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Min

검색결과 1,657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 of Fermented Small Soybean Powder Mixed with Mulberry Leaf on Metabolic Improvement and Hex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Kim, Sun-Mi;Han, Jin-Chul;Park, Hum-Dai;Ko, Ki-Sung;Lee, Dae-Hoon;Kim, Sung-Min;Kwon, Dong-Yeul;Kim, Jin-Sook;Kim, Ok-Hee;Hwang, Jin-Bong;Gung, Bae-Nahm;Choo, Young-Ku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97-105
    • /
    • 2006
  • Beans are well known to be high-protein diets. Bean seeds contain arginine, lysine, or glycine-rich proteins which are effective to maintain lower glucose levels. In this study, the synergistic effect of fermented small soybean (Chounggukjang) and mulberry leaf on metabolism and hexokinase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 divided 8 groups as follows: non-diabetic rat group fed with only water diet (NC: control), and STZ-induced diabetic rat groups fed with water (DC), fermented Rhynchosia Nulubilis (Bbc), fermented Glycine max Merr (Ybc), Bbc and YBc (BYbc), mulberry leaf and Bbc (MBbc), mulberry leaf and Ybc (MYbc), or the mulberry leaf, Bbc, and Ybc (MBYbc). Diabetes mellitus was induced in rats by subcutaneous STZ administration (70 mg/kg of body weight). All diet groups were fed with Chounggukjang in a powder form. Three ml of Chounggukjang solution (0.75 mg per gram of body weight)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was orally administered to all rat groups after STZ administration except for NC rat group. In groups fed with fermented soybeans, the body weight (increased), food efficiency ratio (FER) (increased), glucose level (decreased) and hexokinase (HK)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differed to NC. Among them, particularly in the groups fed with both fermented soybeans and mulberry leaf, kidne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K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D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ounggukjang of both fermented soybeans and mulberry leaf is potentially used as an effective functional food to prevent diabetes complications.

검정콩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추출에 대한 산 처리의 영향 (Effects of Acidic Treatments for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on Black Bean (Glycine max Merrill.))

  • 지영미;김민영;이상훈;장귀영;;윤나라;김경미;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94-15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검정콩으로부터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색소의 추출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의 종류는 hydrogen chloride(HCl), acetic acid, formic acid, phosphoric acid 및 citric acid였으며, 사용된 농도는 0.1, 0.2, 0.3, 0.5 및 0.7%였고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산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0.74~1.74 mg/g 범위였으며 0.3% HCl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검정콩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3G, D3G 및 Pt3G였으며 구성 안토시아닌 중 C3G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2.01~5.29 mg/g 범위로 포도씨나 팥의 프로안토시아닌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검정콩의 안토시아닌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추출시 산의 종류 및 농도가 중요한 변수이며, 최적 추출조건은 0.3% HCl을 포함하는 80% 메탄올이라 판단된다.

분석기간의 길이에 따른 동해안 비조석성분의 통계적 특성변화 분석 (Analysis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 Changes due to the Analysis Periods of Non-Tidal Components Data in the East Coast of Korea)

  • 조홍연;정신택;조범준;윤종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1-161
    • /
    • 2007
  • 동해안 검조소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비조석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비조석 성분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 검조소는 속초, 묵호, 후포, 포항, 울산, 울릉도이며, 분석기간을 1년부터 가용한 자료기간까지 증가시켜 가며 비조석 성분의 분산 및 왜곡도 계수의 통계정보(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변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기간에 따른 통계정보의 변화범위를 분석한 결과, ${\pm}5%$ 범위의 분산 신뢰구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석기간은 전체적으로 12년 이상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pm}0.1$ 범위의 왜곡도 계수 신뢰구간 확보에 필요한 분석기간은 울릉도의 6년 이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12년 이상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자기상관함수 및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절대적인 변화량에 차이는 있으나 변화경향은 모든 지점이 매년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낙동강유역 상수원의 규조류 발생에 따른 정수장에서 제거율 향상 방안 (Removal Improvement in Water Treatment Plant for Occurrence of Diatoms (Synedra sp.) in the Nakdong River)

