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al expiratory pressur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호흡기내과 의사를 위한 Respiratory Review of 2010 (Critical Care Medicine)

  • 박지혜;채진녕;최원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2호
    • /
    • pp.75-80
    • /
    • 2010
  • The year of 2009~2010 brought a number of concepts and new ideas were evaluated with promising results. However, some studies that challenged many beliefs. I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recent clinical studies took into consideration of pathophysiologic changes of respiratory system compliance. Meta-analysis of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trials showed survival benefit of high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in ARDS. Until now, prone positioning did not show survival benefit in patients with ARD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based management improved survival in patients with severe ARDS. ECMO can be a management option in severe ARDS. Sedation is a standard practice in critically ill patients needing mechanical ventilation. However, Danish group reported less sedation of critically ill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days without ventilation. Although this single center study has some limitations, the overall results are promising. Use of maximal sterile barrier precautions (mask, sterile gown, sterile gloves, and large sterile drapes) with chlorhexidine-impregnated dressing reduced central venous catheter related infection. Selective oropharyngeal decontamination (application of topical antibiotics in the oropharynx) reduced the mortality rate of an intensive care unit (ICU) population. Normoglycemia in Intensive Care Evaluation and Survival Using Glucose Algorithm Regulation (NICE-SUGAR) trial reported intensive glucose control increased mortality among adults in the ICU. Some of the results of above papers are promising. However, some ideas may need for more frequent individual assessment and increase the workload of ICU staffs. Before implementation of new practice in ICU,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of individual hospital situation includ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M-mode 초음파로 측정한 횡격막 운동 (M-mode Ultrasound Assessment of Diaphragmatic Excursion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Relation to Pulmonary Function Test and Mouth Pressure)

  • 임성철;장일권;박형관;황준화;강유호;김영철;박경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36-745
    • /
    • 1998
  • 연구배경: 횡격막의 운동은 흉부 단순 촬영과 fluoroscopy로 관찰해 왔으나 근래 초음파에 의해서 횡격막의 운동거리와 두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초음파 검사의 장점을 살펴보면 간편하고 비침습적이며 방사선조사가 없고 재현성과 정확성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횡격막 운동 측정에 대한 초음파의 장점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횡격막 운동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폐기능 지표들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정상 성인 28례(의과대학생 16례, 나이를 고려한 대조군 12례)와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 17례를 대상으로 각각에서 폐기능 검사, 최대 흡기압, 최대 호기압과 초음파상 횡격막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초음파는 Aloka 사의 KEC-620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앙와위 상태에서 환자의 쇄골 중심선에 해당하는 부위의 우상복부에 횡으로 3.5MHz 탐촉자를 대고 간을 에코창으로 이용하여 M-mode 상에서 평상 호흡시와 폐활량 호흡 또는 최대 호흡시의 횡격막 이동 거리를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얻었으며 최대 흡기압과 최대호기압은 Chest사의 Vitalopower KH-101을 이용하여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얻었다. 결 과: 정상인에서의 횡격막 이동거리는 평상호흡에는 1.5cm-1.7cm를 보였고 최대호흡시에는 5.7cm-6.7cm를 보였다. 정상인에서의 최대호흡시에 횡격막 이동거리는 $FEV_1$ $FEV_1/FVC$, PEF, PIF, 신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중 희귀분석에서는 $FEV_1$ 만이 유용한 예측지표로 계산되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횡격막 이용거리는 평상호흡시에는 $1.5{\pm}0.6cm$로 정상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최대호흡시에는 $3.7{\pm}1.3cm$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군의 각 병기에 따라 횡격막 이동거리를 비교해 본 결과 최대호흡시 횡격막의 이동거리는 $FEV_1$이 감소할수록 짧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최대호흡시에 횡격막 이동거리는 연령, PEmax, %FVC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최대호기압(PEmax)과 연령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계산되었다. 결 론: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횡격막 이동거리는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최대호기압과 가장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횡격막 이동거리는 $FEV_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어서 초음파를 통한 횡격막 운동검사가 폐기능 평가의 또다른 생리적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기관의 단면적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Tracheal Cross-sectional Area with Parameters of Pulmonary Function in COPD)

