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les pneumoni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피하기종과 종격기종을 동반한 홍역성 폐렴 1예 (A Case of Measles Pneumonia Complicated by Subcutaneous Emphysema and Pneumomediastinum in an 18-year-old Patient)

  • 박재형;이윤정;강호형;김순종;고윤석;임채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75-280
    • /
    • 2001
  • Background : A 18 year-old man presented with dyspnea and a swelling of the neck. On physical examination, maculopapular rashes were noted on the face and the whole body and crepitus was noted at the thorax and upper arms. His chest X -ray showed bilateral interstitial infiltrates of the lung, pneumomediastinum and subcutaneous emphysema. On serologic examination, measles IgM was positive. Under the diagnosis of measles pneumonia,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oral ribavirin, which resulted in a complete resolution of the pneumomediastinum, subcutaneous emphysema, pneumonic infiltrate, and subjective symptoms of dyspnea and swelling of the neck in 7 days. He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PDF

홍역 이환으로 악화된 폐결핵 1례 (A Case of Exacerbated Pulmonary Tuberculosis after Contracting Measles)

  • 이용순;이수진;유영;김신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2호
    • /
    • pp.229-233
    • /
    • 2001
  • 저자들은 지속적인 고열과 심한 기침 및 가래,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15세 남아에서 결핵 치료를 받고 있던 중 홍역에 이환 되어 악화되었고, 투약 중이던 모든 약제에 내성이 나타난 폐결핵을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한다.

  • PDF

홍역 후 천명환아의 기도내 세포양상 및 IL-8치 (Bronchoalveolar Cellularity and IL-8 Levels in Patients with Post-measles Wheezing)

  • 정다은;김병의;정주영;김정연;마상혁;김창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63-768
    • /
    • 2003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홍역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 천명성 질환에서 기도내 세포양상과 화학주성인자IL-8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홍역 후 후기 폐 합병증의 병태생리를 밝히는데 도움을 얻고자 했다. 방 법 : 이전에 건강했으나, 홍역 폐렴 후 적어도 3회 이상의 천명으로 내원하여 고식적인 천명치료를 하였으나 이에 잘 반응하지 않아 기관지내시경을 시행받은 12명의 환아(홍역 후 천명군, 중간연령 1.3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홍역 감염 평균 6개월(1-15개월) 후 고해상 전산화 단층촬영(HRCT)을 시행 받았다.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는 총세포수와 세포분획을 분석하였다. IL-8 농도는 ELISA로 측정하였다. 이 결과들을 7명의 정상 대조아(대조군, 중간연령 7.4세)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기관지폐포세척세포의 비교에서 호중구 분획이 홍역 후 천명군에서 16.0%로 대조군의 3.8%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 그 외 임파구나 호산구의 분획은 양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T세포아형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에서는 CD4+/CD8+비가 1/14.1로 CD8+이 현저하게 상승되어 있었다. 2) IL-8치의 비교에서는, 홍역 후 천명군($mean{\pm}SD$, $512.7{\pm}324.0pg/mL$)에서 대조군($41.7{\pm}67.7pg/mL$)에서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P<0.01). 3) BAL 호중구와 IL-8치의 상관성에 관한 분석에서 홍역 후 천명군의 BAL 호중구와 IL-8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16, P=0.001). 4) 의미있는 HRCT 소견으로는 모자이크성 관류, 기관지 확장, 기관지벽 비후 그리고 폐혈관 감소로 후기 만성 폐합병증 소견을 보여 주었다. 결 론 : 홍역 후 천명성 질환에서 기도내 호중구와 IL-8치가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호중구와 IL-8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역 후 천명의 병태생리에 기도내 호중구와 IL-8의 역할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7형 아데노바이러스 폐렴 후 발생한 폐쇄 세기관지염 1례 (A case of bronchiolitis obliterans developed after adenovirus type 7 pneumonia)

