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ation inducing steroid$C_{21}$-steroid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성숙기 난모세포에서의 $C_{21}$-스테로이드 생성 (Production of $C_{21}$-Steroid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during Oocyte Maturation)

  • 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107-112
    • /
    • 2008
  • 점망둑의 난모세포 성숙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C_{21}$-스테로이드를 분석하고자 전구물질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3H-17{\alpha}OHP$)를 성숙기 난모세포(난경 $0.74{\sim}0.97\;mm$) 배양초기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스테로이드 대사물질 분석과 동정은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s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로 이루어졌다. $^3H-17{\alpha}20{\alpha}P$로부터 생성된 주요 성 스테로이드 대사물질은 $17{\alpha}$-hydroxy, $20{\alph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alpha}P$)와 $17{\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beta}P$)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사물질은 난경 0.80 mm 이상에서 관찰되었으며, GVBD (germinal vesicle breakdown) 유도 효능 테스트에서 점망둑의 난모세포는 $17{\alpha}20{\beta}P$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점망둑의 난소성숙 과정에 $17{\alpha}20{\alpha}P$$17{\alpha}20{\beta}P$이 모두 관여하나, MIS (maturation inducing steroid)로서의 가능성은 $17{\alpha}20{\beta}P$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호르몬 처리 (in vitro 실험)에 의한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난성숙과 배란유도 (In vitro Effects of Hormaonal Teatment on Induced Maturation and Ovulation in th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 백혜자;김형배;안철민;명정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9-124
    • /
    • 1998
  • 농어의 난성숙과 배란유도를 위한 C하(21)-스테로이드와 HCG의 효능 비교실험이 in vitro에서 이루어졌다. 분리된 난모세포를 대상으로 17${\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17${\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17${\alpha}$20${\beta}$OHP : 5~100ng/ml)와 HCG(5~500IU/ml)를 사용하여 관찰한 난성숙 유도효과, 즉 GVM(germinal vesicle migration)과 GVBD(germinal vesicle breakdown)를 보면, 5ng/ml 농도의 17${\alpha}$20${\beta}$OHP와 17${\alpha}$20${\beta}$OHP를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의 반응은 대조군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7${\alpha}$20${\beta}$OHP 50n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성숙 유도효과를 보였다. GVBD 유도효과에 대한 17${\alpha}$20${\beta}$OHP(50ng/ml), HCG(50IU/ml) 그리고 이들 호르몬을 혼합처리한 17${\alpha}$20${\beta}$OHP+HCG에서는 혼합처리한 실험군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여 이들의 상호 보완적 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난소조직을 대상으로 HCG와 17${\alpha}$20${\beta}$OHP를 사용하여 in vitro에서 농어의 배란유도효과를 관찰한 결과 사용한 모든 농도(17${\alpha}$20${\beta}$OHP : 1~1000ng/ml, HCG : 1~500IU/ml)에서 배란반응을 보였다. 특히 저농도 50ng/ml 또는 50IU/ml 이하로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CG 처리가 17${\alpha}$20${\beta}$OHP보다 배란 반응에 더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