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teo Ricci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마테오 리치와 서광계, 그리고 기하원본의 번역 (Matteo Ricci, Xu Guangqi and the Translation of Euclid's Elements)

  • 고영미;이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20
  • In 1607, Matteo Ricci and Xu Guangqi translated Euclid's 《Elements》 and published 《Jihe yuanben, 幾何原本》. Though 《Elements》 consists of 13 volumes (or 15 volumes according to its editions), they translated only the first 6 volumes on the plane geometry. Why did they do so?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three questions which naturally arise: What might be the motive of the translation of the 《Elements》? What method did they adopt for the translation? And why did they translate the 6 volumes, especially, the first 6 volumes, not completing the whole?

마테오 리치와 대순사상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대순사상의 기독교 종장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해석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teo Ricci and Daesoon Thought: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Ricci in Daesoon Thought)

  • 안신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117-152
    • /
    • 2020
  • 대순사상에서 마테오 리치는 기독교의 종장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종교적 인간으로서 리치의 삶과 사상이 지니는 의미를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탐색할 것이다. 리치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의 생애를 분석하고, 그의 신관과 인간관 및 구원관을 중심으로 탐구하여 리치가 대순사상에서 지닌 관계성을 재평가할 것이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리치는 예수회 선교사가 되어서 중국에 다양한 문물을 전하였다. 그는 예수회의 중국 친화적인 선교정책에 따라서 중국문화에 공감하며 언어를 배우고 중국인을 벗으로 삼아서 서양의 종교와 문화를 전달하였다. 그는 중국의 미래를 낙관하는 여덟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고, 이해와 설득의 간접 선교의 방식으로 중국인들에게 기독교메시지를 가르쳤다. 예수회신부들은 중국에서 기독교의 신을 천주라고 불렀는데, 리치는 유교의 상제를 기독교의 천주와 동일하게 간주하였다. 유교경전의 번역과 해석을 토대로 원시유교의 유일신론을 기독교와 유교의 공통점으로 파악하였다. 불교와 도교의 신관을 비판하면서 유교의 신관을 통해 기독교의 신관을 정당화하였다. 리치의 인간관은 기독교의 창조신앙을 기초로 하였고 불교의 윤회를 비판하였다. 리치는 천국과 지옥의 개념을 사용하여 기독교의 윤리성과 구원관을 제시하였다. 대순사상과 리치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1) 동서양세계 간 상호교류에 대한 기여, 2) 대화와 설득에 기반을 둔 평화적 포교방식, 3) 기독교의 종장으로서의 다양한 활동, 4) 종교의 치유하는 기적에 대한 믿음과 조선으로의 유입 등의 차원에서 의미를 찾았다. 리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독교와 유교의 신관이 지닌 공통점을 강조하면서 동서의 세계관을 교류하고 통합시키는 것이었다.

조태구(趙泰耉)의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기하원본(幾何原本) (Jo Tae-gu's Juseo Gwan-gyeon and Jihe Yuanben)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5-72
    • /
    • 2018
  • Matteo Ricci and Xu Gwangqi translated the first six Books of Euclid's Elements and published it with the title Jihe Yuanben, or Giha Wonbon in Korean in 1607. It was brought into Joseon as a part of Tianxue Chuhan in the late 17th century. Recognizing that Jihe Yuanben deals with universal statements under deductive reasoning, Jo Tae-gu completed his Juseo Gwan-gyeon to associate the traditional mathematics and the deductive inferences in Jihe Yuanben. Since Jo served as a minister of Hojo and head of Gwansang-gam, Jo ha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ng-Yuan mathematics, and hence he could successfully achieve his objective, although it is the first treatise of Jihe Yuanben in Joseon. We also show that he extended the results of Jihe Yuanben with his algebraic and geometric reasoning.