  • 이찬주;이재호;송재우;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5호
    • /
    • pp.628-635
    • /
    • 1999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대변하는 폐기종에서 주요 기능적 장애는 호기의 장애이며, 최대 호기류량은 기도의 크기, 폐의 탄력반동압 그리고 기도의 함몰성에 의해 결정된다. 기도의 항몰성은 폐기종에서 기류를 제한하는 하나의 기전으로 작용하지만, 폐용적과 폐의 과팽창을 유지하는 기전으로 작용하여 가스교환을 증진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폐기종에서 기관이 호흡에 미치는 생리학적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보라매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여 단순 흉부방사선검사, 체간용적기록계(body plethysmography)를 포함하는 폐기능검사 및 HRCT를 통해 폐기종으로 진단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RCT에서 대동맥궁의 정상부위에서 기관의 단면적을 호흡주기에 따라 측정하고 이를 체표면적으로 보정한 값과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 기도저항, 폐유순도 등 폐기능지표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폐기종에서 기관의 단면적은 호기시 동맥혈의 이산화탄소분압(r=-0.61, p<0.05) 및 산소분압(r=0.6, p<0.05) 그리고 매분환기량(r=0.73,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흡기시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이산화탄소분압과는 r=-0.22, p>0.05, 산소분압과는 r=0.26, p>0.05, 매분환기량과는 r=0.44, p>0.05). 매분환기량은 상시호흡량(tidal volume)과는 r=0.45(p<0.05)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호흡수와는 r=-0.31(p>0.05)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폐기종에서 기관의 단면적은 호흡주기와 상관없이 $FEV_1$ FVC, $FEV_1$/FEC, 최대 호기류량, 잔기용적, 폐확산능, 기도저항, 폐유순도 등의 다른 폐기능지표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폐기종에서 호기시 기관의 단면적은 주로 가스 교환(gas exchange)의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폐용적이나 폐의 과팽창을 시사하는 지표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폐기종에서는 호기시 동일 압력점의 개념에 의해 발생하는 기도압박으로 기관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이러한 현상이 기류를 제한하는 하나의 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이지 폐용적이나 폐의 과팽창을 유지시켜 가스교환을 증진시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 PDF

