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preference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5초

리더십과 서비스품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ervice quality)

  • 안관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3
    • /
    • 2004
  • As the family's revenue and the preference for the quality of life increase, outdoor food and meal industry is rapidly growing up in Korea. Thus employee's service quality is much more necessary in this industry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service quality. Samples collected from restaurant employee were 571 cases and were analyz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factors and the service quality factors.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hip influences to the tangibility and the empathy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more than to other factors.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is more effectiv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

단체급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up Feeding for Institution)

  • 김혜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74
    • /
    • 1973
  • I. This study on planing menu for group feeding is based on the following ; 1) Decision of nutritive value is based on age, sex, and energy consumption of the students. 2) Selection of food is based on their preference for food through questionaire. 3) Amount of food calorie for each meal is based on data on energy consumption of their daily life. 4) Three data for planing menu for group feeding were based on food rice of each season, favourite foods of girl students and length of their stay at the institution. II. The menu for group feeding was evaluated on nutritive value calorie and protein, 5 basic food groups and price ; 1) The amount of calorie and protein for each season was satisfactory. 2) Each menu was composed of 5 basic food groups but the third group was not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3) Average price of per day turned out to be 193 won which is less than the standard price, 200 won.

  • PDF

남녀 대학생의 음식선택기준과 외식행동 (Factors in Food Selection and Eating Ou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노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9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eating out behavior and factors in food choices of 369 college students in Kwangju. 47.1% of subjects ate out at least once a day and lunch was the most frequent meal for eating out. Eating out expendi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udent's allowanc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frequency, expenditure of eating out and related factors in food pre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aste was the most considered factor but nutrition was the least considered in food selection of respondents. Among male respondents, the most important nutritive factor was protein followed by calorie and vitamin. However, female counterpart regarded calorie as the most important nutritive factor affecting food selection. Tendency of increased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was noted in subjects over past a few years. It might be suggested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e implemented to improve and develop eating out behavior related to nutrition in food selection.

  • PDF

우리나라 1900년대 문헌에 나타난 주식류 변화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Main-Meals in 1900's Korean Cook Books)

  • 백선희;안빈;이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19-528
    • /
    • 2004
  • This study reviewed the main-meals in 1900's Korean cook books. Boiled rice, gruel and thin gruel were mainly made of rice. As the, additional, ingredients, miscellaneous cereals, vegetables, potatoes, seafoods, meats and eggs were used to substitute, for rice, and to improve of preference. We observed some sort of main-meals were diminished and/or disappeared, changed its side ingredients to obtain foods easily, and also its cooking style has been gradually getting to simplify.

  • PDF

창원.김해 지역 초등학생의 쌀음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조사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on Rice Foods in Changwon and Gimhae City)

  • 윤현숙;이미자;이경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3호
    • /
    • pp.341-352
    • /
    • 2005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1,180 elementary school children (630 boys and 550 girls) of 5th or 6th grade in Changwon and Gimhae of Gyeongnam province. They were asked about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rice foods by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find the way of encouraging rice intake and preference which is currently getting lower because of increasing simple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inheriting and improving our traditional rice-based dietary cul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Most of subjects (91.2%) thought that steamed rice is better than bread for own health. The reason why they chose to eat steamed rice was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61.2%), and 'because it is staple food item that we eat everyday' (26.4%). Seventy one percent of girls and 52.7% of boys gave the answer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as the reason for eating steamed rice. The reasons for the importance of the rice-based dietary culture were 'because of its superior nutritional value' (40.8%), and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eating culture' (28.6%). While significantly more girls (42.9%) answered as 'because of its superior nutritional value', more boys (39.0%) answered as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dietary culture'. More boys (59.0%) preferred noodles than girls' (54.7%), and fruits were preferred more by girls than boys as substitution foods for steamed ric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y wanted rice product developed in the forms such as Ssalamyun (29.8%), Ssalmandoo (24.1%), rice noodles (20.6%), and rice bread (15.6%). The preference score on rice products of subjects was one dish meals (4.27) and drinks (4.26), snacks (3.72), convenience foods (3.61), and steamed rice (3.44) in order. Preferred food showing points over 4 were Ssalbap (plain steamed rice) (4.29) in steamed rice type food, Kimchi bokeumbap (4.56), Bokeumbap (4.55), Bibimbop (4.45), Omelet rice (4.44), Kimbap (4.42), Ddukkuk (4.33), Curried rice (4.33), Jajangbap (4.28), and Ddukmandookuk (4.24) in one dish meal type food, Samgak Kimbap (4.26) in convenience type food, Songpyun (4.48), Injulmi (4.18), Teokbokki (4.71), Ddukkochiguyi (4.46), and rice cookies (4.24) in snack type food, and Shikhye (4.61) and Misugaru (4.28) in drink type food. Based on these results, it may be said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nk the rice-based diet is good for health and this dietary culture should be inherited and developed not only in a traditional aspect but also in a nutritional aspect.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various forms of rice food products and cooking recipes.