  • 김민채;김지훈;서규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4
    • /
    • 2014
  • 본 연구는 낙동강에 출현하는 Synedra 속의 길이 차이가 제거 효율과 여과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길이가 $100{\mu}m$ 내외인 S. tenera 제거율은 90.9~94.4%로 고른 반면, 길이가 $300{\mu}m$ 내외인 S. acus 제거율은 60~70%로 낮았다. 무기응집제 만을 사용할 때 $PACS_2$와 PAC가 다른 응집제보다 S. acus 제거율이 5~6% 높았다. 황토 첨가는 주 응집제의 주입률을 15 mg/L 증가시키고, 모든 Synedra 속의 제거율을 감소시키는 역효과가 나타났다. Sodium Silicate 첨가는 S. acus의 제거율은 다소 향상시켰다. Polyamine은 2.0~2.5 mg/L 첨가하여 S. acus 제거율을 96.9%까지 상승시켰다. Polyamine 주입률과 S. acus 제거율은 비례관계식이 성립하였다. 수온 $15^{\circ}C$$4^{\circ}C$보다 S. acus 제거율이 높았다. S. acus의 제거율과 탁도 제거율 및 다른 조류 제거율간의 상관성이 매우 낮았다. 2012년 정수장 운영 사례에서 Synedra 속의 길이에 따른 제거율 특성이 본 실험결과와 비슷하였다. 침전수의 S. acus 개체수와 여과지속시간은 ln 함수관계가 성립되어 여과지속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다.

대두 재조합순계주에서 고빈도 체세포배발생능 계통 조사 (Screening of Soybean Recombinant Inbred Lines for High Competence Somatic Embryogenesis)

  • 최필선;다가오 고마쓰다;김민훈;최규명;최동욱;유장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35-138
    • /
    • 2002
  • 대두 85개 재조합순계주의 미숙배로부터 얻은 자엽절편을 MS salt, B5비타민, 40 mg$^{-1}$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및 30 g$^{-1}$ sucrose로 조성된 체세포배유도배지 (SIM, somatic induce medium)에 치상하여 5주간 배양하였다. 10%이하의 체세포배형성빈도는 36계통에서, 11~49%의 형성빈도는 37계통에서, 50~80%의 형성빈도는 9계통에서 그리고 90% 이상의 형성빈도는 3계통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90% 이상의 체세포배형성빈도와 자엽당 6.36개의 체세포배를 형성하는 계통으로는 KM1010, KM1032 및 KM1064이었으며, 3계통에서 얻은 일차배를 동일배지상에서 계대배양하면서 2차배 증식방법으로 1년 이상 증식 유지하였다. 체세포배를 성숙배지와 식물체전환배지 (Komatsuda 1992)에 옮겼을 때 약 25% 정도가 정상식물체로 생육하였다.

12주 규칙적인 유산소 트레이닝이 제 2형 당뇨(T2DM) 환자의 간 효소(Hepatic enzym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 Weeks Regular Aerobic Training on Hepatic Enzym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 김영일;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04-8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12주 유산소 트레이닝 전에 비해 트레이닝 후, 간 기능을 나타내는 효소들이 모두 감소함을 나타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못했으며 이는 트레이닝이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선행연구[5,15]들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전체 대상자 13명 중 3명(23%)의 간 효소들 즉, 임상적 비정상을 나타낸 알부민(albumin), 토탈빌리루빈(total bilirubine), AST가 트레이닝 후, 정상적인 임상수치로 돌아와 규칙적인 12주 유산소 트레이닝이 제 2형 당뇨(T2DM) 환자의 간 효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못했지만 임상적 판단 수치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비정상적인 간 기능 효소가 정상으로 회기한 것도 아니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도 나지못했기 때문에 제 2형 당뇨환자(T2DM)의 간 기능 효소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는 성급히 판단하기 어려우며 운동 강도와 기간 등 좀 더 세분화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기 $CO_2$ 상승시 인산공급이 식물체의 광합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orus Stress on Photosynthesis and Nitrogen Fixation of Soybean Plant under $CO_2$ Enrichment)

  • 사동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34-138
    • /
    • 1997
  • 대기 $CO_2$ 상승시 인산공급이 대두식물체의 광합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저 Bradyrhizobium japonicum MN110을 접종한 대두 식물체를 인산결핍구(0.05 m-P) 및 대조구(1.0 mM-P)를 처리하여 정상 $CO_2(400\;{\mu}l/L)$와 상승 $CO_2(800\;{\mu}l/L)$의 조건인 phytotron에서 35일 동안 재배하였다. 인산결핍은 건물량을 정상 $CO_2$ 처리시 51%, 상승 $CO_2$ 처리시 64%를 감소시켰고 총 엽면적도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나 specific leaf weight는 증가시켰다. 광합성 속도 및 잎내부의 $CO_2$농도는 인산결집구에서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CO_2$ 상승처리시 더욱 컸으며 질소고정능과 근류생체량도 인산결핍시 감소하였으나 잎의 질소농도는 인산대조구가 30%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O_2$ 상승조건에서도 인산이 결핍될 경우 식물생육을 촉진시키지 못하며 인산은 정상 $CO_2$ 농도시 보다 $CO_2$ 상승조건에서 근류의 성장과 작용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유추된다.