들숨근 훈련과 테이핑 동시적용이 호흡의 근력, 지구력, 폐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ncurrent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Tape on Inspiratory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 이민수;김명철;안청좌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65-7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kinesio tape on inspiratory muscle training(IMT) to improve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Methods: Healthy 20 males were divided into IMT group (control group) and IMT with tape group (experimental group). The same IMT program was applied to both groups using the Respifit S for four weeks, three times a week, a total 12 times. To exprimental group, kinesio tape was applied on the inspiratory agonist diaphragm and the accessory inspiratory muscle scalene, sternocleidomastoid, pectoralis minor. The inspiratory pulmonary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the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PI max) and minute volume (MV) using the Respifit S and the pulmonary function were measured peak expiratory flow (PEF),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ec (FEV1), FEV1/FVC using the Spirometer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PI max in the two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more effective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only MV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EF and FEV1/FVC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they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the FVC for the two groups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FEV1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with control group, but did not make a difference with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 show that the PI max value for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refore kinesio tape maximizes inspiratory muscle exercise effect on muscle strength improvement. However, because of the short experimental period and difficulty in subject control, increase values of the oth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kinesio tape did not show maximizing the inspiratory muscle exercise effect to improve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지지면에 따른 골반 바닥 근육 운동이 20대 여대생들의 최대 들숨 압력, 최대 날숨 압력 그리고 배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ccording to Support Surface 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 박한규;김윤희;이시윤;이정인;오수진;황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60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FM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o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as a method for effective PFM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2 subjects. They were match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the experimental group (EG) performed PFME on a foam roller (n= 11), the control group (CG) performed PFME on a stable support surface (n= 11). Kegel exercise was performed with 10 seconds of contraction, 10 seconds of relaxation, and 4 sets of 10 reps per set. Both of group executed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2 weeks. MIP and MEP was measured using a spirome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 on each group and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 significance level of α= .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ternal obliqu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rrec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confirm that PFME performed on a foam roller has a positive effect 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뇌성마비 아동에서 노력성 폐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Predictive Factors Affected to Forced Vital Capac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남기석;이혜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4호
    • /
    • pp.204-209
    • /
    • 2013
  • Purpos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enerally have a high incidence of respiratory problem, resulted from poor coughing, airway clearance problem, respiratory muscle weakness, kyphoscoliosis and so fo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factors that can be affected to forced vital capacity (FVC)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Total thirty six children with diplegic and hemipleg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y were evaluated by general demographic data (i.e., age, gender, body mass index (BMI)) and variables related to respiratory functions (i.e., chest mobility, waist mobility, maximal phonation time, and maximum inspiratory/expiratory pressure (MIP/MEP)). The correlation between forced vital capacity and the rested variables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to predict respiratory function, in terms of FVC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demographic and other respiratory variabl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FVC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aist mobility (r=0.59, p<0.01), maximal phonation time (r=0.48, p<0.05), MIP (r=0.73, p<0.01), and MEP (r=0.60, p<0.01). In ad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indicated that FVC could be predicted by the assessment of each waist mobility and MIP. Conclusion: These finding suggest that respiratory function is related to body siz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that BMI, waist mobility, and MIP can be predictable factors to affected respiratory function in term of FVC.

Effect of pulmonary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acute COVID-19: a single-center case series

  • Son Mi Lee;Min Woo Kim;Donghyun Shin;Songi Han;Ju Sun Oh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3호
    • /
    • pp.297-301
    • /
    • 2023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been ongoing for more than 2 years. Many patients who recover from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infection continue to have aftereffects such as dyspnea and fatigue, which may lead to functional decline. Therefore, the need for managing these symptoms using methods such as pulmonary rehabilitation (PR)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PR in five patients with acute COVID-19. PR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persistent dyspnea and oxygen demand after COVID-19. All five patients were able to maintain an independent functional status before COVID-19. However, after acute COVID-19, they were unable to walk independently and needed assistance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dyspnea and fatigue. Therefore, they were referred to rehabilitation units, and PR was performed. The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maximal expiratory pressure (MEP), 6-minute walking test, forced vital capacity, and grip strength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PR,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fter PR, the parameters improved, except for the MEP in one patient (patient 3) and the grip strength in another patient (patient 4). After PR, two out of five patients returned to work and the other three returned home. Therefore, we conclude that PR is necessary for patients with acute COVID-19 with activity limitations.

실험적 급성호흡부전에서 호기말양압에 의한 폐유순도와 산소운반의 변화 및 상관관계 - 호흡부전의 기전에 따른 차이 - (Relationship of Compliance and Oxygen Transport in Experimental Acute Respiratory Failure during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Ventilation)