16세기 중국 지식사회와 서양 지식체계의 접점에 관한 일고찰 - 천문학과 세계지도를 중심으로 -

  • 김세종
    • 중국학논총
    • /
    • 제63호
    • /
    • pp.251-273
    • /
    • 2019
  •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was exposed to various problems, and the surrounding nations were growing as potential threats by building up their powers and forming an unstable political state by losing control of civilization in politics, economy, knowledge, ideas and ideas. Especially, Mateo Ricci's knowledge and ideas were enough to attract the Chinese knowledge society. However, the influx of Western astronomy and world maps was not only a substitute for the notion of heaven and earth of Chinese tradition, but it destroyed all the knowledge and ideology of China, the foundation of political power and knowledge power. It transformed China in the center of the world into China in some parts of the world. It also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the civilization map of culture and savager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civilization and barbarians' could not be established, and the title of Chinese as a unique and exclusive civilization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수학적 관점으로 본 서광계의 생애와 사상 (Life and Thoughts of Xu Guang-qi in mathematical perspective)

  • 강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33-240
    • /
    • 2019
  •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Xu Guang-qi (徐光啓) is a person who translated and published Western mathematics in China and used it to reconstruct Chinese calendrical system. In this paper, we explored his thoughts on the background of his accomplishments an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uch thoughts were made.

Tongwen Suanzhi (同文算指) and transmission of bisuan (筆算 written calculation) in China: from an HPM (History and Pedagogy of Mathematics) viewpoint

  • SIU, Man-Keung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11-320
    • /
    • 2015
  • In 1613 the official-scholar LI Zhi-zao (李之藻) of the Ming Dynasty, in collaboration with the Italian Jesuit Matteo RICCI (利瑪竇), compiled the treatise Tongwen Suanzhi (同文算指). This is the first book which transmitted into China in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ay the art of written calculation that had been in common practice in Europe since the sixteenth century. This paper tries to see what pedagogical lessons can be gleaned from the book, in particular on the basic operations in arithmetic and related applications in various types of problems which form the content of modern day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The Meaning of Daesoon Thoughts on the Basis of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 황준연
    • 대순사상논총
    • /
    • 제20권
    • /
    • pp.67-94
    • /
    • 2009
  • Kang Jeung-san whose real name is Kang Il-soon was a Korean born thinker who thought himself as Shangti(上帝). It is told that he made a Great Tour(大巡) upon this world. His thought was affected by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e founded a religious body, called Jeung-san-Gyo which could be formed a syncretism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We have to survey Asian traditional thoughts in order to understand Kang Jeung-san's religious thinking. According to the Great Tour Scripture(大巡典經), he have read Confucian moral books, holy Sutra of Buddha and the books of Daoism.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he stressed upon the Book of Changes (Zou-yi; 周易). And for Buddhism, he showed great concern on a monk, Jin-mook(震黙) who lived 15th century in Chosun Dynasty. Jeung-san Shangti followed Daoistic way when he performed religious ritual. In case of performance, he was compared as a great Shaman who wanted to save the world. And the most typical ritual was called public business of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He showed a great scale while he was touring the world in space.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o overcome the localization which seems still prevailing doctrine of the Jeung-san thought. For thi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should study world philosophy and accept the modernity so as to broaden Jeung-san thought to the rest of the world.

  • PDF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보유론에 관한 비평적 고찰: 제(帝), 천(天)개념의 변천사를 중심으로 (Critical Study on Mattheo Ricci's Accommodation and Naturalizat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Concepts of Di(Emperor Above) and Tian(Heaven))

  • 김영웅;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00-412
    • /
    • 2022
  • 명말청초(明末淸初), 중국에 건너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포교를 위해 『시경(詩經)』 등 여러 중국의 고전을 연구하여 적응주의적 보유론(補儒論)을 주창하였다. 그들이 차용한 '제(帝)'와 '천(天)'은 유교의 핵심 용어들인데 본래 초월적인 신개념을 함유하고 있던 '제'는 주대(周代)에 이르러 정치적 격변 속에서 위상이 격하되었고 물질적인 의미의 '천'은 오히려 위상이 격상되었다. 그러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제'의 종교적 기능을 대체한 '천'의 역할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고 종교적 의미가 탈색되면서 철학적 의미로 고착되었다. 인본주의가 신본주의를 대신하는 역사의 하향적 흐름 속에서 두 용어 모두 종교적 기능을 잃어버린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적 신관을 표현하기 위해 차용된 두 용어는 기독교 신관의 고유성을 충분히 담아낼 수 없었다. 토착화를 위한 도구였던 '제'와 '천'은 고작 유교적 사유의 연장선에 머물고 말았고 결과적으로 기독교는 유교의 부속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성에 치우친 철학적 탐구는 계시로 말미암는 거룩한 가르침과 짝을 이루지 않는 한 중국인들을 진정한 기독교 '신앙'으로 인도함에 있어서 온전한 역할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기독교의 선교를 위한 새로운 차원의 지평을 열 방안들을 발굴하는 연구를 다양하게 시도할 필요가 있다.

