사후점수 간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 변화에 나타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월 평균 독서량' 특성, '조사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학업성적' 특성, '설득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성별', '학업성적',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 및 토론능력 구성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과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도서관에서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자기안내식 해설판 글자의 가독성과 관심유도, 선호도 및 탐방객의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and Attraction, Preferences, and Intention to Recommend Reading Signs to Others)

  • 김상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3-481
    • /
    • 2006
  • 가독성은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해설판의 정보전달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해설판의 가독성이 탐방객의 관심유발과 해설판 읽기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가독성과 해설판의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2003년 8-11월중에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관찰로 탐방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을 대상으로 관찰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중 이용 가능한 350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가독성은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독성 이 높으면 높을수록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가독성과 더불어 관심유도와 선호도도 해설판 읽기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 변수중 선호도는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설판의 가독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해설판 읽기 행동의 증대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자기안내식(自己案內式) 해설판(解說板) 글자의 가독성(可讀性)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들 (Influential Factors o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 김상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362-369
    • /
    • 2005
  •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가독성은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정보전달 수단으로서의 효과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자기안내식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들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해설판 디자인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03년 8-11월중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탐방로 방문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탐방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의 글자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 중 94.7%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19개 속성 중 5개의 속성, 즉 글자수, 글자체의 수, 전 해설판에서 그림이 차지하는 면적율, 글자간격 및 글자크기가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속성의 가독성에 대한 설명력은 글자수, 글자체의 수, 그림 면적율, 글자간격, 글자크기 순으로 크게 조사되었다. 이들 5개 속성이 해설판 가독성의 50.0%를 설명하였다. 해설판의 가독성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들에 대한 보다 큰 관심과 관리노력을 집중시킴으로써 해설판의 효과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타악기를 활용한 즉흥연주가 청각장애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Percussion Improvisation to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Who are Under Stress)

  • 이은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41-66
    • /
    • 2008
  • 본 연구는 전통타악기를 활용한 즉흥연주가 청각장애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연구로 독순법이 가능한 21~22세의 후천적 청각장애대학생 4명을 선정해 40분의 개별세션과 50분의 그룹세션을 주 1회씩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전겸구 김교헌(1991)이 개발한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개선한 척도를 이용한 양적 자료와 연구자 및 음악치료사 2인의 관찰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를 이용해 전통 타악기를 활용한 즉흥연주가 청각장애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해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한 양적분석과 기술적인 분석을 볼 때, 청각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에게도 소리가 중심이 되는 음악이 치료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고, 대인관계와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대처관리에 음악이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양한 연령대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