  • 박효간;이소연;김영호;오필수;김재윤;정윤석;강춘;김광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124-128
    • /
    • 2007
  • 폐쇄 세기관지염은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홍역바이러스, 폐렴미코플라스마,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 등에 의해서 생길 수 있다. 특히 3, 7, 21형 아데노바이러스의 경우에는 급성기의 심한 폐증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합병을 남길 수 있다. 이에 7형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심한 폐렴 후, 만성적인 기침 및 호흡기 증상을 가진 환아를 HRCT를 통해 폐쇄 세기관지염으로 진단하였고, 이후 흡입 스테로이드와 흡입 기관지확장제를 통해 증상을 조절한 1례를 경험한 바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2000-2001년 수도권 지역 홍역 유행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00-2001 Measles Epidemic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피대훈;변소훈;김경범;유영;이기형;신영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0호
    • /
    • pp.1219-1226
    • /
    • 2002
  • 목 적 : 국내에서는 1960년대 중반 이후 꾸준히 홍역 예방 접종을 시행해 옴에도 불구하고 2000-2001년에 전국적인 홍역의 대유행이 발생하였다. 저자들은 수도권 지역내 홍역 환아 중 입원 치료를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의 특징을 조사하고 예방 접종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 법: 2000년 6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관동대학교 일산 명지병원 및 서울 동부시립병원 소아과에서 임상적으로 진단된 홍역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 홍역 예방 접종력, 증상이 나타난 후 입원까지의 기간, 입원 기간, 합병증의 유무 및 그 유형 그리고 혈청 홍역 특이 IgM/IgG 항체를 검사하여 백신 실패율을 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305명 중 12개월 미만은 118명(38.7%), 12-47개월은 84명(27.5%), 48개월 이상은 103명(33.8%)이었고 남녀비는 1.2 : 1로 남아가 많았다. 발병 연령은 $50.0{\pm}56.4$개월, 발진이 나타난 후 입원할 때까지의 기간은 $2.5{\pm}1.6$일, 재원 기간은 $6.4{\pm}3.4$일이었으며, 발진 발생 후 입원까지의 기간과 재원기간은 연령군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홍역 입원 환아는 2000년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부터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12월에 최고조에 달하였고 2001년 2월 이후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유행은 연장아부터 시작되어 점차 어린 연령군으로 전파되는 양상을 보였다. 홍역 환아 중 1회 이상 홍역 예방 접종을 시행한 경우는 65.2%(199명)였고, 48개월 이상의 환아 중 현재의 예방 접종 권장안대로 2회 접종을 받은 경우는 13.6%였다. 1회의 홍역 예방 접종력이 있는 환아 180명 중 일차 백신 실패율은 59.4%(107/180명), 이차 백신 실패율은 3.9%(7/180명)였다. 61.6%의 환아가 합병증을 나타냈으며, 38.4%는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합병증은 폐렴이 31.8%로 가장 많았고, 기관지염 11.5%, 중이염 4.6%의 순이었으며 백신 접종력 및 접종 횟수는 합병증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2000년-2001년에 유행한 홍역의 임상 양상은 이전의 유행과 비교하여 볼 때 특이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나이가 많은 연령층에서 시작하여 어린 연령층으로 확산되는 특징이 있었다. 홍역 환아들 중에서는 특히 일차 백신 실패율이 매우 높으므로 홍역 예방을 위해서는 이차 접종을 철저히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환아에서 병발한 가와사키병 1례 (A Case of Kawasaki Disease with Mycoplasma Pneumonia)

  • 이세민;박소은;김연우;홍정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438-442
    • /
    • 2005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가와사키병에 병발한 경우가 보고된 적이 없으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특성상 다양한 호흡기 외의 증상이 비교적 흔하게 동반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발열을 보이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경우 반드시 비전형적 가와사키병이 감별되어야 할 것이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초항원(superantigen)에 근거해 가와사키병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을 지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근거로 생각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감염성 질환들에서 C-반응 단백 값 (C-reactive Protein Level in a Variety of Infectious Diseases)

  • 김효진;유정훈;이경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01-107
    • /
    • 2005
  • 목 적 :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서 CRP, 백혈구 수 및 중성구 분획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에 입원한 환아 중 세균성 질환인 세균성 수막염(19명)과 급성 신우신염(55명), 대표적인 바이러스 질환인 홍역(274명), 수두(38명), 마이코플라즈마 질환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160명), 리케치아 질환인 쯔쯔가무시병(39명) 및 감염이 원인으로 여겨지는 가와사끼병(152명)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CRP 값은 세균성 수막염($17.9{\pm}6.4mg/dL$), 가와사끼병($9.1{\pm}5.6mg/dL$), 급성 신우신염($8.1{\pm}3.3mg/dL$) 순으로 높았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과 쯔쯔가무시병(타세균성 질환)이 $3.2{\pm}2.5mg/dL$, 홍역 및 수두의 바이러스성 질환에서는 $1.0{\pm}0.8mg/dL$를 보였다. 백혈구 수 및 중성구 분획에서도 세균성 질환들과 타세균성 질환 및 바이러스성 질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가와사끼병의 경우 세균성 질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세균성 질환 및 가와사끼병에서 CRP 값과 백혈구 수 및 호중구 분획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결 론 : 다양한 감염 질환에서 평균 CRP 값과 백혈구 수 및 중성구 분획은 병원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하나의 감염성 질환에서 백혈구 수와 중성구 분획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세균성 질환에서 CRP 값과 호중구 수와는 서로 연관이 있었다.