한국사 최초의 망원경 I. 정두원(鄭斗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 (The First Telescope in the Korean History I. Translation of Jeong's Report)

  • 안상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37-266
    • /
    • 2009
  • 1631년에 명(明)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정두원은 산둥(산동(山東)) 반도의 덩저우(등주(登州))에서 예수회 선교사인 조앙 로드리게스를 만났다. 로드리게스는 정두원에게 많은 다수의 서양 문물을 전해주었다. 정두원의 "서양국기별장계(西洋國奇別狀啓)"는 이 사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이다. 이 문헌은 고전 한문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어로 역주를 하였고, 그 과정에서 이전 연구자들이 오해한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바로 잡았다. 이 문헌에 따르면, 정두원이 받아온 것은, 중국어로 저술된 서양 서적 네 권, 명(明) 조정에 홍이포(紅夷砲)를 바친 경위에 대한 보고서, 망원경, 수발총, 폴리오트식 기계 시계, 마테오 리치가 그린 세계지도, 천문도, 해시계 등이었다. 우리는 이 물품들이 한국 과학기술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특히 정두원의 서양 문물 전래는 한국 천문학사에서도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가 가져온 망원경이 한국사상 최초의 망원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의 임금과 관리들은 망원경, 홍이포, 신식 조총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군사적으로 유용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를 재빨리 수용하여 국방력을 강화하지 못했다.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과학기술사의 일반적인 역사에 비추어 보아 그 까닭을 재고해보려한다.

한자(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논어(論語)』 읽기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 김상래
    • 한국철학논집
    • /
    • 제30호
    • /
    • pp.191-225
    • /
    • 2010
  • 이 논문은 한자(漢字)의 다의성(多義性)과 품사(品詞)의 비결정성(非決定性)에 초점을 맞추어 "논어(論語)" 해독을 시도하였다. 먼저, 이 글은 한자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문제를 표현하는 사유의 언어(다른 말로 철학언어)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는가? 는 물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16세기 마테오 리치는 보편적인 '표의문자체(ideographic script)'의 가능성을 한자에서 발견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이 물음에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하였다. 반면, 헤겔과 하이데거 등은 한자는 첫째, 전치사와 관사가 없는 언어체계이며, 둘째, 이중의미, 반대의미를 표시하는 단어가 없으며, 셋째, 어형변화 없이 어순에 의해서만 의미를 표현, 전달하기 때문에 복잡한 인간의 사유와 엄밀한 논리를 표현하는 철학 언어로서 부적합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카시러와 울만, 소쉬르, 그리고 데리다 등의 언어관을 경유하면서, 우리는 헤겔과는 다른 입장에서 한자의 사유언어로서의 기능을 발견할 가능성을 확인한다. 서양의 언어체계와 달리 한자는 언제나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단어들의 의미 보다 문맥에서의 언어 기능이 보다 중요하다. 한자는 고유의 품사를 감추고, 다른 문자들과의 관계망 속에서 어떤 사건과 사물의 의미를 표현하면서 자신의 본색을 드러낸다. 한자는 이른바 '불가결정성(indecidability)'의 언어인 것이다. 이러한 한자의 다의성과 품사의 부재는 바로 '불가결정성'에 기인한다. 이렇게 본다면, 비록 전치사, 관사, 어형변화, 품사 등을 결여하는 있는 문자체계일지라도 '다의(多義)'의 특성을 지닌 한자는 인간의 복잡한 사유를 나름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철학언어로서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논어(論語)"읽기의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