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Min

검색결과 1,657건 처리시간 0.033초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Xylanase from Alkalophilic Paenibacillus sp. 12-11

  • Zhao, Yanyu;Meng, Kun;Luo, Huiying;Yang, Peilong;Shi, Pengjun;Huang, Huoqing;Bai, Yingguo;Yao,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8호
    • /
    • pp.861-868
    • /
    • 2011
  • A xylanase gene, xyn7c, was cloned from Paenibacillus sp. 12-11, an alkalophilic strain isolated from the alkaline wastewater sludge of a paper mill,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full-length gene consists of 1,296 bp and encodes a mature protein of 400 residues (excluding the putative signal peptide) that belongs to the glycoside hydrolase family 10. The optimal pH of the purified recombinant XYN7C was found to be 8.0, and the enzyme had good pH adaptability at 6.5-8.5 and stability over a broad pH range of 5.0-11.0. XYN7C exhibited maximum activity at $55^{\circ}C$ and was thermostable at $50^{\circ}C$ and below. Using wheat arabinoxylan as the substrate, XYN7C had a high specific activity of 1,886 U/mg, and the apparent $K_m$ and $V_{max}$ values were 1.18 mg/ml and 1,961 ${\mu}mol$/mg/min, respectively. XYN7C also had substrate specificity towards various xylans, and was highly resistant to neutral proteases. The main hydrolysis products of xylans were xylose and xylobiose. These properties make XYN7C a promising candidate to be used in biobleaching, baking, and cotton scouring processes.

A Novel Tannase from the Xerophilic Fungus Aspergillus niger GH1

  • Marco, Mata-Gomez;Rodriguez, Luis V.;Ramos, Erika L.;Renovato, Jacqueline;Cruz-Hernandez, Mario A.;Rodriguez, Raul;Contreras, Juan;Aguilar, Cristobal 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9호
    • /
    • pp.987-996
    • /
    • 2009
  • Aspergillus niger GH1 previously isolated and identified by our group as a wild tannase producer was grown under solid-state (SSC) and submerged culture (SmC) conditions to select the enzyme production system. For tannase purification, extracellular tannase was produced under SSC using polyurethane foam as the inert support. Tannase was purified to apparent homogeneity by ultrafiltration,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that led to a purified enzyme with a specific activity of 238.14 IU/mg protein with a final yield of 0.3% and a purification fold of 46. Three bands were found on the SDS-PAG with molecular masses of 50, 75, and 100 kDa. PI of 3.5 and 7.1% N-glycosylation were noted. Temperature and pH optima were 600e and 6.0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MTB) as substrate], respectively. Tannase was found with a $K_M$ value of $0.41{\times}10^{-4}M$ and the value of $V_{max}$ was $11.03{\mu}$moL/min at $60^{\circ}C$ for MTB. Effects of several metal salts, solvents, surfactants, and typical enzyme inhibitors on tannase activity were evaluated to establish the novelty of the enzyme. Finally, the tannase from A. niger GH1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MSF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resence of a serine or cysteine residue in the catalytic site.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lcium- and Zinc-Tolerant Xylose Isomerase from Anoxybacillus kamchatkensis G10

  • Park, Yeong-Jun;Jung, Byung Kwon;Hong, Sung-Jun;Park, Gun-Seok;Ibal, Jerald Conrad;Pham, Huy Quang;Shin, J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606-612
    • /
    • 2018
  • The enzyme xylose isomerase (E.C. 5.3.1.5, XI) is responsible for the conversion of an aldose to ketose, especially xylose to xylulose. Owing to the ability of XI to isomerize glucose to fructose, this enzyme is used in the food industry to prepare high-fructose corn syrup. Therefore,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XI from Anoxybacillus kamchatkensis G10, a thermophilic bacterium. First, the gene coding for XI (xylA) was inserted into the pET-21a(+) expression vector and the construct was transformed into the Escherichia coli competent cell BL21 (DE3). The expression of recombinant XI was induced in the absence of isopropyl-thio-${\beta}$-galactopyranoside and purified using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 The optimum temperature of recombinant XI was $80^{\circ}C$ and measurement of the heat stability indicated that 55% of residual activity was maintained after 2 h incubation at $60^{\circ}C$. The optimum pH was found to be 7.5 in sodium phosphate buffer. Magnesium, manganese, and cobalt ions were found to increase the enzyme activity; manganese was the most effective. Additionally, recombinant XI was resistant to the presence of $Ca^{2+}$ and $Zn^{2+}$ ions. The kinetic properties, $K_m$ and $V_{max}$, were calculated as 81.44 mM and $2.237{\mu}mol/min/mg$, respectively. Through redundancy analysis, XI of A. kamchatkensis G10 was classified into a family containing type II XIs produced by the genera Geobacillus, Bacillus, and Thermotog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hermostable nature of XI of A. kamchatkensis G10 may be advantageous in industrial applications and food processing.