  • PDF

대구 지역 남자 대학생의 체형에 따른 식습관 조사 (Study on Relation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to Physique(Figure) of Students in Taegu)

  • 최봉순;이인숙;이은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9-269
    • /
    • 1999
  • 대구지역 남자 대학생의 체중조절지향 및 체형에 따른 식습관 및 기호도, 영양지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C대 남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신체계측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19.8{\pm}2.3$세였으며, 평균 신장 및 체중은 $173.8{\pm}8.7cm$$65.8{\pm}7.9Kg$, 그리고 평균 BMI는 $21.9{\pm}2.4$로 한국인 체위기준치의 표준신장 172.0cm, 체중 66Kg, 평균 BMI 22.3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조사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신장과 체중은 179.3cm와 70.4Kg로 이는 대체로 실제보다 큰 체형이었으며 이때 BMI는 21.9였다. 2. 스스로 평가한 자신의 체형은 '보통이다' 혹은 '여위었다'라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72.7%였으며.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은 '약간 살찜'이라고 답하였다.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은 '좀 더 살찌기를 원함'이라고 답한 대상자가 74명으로 전체의 33.8%였고, '여위기를 바람'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47명으로 전체의 21.5%였으며, '지금의 상태에 만족함'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98명으로 44.7%였다. 3. 평소 식사량은 많은 편으로 '먹을 수 있는 최대의 양을 먹는다'고 답한 수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40.6%였으며 체중군별로는 과체중군이 48%로 가장 높았다. 각 체중군이 가장 중점을 두고 식사를 하는 시간은 '저녁식사'였다. 식사의 규칙성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51.6%가 '아침'을 규칙적으로 먹는다고 답하였으며 저체중군은 점심을 불규칙적으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51.1%). 식사를 거르는 이유는 '시간이 부족해서'라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60.3%가 답하였으며 과체중군에서 '습관적으로 식사를 거른다'가 다른 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신의 식생활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불규칙한 식사시간'이라고 조사 대상자의 45.2%가 답하였다. 4. 영양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는 조사 대상자의 49.8%가 '신문이나 잡지, TV'라고 답하였으며 '부모님', '학교수업' 및 '영양관련 서적' 등 이었다. 반면에 '영양관련 지식의 습득이 전혀 없다'라고 대답한 조사대상자도 26.5%나 되었다. 식품군별 섭취빈도조사 결과 '저체중군'은 '육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군'은 '채소'의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5. 영양관련 지식에 대해서는 각 체중군은 20점 만점에 평균 15점을 기록하였다. 이들 체중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사 대상사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영양관련 지식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6. 체형에 따른 식품섭취빈도는 일반적으로 '곡류 및 면류'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야채류 와 '기호식품 및 간식류'의 선호도도 높은 편이었고 '햄, 소세지'에 대한 선호도는 모든 체중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김치'의 섭취빈도가 각 체형군에서 고르게 가장 자주 섭취하였다. '과체중군'은 다른 군에 비해 '쇠고기'와 '기호식품 및 간식류'의 섭취빈도가 낮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저체중군'은 '과체중군'에 비해 육류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군'은 야채와 과일 섭취빈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남학생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에 따른 식사행동이나 식습관의 바람직한 방향을 위하여 영양학의 이해나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지역 당류편식 중학생의 식습관, 식품섭취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ke Sweets in Busan)

  • 유나희;김미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35-7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당분이 많은 과자류나 가당 음료에 대한기호가 강한 중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위한 사전 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 335명 중에서 33.1%인 111명의 학생들이 당류편식군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습관 점수에 있어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세 끼 식사의 규칙성, 아침식사, 식사량의 적정성, 식사 시의 균형, 녹황색 채소, 고기, 생선, 우유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간식의 양, 과자 및 사탕 등의 당류, 인스턴트식품, 패스트푸드, 햄과 소시지, 탄산음료의 섭취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높았다. 영양지식 점수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편식군의 점수가 낮았으며, 군별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또한, 각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은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 바른 간식 섭취 영역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은 영양과 건강, 식품구성탑과 5가지 식품군에서 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섭취빈도에 있어서는 쌀밥, 잡곡밥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며, 라면과 빵, 케이크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높았다. 햄, 소시지의 섭취빈도가 당류편식군에서 높았고 콩, 배추, 무, 콩나물, 시금치, 오이, 고추, 당근, 상추, 양배추 등 채소류는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우유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이 낮았으나 아이스크림은 당류편식군의 섭취빈도가 훨씬 더 높았다. 과자류, 초콜릿 및 사탕, 햄버거, 피자, 탄산음료의 섭취빈도는 당류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 섭취빈도(p<0.05), 당류관련 기호도(p<0.01),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당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기호도(p<0.01)와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당류관련 기호도 점수가 높을수록 당류관련 식습관 점수(p<0.01)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당류 섭취빈도가 높아질수록 라면, 빵, 케이크, 햄, 소시지, 아이스크림, 햄버거, 피자의 섭취빈도가 높아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p<0.01), 두부, 콩(남학생 p<0.05, 여학생 p<0.01), 김치(p<0.01), 당근(p<0.01), 우유(p<0.01)의 섭취빈도는 낮아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거주 중학생을 이용하여 $13{\sim}15$세 청소년의 당류편식의 심각성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당류편식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있도록 학생들이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당뇨식 잔반 감량을 위한 영양서비스 개선 활동의 효과 (Effects of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for Reducing Plate Waste of the Diabetic Mellitus Diet in a General Hospital)

