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ational competenc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205초

참돔, Pagrus major의 성숙능력 유도시 증가된 난성숙 관련 mRNA (Increased mRNA Related Ovarian Maturation during Induction of Maturational Competence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최철영;장영진;융도사부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25-131
    • /
    • 2000
  • Differential display-PCR 방법을 이용하여, hCG 처리에 의한 참돔, Pagrus major의 난성숙 능력의 획득 경과시간에 따라 새롭게 발현하는 cDNA를 해석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PCR과 5'RACE 방법을 이용하여, 2,662 염기와 434개의 아미노산을 코드하고 있는 cDNA의 전염기배열을 결정하였다. DNA의 데 이터베이스인 GenBank 및 EMBL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본 cDNA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낸 유전자는 검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cDNA는 참돔의 난성숙 능력 유도와 함께 그 발현량이 증가하는 난성숙 관련 유전자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cDNA에서는 protein kinase C 인산화 및 casein kinaseII 인산화 consensus 배열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cloning된 난성숙 관련 유전자는 난여포에 hCG 처리 9~24시간 후에 그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GH-II (300 ng/ml)로 배양한 난여포에서 특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 난성숙 관련 유전자는 난성숙 능력 획득 이전의 난소에서는 거의 발현하지 않았으나, 난성숙 능력을 획득한 난소에서 강하게 발현된 점으로 보아, hCG에 의한 난성숙 능력 유도에 성숙기간 중 새롭게 합성되는 난성숙 관련 유전자가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

  • PDF

The Suppression of Maturational Competence by Streptomycin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Goat Follicular Oocytes

  • Kang, Jae Ku;Chang, Suk Min;Naruse, Kenji;Han, Jeung Whan;Park, Chang Sik;Jin, Dong I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076-1079
    • /
    • 2004
  • Antibiotics are common additives in culture media during in vitro embryo development, but their effects on oocyte maturation in vitro have not been tested. The effects of penicillin, streptomycin and gentamicin on the maturational competence and subsequent development potential of goat follicular oocytes were examined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in vitro. Maturation rates at 24 h after in vitro maturation,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 at 48 h after activation, were evaluated by observing the protruding first polar body and the 4 cell stage cleavage, respectively. When streptomycin was present in the maturation medium, the percentages of matured oocytes 24 h after activation were significantly (p<0.01) lower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42.5-45.7% vs. 69.1-73.8%). Penicillin and gentamicin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maturation rates or the percentages reaching the 4 cell stage 48 h after activ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eavage rates among the different antibiotic treatments 48 h after activation. Therefore, streptomycin suppresses the 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goat oocytes, but does not influence their subsequent development.

언어 능력, 생득적인 것인가 구성적인 것인가? - 언어 능력에 대한 촘스키와 피아제의 논쟁을 중심으로- (Is the linguistic competence innate or constructive? - on the debate between J. Piaget and N. Chomsky -)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26권
    • /
    • pp.79-108
    • /
    • 2013
  • 촘스키는 우리 인간은 특별한 언어적 하드웨어를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실제적인 문법은 이러한 하드웨어의 점진적인 발달의 결과이다. 그러나 피아제에 따르면, 우리에게 선천적으로 주어진 하드웨어는 없다. 일체의 하드웨어는 보다 하위의 구조에서 점진적으로 구성된 결과이다. 따라서 피아제의 관점에서는 그 자체적으로 고정된 구조는 없다. 이렇게 하여 양자의 언어 이론에서 근본적인 차이는 언어 능력의 형성에 있어서, 환경이 갖는 지위 문제에 있다. 촘스키에 따르면, 언어 능력의 획득에 있어서 환경의 역할은 '격발요인'(triggering role)에 한정된다. 그러나 피아제에 있어서 환경은 언어 능력을 구성하게 하는 근본적인 '형성요인'(shaping role)이다. 양자의 입장 중에 누구의 입장이 정당한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쟈크 모노(Jaques Monod)가 제안하듯이, 형이상학적 논의가 아니라, 하반신 불구인 아동(환경적 경험을 전혀 갖지 못하고 누워 있는 아동)을 실험군으로 삼고 정상적인 아동을 대조군으로 하는 실험을 통하여, 환경이 언어능력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양자의 언어이론이 사용하는 개념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이다. 달리 말하면, 양자가 사용하는 용어들의 사용법에 대한 보다 정확한 개념적 명료화가 이러한 실험적 연구 이전에 주어져야 할 것이다. 즉 성숙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는 정확히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성숙과정에 환경이 미치는 요소와 유전적인 요소를 구분할 수 있는 정확한 기준은 무엇인가? 그런데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우리들의 인성 및 특히 언어적 능력의 형성에 있어서,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를 구분할 수 있는 정확한 경계를 긋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양자의 대립은 이론상의 차이라기보다는 언어 사용의 차이에 기인하는 측면이 더 크다. 따라서 언어 능력의 본성을 정확하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언어 능력의 근원이 선천적인 것인가 구성적인 것인가와 같은 비생산적인 탐구를 지양하고, 촘스키의 통사론적 접근과 피아제의 인지론적 접근을 통합하면서 우선 언어 현상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데 몰두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양자의 언어이론의 장단점과 통합 가능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Effect of hCG on Connexin 43 mRNA Expression in Goldfish Ovary