Clostridium 종을 이용한 미역으로부터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ABE) 생산 (Acetone, Butanol, Ethanol Production from Undaria pinnatifida Using Clostridium sp.)

  • 권정은;곽승희;김진아;류지아;박상언;백윤서;허아정;김성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6-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역을 이용하여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 효소 당화, 발효과정을 거쳐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실험에 대해 진행하였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에서의 최적 조건은 10%의 slurry, 270 mM의 황산, $160^{\circ}C$에서의 7.5분이었다. 초고온 열산 가수분해는 열처리 시간을 줄이고 적은 농도의 황산을 사용해도 더 많은 당과 적은 저해물질을 생성해 낸다는 장점이 있다. 효소 당화에서는 Viscozyme L (${\beta}-glucanase$, Novozymes)을 12 unit/ml으로 처리하는 것이 25.1 g/l로 가장 많은 단당을 생성했다. 발효에서는 C. acetobutylicum KCTC 1724이 비교적 낮은 pH 5.0에서 많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을 생성하는 장점이 있었지만 mannitol을 모두 소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고농도의 mannitol 배지에 순치한 C. acetobutylicum KCTC 1724을 사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이 각각 0.99 g/l, 5.62 g/l, 2.44 g/l로 순치하지 않은 C. acetobutylicum KCTC 1724를 이용해 발효했을 때 보다 부탄올은 2.45 g/l, 에탄올은 1.10 g/l 증가했으며 수율($Y_{ABE}$)은 0.24에서 0.37로 증가했다.

에지형 Back Light Unit의 휘도와 균일도 향상을 위한 복합도 광판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Dual-layer LGP for Improving Luminance and Uniformity of Edge Type Back Light Unit)

  • 오세원;김남;김은석;안준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47-2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에지 방식의 BLU(Backlight unit)에 사용되는 도광판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광학시트를 줄이면서 휘도와 균일도 및 시야각을 유지하기 위한 이중구조의 도광판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휘도와 균일도를 알아보았다. 여기에 사용된 복합 도광판은 이중구조의 도광판으로 상부에는 곡률 R을 갖는 프리즘패턴을 형성하고 곡률 R에 따른 휘도와 균일도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하부에는 V groove 패턴을 회전시켜 상부패턴과 $90^{\circ}$를 이루게 하여 균일도를 확보하였다. 특히, 하부 패턴에서는 외곽의 피치 간격과 중심의 피치간격의 비(최대:최소), 패턴의 개수와 패턴의 분산을 정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V groove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였다. 복합 도광판(dual-layer light guide plate, DLGP)의 최적화를 위해 다시 하부 패턴의 개수를 변화시켜 균일도를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복합 도광판을 이용한 BLU는 균일도 90.6%, 시야각 $145^{\circ}$인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Assessment of Cervical Cancer Risk in Women between 15 and 49 Years of Age: Case of Izmir

  • Sogukpınar, Neriman;Saydam, Birsen Karaca;Can, Hafize Ozturk;Hadımli, Aytul;Bozkurt, Ozlem Demirel;Yucel, Ummahan;Kocak, Yeliz Cakir;Akmese, Zehra Baykal;Demir, Dogan;Ceber, Esin;Ozenturk, Guls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119-2125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cervical cancer for women in Izmir.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field covered a population of 4319 women of reproductive age (15-49) (household registration in the Mukhtar's office-2007). A total of 1,637 women were included in the sample given a four-part questionnaire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by visiting the women in their homes in order to determine socio-demographic factors, obstetric history, genital hygiene and the use of family planning methods. In addition,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e women were given group training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cervical cancer. The number and percentage distributions of the data were calculated. Results: While the average age of the women was $31.9{\pm}9.77$ (Min: 15.00-Max: 49.00), education level of 43.4% of them was elementary school only. It was determined that 70.3% of the women experienced at least one pregnancy, 71.0% had vaginal delivery and 75.9% used a contraceptive method. In the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mong the cervical cancer related risks vaginal delivery, vaginal lavage and having three or more pregnancies had the highest rates, while having sexual intercourse before 16 years of age and having more than one sexual partner constituted lower rates. The rate of the women who stated not having a smear in the last three years was 82.4%. Conclusions: Considering the case in terms of having Pap smear test, women's awareness on the risk factors and early diagnosis of cervical cancer was found to be low. Due to this reason, awareness of women has to be raised through education.