  • 손정민;염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74-681
    • /
    • 2008
  • Hospital malnutrition could be caused by not completing the food served in the hospital. This has been a big problem since it delays the recovery of the patient and extends the length of hospital sta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duce the plate waste for the DM diet by performing several nutrition service improvement activities. The study was performed in a general hospital with 900 be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taken by 39 DM patients to obtain their aspect of the hospital foodservice systems and the quality of the meal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amounts of foods served in the hospital kitchen and returned were measured by weigh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measurement of the plate waste was performed again for comparison. The average percentage of plate waste for the DM diet was 23.2%. The survey showed no difference by sex, age or duration of admission in plate waste. However, this food wastage percentage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having a chance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diet therapy (12.21%) and not having one (26.06%) (p < 0.05).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the quality of food by its taste was 2.49 (1: very poor, 5: excellent), the temperature score was 3.56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amount of food served score was 2.95 (1: very poor, 5: excellent), and the preference score was 3.13 (1: very dislike, 5: very like). Nutritional care improv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adjusting seasonings, developing new menus, and standardizing cook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eal quality. The dietitian's inpatients care protocol was adjusted to expand the nutritional counseling chance for the DM patients. After the improvement activities, the average plate waste was reduced to 14.6%, and the satisfaction of food taste and preference increased to 3.21 (p < 0.001), and 3.36 (p < 0.05) correspondingly. The result shows that, for therapeutic diet patients, food intake could be increased by improving the food service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meal quality and clinical nutritional service activities.

대전지역 주부들의 한국발효식품 소비실태 (Housewives발 Consumption Aspects of Korean Fermented Foods in Taejon)

  • 구난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14-725
    • /
    • 1997
  • 전통 발효식품의 소비정도와 마련방법를 알아보기 위해 대전지역 주부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김치류는 하루에 1번 이상 이용하는 주부가 97%, 매끼 마다 이용하는 주부는 87%로 가장 빈번하게 식탁에 오르는 발효식품이었다. 그 다음은 진간장, 국 간장, 고추장 및 된장의 순으로 하루에 1번 이상 이용한다는 답은 각각 47%, 46%, 31% 및 27% 이어서 장류는 우리 음식 준비시 매일 요구되는 발효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식사 준비시 매우 낮은 빈도로 이용되는 발효식품은 청국장, 젓갈류 및 장아찌류로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는 주부도 각각 18%, 19% 및 22%나 되었다. 특히 김치류, 장아찌류, 된장류, 고추장류, 젓갈류 및 청국장 등은 교육수준이 높고 젊은 주부일수록 소비빈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족형태와 유의적 관계가 있는 발효식품은 된장류 뿐으로 대가족보다는 핵가족인 경우 소비 빈도가 낮았고, 주부의 직업 유무와는 젓갈류만 유의적 관련성이 있어서 일을 하는 주부들이 젓갈류를 자주 이용하고 있었다. 74%의 주부가 전통 발효식품의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고 하였고, 감소 이유는 음식 종류의 증가(54%), 자녀들의 식성변화(27%), 반찬수의 증가(10%), 어른들의 식성 변화(9%)를 지적하였다. 김치류의 마련방법은 86%가 직접 제조한 것, 11%가 친척 집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류는 직접 제조하는 주부가 49% 뿐이었다. 교육수준이 높은 젊은 주부일 수록 직접 제조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냈다(p<0.0001). 본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보면 교육 수준이 높은 젊은 주부일수록 발효식품을 식사 준비 시 적게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식생활의 변화를 인정하되 전통 발효식품이 젊은 세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소비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과 사회에서 실질적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애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전북지역 일부 청소년의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가정간편식 인식 및 선호도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rice-based home meal replacement for breakfast among adolescents in the Jeonbuk area)

  • 오해림;김현숙;정수진;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62-276
    • /
    • 202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HMR 인식과 그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결식 여부 행태는 아침식사군 (주 4회 이상 섭취군)이 272명 (54.6%), 아침결식군 (주 3회 이하 섭취군)이 226명(45.4%)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HMR 섭취 만족도는 고등학생 (48.2%)이 중학생(39.1%)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HMR 만족도가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HMR 만족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대용식의 필요성조사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p < 0.01). 아침식사 대용식으로써 쌀 기반의 한식 식사 패턴의 선호도는 아침식사자가 58.9%로 아침결식자보다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또한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대용으로 쌀 기반 HMR 선호 식품은 '삼각김밥', '주먹밥', '김밥'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아침결식의 큰 이유인 '시간이 없어서'와 '입맛이 없어서'를 고려하여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아침식사대용 간편식 메뉴 개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해당 메뉴의 조리교육 및 레시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