  • PDF

병렬 연산을 이용한 방출 단층 영상의 재구성 속도향상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Enhancement of Reconstruction Speed for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Using Parallel Processing)

  • 박민재;이재성;김수미;강지연;이동수;박광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443-450
    • /
    • 2009
  • 목적: 기존의 영상 재구성은 간소화된 투사 물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3D 재구성과 같은 실제적인 물리 모델은 시간이 많이 걸려서 임상에서 모든 데이터에 적용하기 힘들고, 복잡한 물리모델을 설명하기 위해 큰 메모리를 사용하면 한대의 일반적인 재구성 머신으로는 불가능하다. 개인 컴퓨터들에서도 큰 규모의 기술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병렬 연산을 이용한 빠른 재구성의 현실적인 분산메모리 모델을 제시한다. 대상 및 방법: 실제로 구현하는 가능성을 보기 위해 가상 컴퓨터들을 이용하여 선행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양한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상용서비스를 하고 있는 슈퍼컴퓨터(Tachyon)에서 성능 테스트를 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2D 투사 영상과 실제적인 물리 모델인 3D 응답라인을 이용한 기댓값 최대화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였다. 스터디 중 특정 반복횟수 이후에 속도가 최대 6배까지 느려지는 현상이 발견되어 컴파일러 최적화를 통해 병렬 효율의 극대화를 꾀하였다. 결과: Linux에서 MPICH와 NFS를 이용하여, 여러 컴퓨터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분산 연산이 가능하였다. 병렬 연산을 했을 때 동일한 반복 연산에서 재구성된 영상간의 차이가 실수의 유효숫자(6bit)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2배의 연상장치를 사용했을 때 1.96배의 좋은 병렬화 효율을 보여주었다. 반복 연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느려지는 현상은 SSE를 이용한 Vectorization 방법을 사용했을 때 해결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일반 컴퓨터들을 이용한 현실적인 병렬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여, 작은 메모리의 단일 일반 컴퓨터로는 불가능한 간단화 할 수 없는 복잡한 물리 과정도 영상 재구성 방법에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역미셀을 이용한 마이크론 수준의 초미세 알긴산 입자 제조 (Formation of Micron-sized Alginate Microparticles Using Reverse Micelles)

  • 임지영;조영희;한대석;김석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35-840
    • /
    • 2003
  • Hexane/aerosol OT(AOT)/물로 구성된 역미셀의 water pool내에서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의 반응성을 이용하여 알긴산 조미세입자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측결과 미세한 입자들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알긴산나트륨 함유 water pool과 염화칼슘 함유 water pool이 상호 접촉에 의해 내부물질의 교환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역미셀의 water pool 크기에 영향을 주는 유화제(AOT)에 대한 물의 몰농도 비율인 Wo 값을 5에서 10으로 증가함에 따라 미세입자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제조된 미세입자간의 입도특성을 비교한 결과, 각 입자의 표면적, 최장식경(max diameter), 최단직경(min diameter), 평균직경(mean diameter). 그리고 각 입자의 둘레 길이는 Wo 값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Wo 값이 15 이상에서는 입자간 응집이 발생하였으며 Wo 값이 20인 경우에는 안정한 역미셀의 형성이 불가능하였다. 제조된 입자의 평균직경은 Wo=5에서 $2.08\;{\mu}m$이었으며 10인 경우 $2.66\;{\mu}m$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에 보고 된 알긴산 입자의 크기에 비하여 약 $70{\sim}1000$배 가량 작은 수준이었다. 한편, 입자의 구형도는 분석된 Wo 구간에서 유의적인 자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역미셀에 의해 형성되는 입자의 외부형태는 안정한 역미셀을 형성하는 Wo 구간에서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 김경희;안순철;이명선;권오송;오원근;김민수;손천배;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3-509
    • /
    • 2003
  • 비만 저해 물질을 탐색하고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200여 종류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방세포 분화저해활성을 보이는 생약식물을 선별하여 용매층으로 활성이 이행되는 생약 중 황백(Phellodendri Cortex)을 최종적으로 후보식물로 선정하였다. 황백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수행하여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PC-4를 분리하였다. PC-4는 노란색의 분말형태로 메탄올을 용매로 UV 최대흡수치를 조사한 결과, 222, 265, 349, 429 nm에서 최대의 UV의 흡수치를 보였으며 산이나 알카리 조건에서 최대 흡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EI-mass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이 336.1로 예상되었으며 $^1H-NMR,\;^{13}C-NMR,\;DEPT,\;^1H-^1H\;COSY$, HMQC, HMBC NMR spectrum을 통해, PC-4는 isoquionoline alkaloide계열의 berberine으로 동정되었다. PC-4는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fatty acid synthase와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은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