  • PDF

기관지확장증의 외과적 치료 (The surgical treatment of bronchiectasis)

  • 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3호
    • /
    • pp.456-464
    • /
    • 1984
  • Since the advent of potent chemotherapy,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bronchiectasis have been on the decrease. Up to date, however, the medical treatment of bronchiectasis has not given us much satisfaction. Our purpose here is to show our experiences with pulmonary resections of bronchiectasis to clarify its surgical results and define its surgical indications. Sixty-five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treated surgically from January 1973 to December, 1982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given clinical assessment. Of the 65 patients involved in the series, 49 were male and 16, female. The patients ranged from 8 to 51 in ages, with 59 cases [91%] between 10 and 39 years old. The prominent clinical features were as follows: cough [88%], sputum production [78%], recurr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51%], and frequent hemoptysis [32%]. The past history of the patients included measles 29%, whooping cough 14%, pulmonary tuberculosis 12%, and pneumonia or bronchitis 12%. The cylindrical type of the bronchiectasis was found to be most common, accounting for 43% of the cases. The operations were performed on the left lung in 52 cases and the right lung in 13 cases. The most common operative procedure was the left lower lobectomy and lingular segmentectomy, which showed 34%. The second most frequent procedure was the simple left lower lobectomy which was 22%. Incomplete resections of the multisegmental bronchiectasis were carried out in 12 cases, of which 7 cases were satisfactory Four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pulmonary resections for the severe multisegmental bilateral bronchiectas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Improvement in pulmonary symptoms was generally obtained in all four cases. The follow-up ranged from 1 week to 7 tears, with an average of 18.8 months. The overall results revealed that 87% of these and excellent or good conditions, but 13% had persistent symptoms. There was one operative death, which is a 1.5% mortality.

  • PDF

최근(最近) 한국인(韓國人)의 사망력(死亡力) 경향(傾向)에 관(關)한 고찰(考察) (Recent Mortality Trends in Korea)

  • 김일순;이동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권1호
    • /
    • pp.61-76
    • /
    • 1969
  • A review has been made of mortality trends in Korea from 1958 to 1967 analyzing the data by sex, age and cause of death. The crude death rates and age specific death rates were estimated by the model of N. Keyfitz life table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data of the 1960's national census. The cause specific death rates shown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the following: all deaths occurring in the death-registration are expressed as a numberator, while the denominator was estimated from the regular national census data by interpolation method. It is estimated that only an average of about 40% of deaths which occurred during a year were registered during 1958 to 1967.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 of causes of death seem to be extremely poor in this country. Therefore the cause specific death rates in this article are aimed to reveal trends of causes of registered death ana not for the actual level of death rates. For 10 years very interesing mortality trends were observed : 1. The trend in the crude death rates was downward slowly. 2. The estimated death rate for the infant in 1960 was still high up to 100 per 1,000. 3. The rates for mortality attributed to such infectious diseases as pneumonia, bronchitis, gastroenteritis and measles decreased an average 40-60%. 4. The death rates for over-all tuberculosis decreased only 9.8%. 90% of the decrease was contributed by those in the less-than-15 year age group. 5. The death rates for chronic diseases, such as vascular diseases affec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lignant neoplasm, major heart diseases and all accidents rose about 40-60%. 6. The rank order of the 10 leading causes of death showed large changes over the years, except for pneumonia and tuberculosis which occupyed 1st and 2nd places respectively. Vascular diseases affec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moved from 5th to 3rd place and malignant neoplasm from 6th to 4th place, The major heart diseases moved from 10th to 6th place and all accidents from 10th to 7th place. On tile other hand, gastroenteritis moved from 3rd to 5th place and influenja from 4th to 8th pl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