  • Choi, Cheol-You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17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nexin (Cx) is an essential protein during oocyte maturation in the ovary of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In mature female goldfish ovaries, at late vitellogenic stage, human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20 M) an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20 IU/㎖) were injected. Twelve hr after the injection, mature female goldfish ovaries were removed and stored at -80C until analysis by RT-PCR. From the goldfish Cx43 cDNA sequence (GenBank accession number AB078505), two degenerate primers were designated. In vivo, 12 hr after the treatment with hCG, goldfish Cx43 mRNA expression level was increased, while the levels of IGF-I was not changed. Goldfish Cx43 mRNA expressed after, but not before the hCG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x43 mRNA was judged to be a gene, which was transcribed during oocyte maturation induced by hCG.

미성숙난자의 형태학적 지표와 체외성숙능과의 관계 (Morphologic Parameters and in vitro Maturational Competence of Human Immature Oocyte Obtained from Stimulated IVF Cycle)

  • 안소정;지병철;문정희;이정렬;서창석;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4호
    • /
    • pp.285-291
    • /
    • 2008
  • 목 적: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에 있어 난구세포의 양상 및 미성숙 난자의 크기가 영향 인자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체외수정을 위한 과배란유도 후 난자채취를 시행한 21명의 환자로부터 41개의 난포 단계의 난자를 얻었다. Denudation 이전의 난구세포의 모양에 따라 dispersed 난구세포와 compacted 난구세포로 나누었다. Denudation 이후 투명대를 포함하는 난자외직경 (outer oocyte diameter)과 투명대를 포함하지 않는 난자내직경 (inner oocyte diameter)을 측정하고 체외성숙 배양액에서 체외성숙을 시도하였다. 난자의 성숙은 제1극체가 나온 경우로 정하였다. 성숙이 확인된 난자는 ICSI 방법을 이용하여 수정시키고 다음날 두 개의 전핵이 뚜렷이 보이는 경우에 수정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전체적인 체외성숙률은 56.1%, 수정률은 73.9%이었다. Dispersed 난구세포 난자 중에서 성숙된 난자 비율 (91.3%)은 비성숙 난자 비율 (55.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23). 성숙 또는 비성숙 난자에서 난자외경($155.7{\mu}m$ vs. $152.4{\mu}m$, NS)과 내경 ($114.3{\mu}m$ vs. $113.4{\mu}m$, NS) 및 투명대 두께 ($41.3{\mu}m$ vs. $39.1{\mu}m$, NS)는 차이가 없었다. 체외성숙률은 dispersed 난구세포 난자에서 compacted 난구세포 난자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나 (67.7% vs. 20.0%, p=0.044), 수정률에 있어 두 군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난자의 외경, 내경 및 투명대 두께에 따른 체외성숙률 및 수정률의 차이가 없었다. 결 론: Dispersed 난구세포를 가진 미성숙 난자가 compacted 난구세포를 가졌던 난자에 비하여 더 높은 체외수정능을 가진다는 결과는 dispersed 난구세포가 미성숙 난자의 체외성숙 예측을 위한 하나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돼지 난자의 직경이 체외성숙 및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Porcine Oocyte Diameter in Relation to Maturational and Development Competence)