영상정합을 이용한 교통밀도 수집방법과 수집 데이터 비교분석 (A study on the Traffic Density Collect System using View Synthesis and Data Analysis)

  • 박범진;노창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7-87
    • /
    • 2018
  • 교통밀도는 교통수요와 가장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거시적인 지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Traffic Engineering, 2004), 특정시각 주어진 거리 안의 존재하는 차량의 대수로 정의한다. 하지만, 밀도는 기상과 도로조건 및 비용 상의 문제로 인하여 현장에서 직접 수집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속도와 교통량보다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아 수집방법에 관한 다양한 시도뿐만 아니라 측정된 값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정합(synthesis)하는 기술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밀도수집시스템으로 수집한 밀도를 정의에 기반한 참값으로 선정하고, 이 값을 전통적인 측정방법들로 산출한 밀도와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관계식(fundamental equation)을 이용한 산출방법으로 산출한 밀도 값이 참값과 비교하여 RMSE(Root Mean Square Error)가 1.8-2.5로 가장 참값에 가깝다. 또한 향후 밀도를 직접 수집할 때 유의하여할 수집 간격 등의 간과하기 쉬운 이슈사항을 순간밀도와 평균밀도를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사이트의 실제 교통상황은 LOS B임에도 불구하고, 초 당 순간밀도는 최대(16veh/km)에서 최소 2(veh/km)의 값이 다양하게 관측되어 교통상황의 판단이 어려웠다. 하지만 30초 간격으로 15분 평균밀도는 8.3-7.9(veh/km)로 정확하게 LOS B를 판단하였다.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줄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Stalks)

  • 백홍석;나영수;류병호;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66-271
    • /
    • 2003
  • 아직 국내에서는 드물게 경작되고 있지만 이미 옛 고서적에 나와 있는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에는 많은 유용한 물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줄기의 메탄을 추출물 100 mg을 메탄을 20 mL에 녹여 만든 샘플에서 total poplyphenol과 flavonoid가 각각 9.33 $\mu\textrm{g}$/mL (1.97%), 3.77 $\mu\textrm{g}$/mL (0.75%)씩 함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유기 용매층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비교해 본 결과 DPPH법을 통해 기존의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 (21.8 $\mu\textrm{g}$), BHT (100 $\mu\textrm{g}$) 그리고 BHA (20.6 $\mu\textrm{g}$)와 비교해도 에틸아세테이트 (15 $\mu\textrm{g}$), 부탄올 (50 $\mu\textrm{g}$)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뒤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산화 지질 형성 억제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조사에서 에틸아세테이트의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들과 비슷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다시 분획하였고 UV/VIS 흡광광도계를 통해 최대 흡광도의 파장은 280-330 nm 사이에 나타내었다. 그 중 최대 흡광도가 284 nm인 ES-1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UV-VIS spectral data와 일치하며 다양한 phenolic compounds가 초석잠 (Stachys sieboldii MIQ.) 속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FD 해석을 이용한 Balloon형 인공심폐기 설계를 위한 구조적 해석 (Structural Analysis for Constructing a Balloon Type Extracoporeal Membrane Oxygenator using CFD Analysis)

  • 박영란;심정연;김기범;김상진;강형섭;김진상;김민호;홍철운;김성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2호
    • /
    • pp.238-243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의 인공심폐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혈액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혈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기구(balloon)형 인공심폐기 설계를 위한 구조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가상의 모형 인공심폐기 내에서의 혈류의 흐름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CFD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막 산화기 주위를 기구를 사용하여 압력하중을 인가하여 주기적으로 수축.이완되도록 하였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시간 함수 값은 sine 반주기와 sine 주기를 계산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구형 인공심폐기를 설계할 경우 한 방향에 대한 혈류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구조적 해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CFD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인공심폐기의 입구와 출구에 서의 혈류의 속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한 방향에 대한 혈류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CFD 시뮬레이션은 혈류의 흐름특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인공심폐기 설계에 있어서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PCB내 1005 수동소자 내장을 이용한 Diplexer 구현 및 특성 평가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plexer Substrate with buried 1005 Passive Component Chip in PCB)

  • 박세훈;윤제현;유찬세;김필상;강남기;박종철;이우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1-47
    • /
    • 2007
  • 현재 PCB기판내에 소재나 칩부품을 이용하여 커패시터나 저항을 구현하여 내장시키는 임베디드 패시브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패시터 용량이나 인덕터의 특성이 검증된 칩부품을 기판내 내장시켜 다이플렉서 기판을 제작하였다. $880\;MHz{\sim}960\;MHz(GSM)$영역과 $1.71\;GHz{\sim}1.88\;GHz(DCS)$영역을 나누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1005크기의 6개 칩을 표면실장 공정과 함몰공정으로 형성시켜 Network Analyzer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chip표면실장으로 구현된 Diplexer는 GSM에서 최대 0.86 dB의 loss, DCS에서 최대 0.68 dB의 loss가 나타났다. 표면실장과 비교하였을 때 함몰공정의 Diplexer는 GSM 대역에서 약 5 dB의 추가 loss가 나타났으며 목표대역에서 0.6 GHz정도 내려갔다. 칩 전극과 기판의 도금 연결부위는 $260^{\circ}C$, 80분의 고온공정 및 $280^{\circ}C$, 10초의 솔더딥핑의 열충격 고온공정에서도 이상이 없었으며 특성의 변화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