  • 이상도;윤세진;이복희;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6-15
    • /
    • 1993
  • 연구배경 :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호기말양압(PEEP)이 저산소혈증을 호전시키는 기전은 감소된 기능적잔기량의 증가에 따른 생리적단락의 감소이며 어느 수준 이상의 PEEP에서는 심박출량이 유의하게 감소해 산소운반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소운반이 최대인 PEEP 수준을 결정하는 비관혈적 지표로 폐유순도(compliance)가 보고되었으나 이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한편 급성 폐동맥색전증은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과는 달리 기능성 잔기량의 감소가 유의하지 않은 질환이며 따라서 PEEP의 적용에 따른 환기 및 혈류역학의 변화도 다를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과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 총정적유순도(total static compliance)가 산소운반을 최대로하는 PEEP 수준의 결정에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는가를 검정해보고,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과는 저산소증의 기전이 다른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 PEEP 적용에 따른 환기 및 혈역학의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방법 : 한국산 잡견 14마리중 7마리에는 oleic acid 0.07ml/kg를 정주해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을 유발하고, 나머지 7마리에는 자가혈병을 이용해 급성 폐동맥색전증을 유발한 후 PEEP 수준을 0, 5, 8, 12, 15 cm$H_2O$로 증가시켜가며 환기 및 혈역학의 제지표를 측정하였다. 결과: 1) PEEP수준의 증가에 따른 환기 및 혈역학의 변화 ARDS군에서 PEEP수준의 상승에 따라 동맥혈 산소분압및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증가하였고, 생리적단락과 심박출량은 감소하였다 (p<0.05).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도 PEEP수준의 상승에 따라 생리적단락 및 심박출량은 감소하였고, 동맥혈 산소분압 및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은 증가하였다 (p<0.05). PEEP수준 1 cm$H_2O$ 상승에 따른 변화로 심박출량의 감소는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 ARDS 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고, 동맥혈 산소분압,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 생리적단락 및 폐혈관저항의 변화는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산소운반과 총정적유순도 ARDS군에서 총정적유순도와 산소운반은 PEEP 적용후 증가해 5 cm$H_2O$에서 가장 컸으며 (p<0.05),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는 PEEP 적용후 총정적유순도와 산소운반이 감소하였다(p<0.05). 양군 모두 산소운반이 최대인 PEEP 수준에서 총정적유순도도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ARDS군에서 산소운반의 변화와 총정적유순도의 변화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r=0.86, p<0.01), 급성 폐동맥색전증군에서도 산소운반의 변화와 총정적유순도의 변화사이에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60, p<0.01). 결론 : 이상의 결과로 ARDS와 급성 폐동맥색전증에서 PEEP의 적용시 산소운반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한 PEEP수준의 결정에 총정적유순도가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영양상태에 따른 안정시 폐기능 차이 (The Differences in Resting Pulmonary Function in Relation to th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문영철;유성근;박혜정;박종원;신경철;정진흥;이관호;김정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70-578
    • /
    • 2001
  • 연구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체중감소는 질환자체의 자연경과로 이해하고 있었으나, 체중이 감소된 환자들은 다른 질환에 대한 이환율이 증가하고, 폐성심이나 심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생체전기 저항법률 이용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영양결핍 정도와, 영양결핍과안정시 폐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입원한 중등도 혹은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기에 나타나는 증상이 호전된 후 퇴원하기 직전에 안정시 폐기능, 동맥혈 가스분석, 호흡 근육 강도, 그리고 체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체생분분석 결과를 영양결핍과 정상상태로 구분하고 이 두 집단의 안정시 폐기능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59%가 영양결핍 상태였으며, 저체증과 제지방량 결핍이 동시에 있는 경우가 31%이었다. 저체중만 있는 경우가 22%이였으며 제지방량 결핍만 있는 경우는 6%로, 전체 환자의 53%가 저체중이었고 37%의 환자가 제지방량 결핍이었다.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및 노력성 폐활량은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최대호기유량은 영양겹핍환자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기도저항 및 폐 확산능, 그리고 최대흡기압 역시 영양결핍환자가 정상 환자보다 훨씬 낮았다(p<0.05). 동맥혈 산소분압 및 이산화탄소분압은 두 집단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잔가량 및 총폐용량은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는 없었으나, 영양결핍 환자들이 낮은 경향이었다. 결 론 : 영향결핍은 폐기능저하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만성 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치료에 기류제한의 완화 및 급성악화의 조절과 더불어 근육량 및 활동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영양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