  • 정기화;허태영;곽대오;박충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2
    • /
    • 1999
  • 도축장에서 채취한 돼지난자를 직경별로 $5\mu\textrm{m}$ 간격으로 나누어, 난자의 크기에 따른 체외성숙과 발육능을 구명코자 체외성숙과 체외수정 후의 배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채취한 난자의 투명대를 제외한 평균직경은 $114.4\pm5.45\;\mu\textrm{m}$ 이었으며, 직경별 분포는 < 105, 105~110, 110~115,115~120, 120~125, $125\;\mu\textrm{m}$<이 각각 3.0, 11.0, 31.2, 41.5, 13.0 및 0.4%로 72.7%가 110부터 $120\;\mu\textrm{m}$ 사이였다. 체외성숙율에 있어서 직경 $105\;\mu\textrm{m}$ 미만난자는 66.7%인 반면 $105\;\mu\textrm{m}$ 이상의 난자는 91.8~100%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체외수정율도 직경 $105\;\mu\textrm{m}$ 미만인 난자는 50% 이었던 반면, $105\;\mu\textrm{m}$이상은 8106~85.5%로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다정자침입율에 있어서 $110\;\mu\textrm{m}$이상의 난자는 17.8~27.7%로 $105~110\mu\textrm{m}$ 의 37.5% 보다 낮았다. 난자의 직경별 배반포기까지의 발달율은 $105\;\mu\textrm{m}$ 이하는 전혀 발달하지 않았고(0%), $105~110\mu\textrm{m}$는 701%, $110~11\;5\mu\textrm{m}$ 12.5%, $115~120\; \mu\textrm{m}$ 24.0%, $120~125\; \mu\textrm{m}$ 18.3%, $120\; \mu\textrm{m}$<0%로, $115~120\; \mu\textrm{m}$ 직경난자의 체외발달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돼지의 체외수정용 나자는 직경 $110\; \mu\textrm{m}$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Adverse Effect of Superovulation Treatment on Maturation, Function and Ultrastructural Integrity of Murine Oocytes

  • Lee, Myungook;Ahn, Jong Il;Lee, Ah Ran;Ko, Dong Woo;Yang, Woo Sub;Lee, Gene;Ahn, Ji Yeon;Lim, Jeong M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8호
    • /
    • pp.558-566
    • /
    • 2017
  • Regular monitoring on experimental animal management found the fluctuation of ART outcome, which showed a necessity to explore whether superovulation treatment is responsible for such unexpected outcome. This study was subsequently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uperovulation treatment can preserve ultrastructural integrity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of oocytes following oocyte activation and embryo culture. A randomized study using mouse model was designed and in vitro development (experiment 1), ultrastructural morphology (experiment 2) and functional integrity of the oocytes (experiment 3) retrieved after PMSG/hCG injection (superovulation group) or not (natural ovulation; control group) were evaluated. In experiment 1, more oocytes were retrieved following superovulation than following natural ovulation, but natural ovulation yielded higher (p < 0.0563) maturation rate than superovulation. The capacity of mature oocytes to form pronucleus and to develop into blastocysts in vitro was similar. In experiment 2, a notable (p < 0.0186) increase in mitochondrial deformity,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vacuolated mitochondria, was detected in the superovulation group. Multivesicular body formation was also increased, whereas early endosome form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No obvious changes in other microorganelles, however, were detected, which included th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mitochondria, cortical granules, microvilli, and smooth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experiment 3, significant decreases in mitochondrial activity, ATP production and dextran uptake were detected in the superovulation group. In conclusion, superovulation treatment may change both maturational status and functional and ultrastuctural integrity of oocytes. Superovulation effect on preimplantation development can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