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t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7초

하드매트(Hard Matte) 영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ages on the Hard matte Skill)

  • 김인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3-32
    • /
    • 1999
  • 하드매트는 영화의 표현에 있어서 대형화면을 열망하던 초창기 영화 감독들의 희망을 반영한 장치였다. 그러나 이러한 희망이 실현되면서 하드매트 방식은 영상 내용을 규정짓는 또 다른 장치로 변모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즉 하드매트는 하나의 띠처럼 이루어져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관객의 시선을 새롭게 유도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영화의 끝 부분에서는 시작과는 다른 기능을 하지만 영상에서 하드매트는 색다르면서도 인상적인 기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적지 않은 감독들이 영상의 내용을 규정하면서 한편으로, 관객들에게 은유의 방법으로써 하드매트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이른바 HDTV 방식이 개발되면서 레터박스 스타일로 이어지고 있다. 요즈음 들어서는 젊은 층을 겨냥한 뮤직 비디오에서 하드매트 방식이 보여짐에 따라 하나의 유행이 되다시피 하고 있다. CF들 중에서도 여러 작품에서 하드매트 방식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뮤직 비디오 등으로 하드매트에 익숙해진 젊은이들에게 적극 어필되고 있다. 비록 하드매트가 영화 초기 기술적 실험의 하나로 이루어진 방법이었지만 현대에 이르러 영상 내용을 규정하게 되는 중요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내용이 형식을 주로 규정해온 시각 문화 양상과 구별되는 중요한 기법인 셈이다. 그렇지만 하드매트가 보여주는 일시적인 시각적 장점에만 의존하여 영상을 옆으로 늘어나게 하거나, 외국 영화의 크레딧에서 하드매트를 쓰는 까닭에 아무런 의도도 없이 모방만 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형식이 이루어낸 영상 내용 규정이라는 영상 언어를 통하여 우리 나라 영상의 발전을 모색해 본다.

  • PDF

콩고산 코발트 정광으로부터 제조한 매트의 고온고압침출 (High Pressure Leaching of Matte Converted from Cobalt Concentrate from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 김건하;강가희;김수경;손정수;권경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4호
    • /
    • pp.32-37
    • /
    • 2015
  • 이차전지 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코발트는 콩고 민주공화국 등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있다. 국내 코발트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해외 코발트광과 코발트 제련 기술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콩고산 코발트 정광(Co ~ 8 wt%, Cu ~ 19 wt%, Fe ~ 3 wt%)을 용융환원시켜 얻어지는 합금상에 매트 내 황의 비율을 달리해 만든 2가지 조성의 매트를 제조했으며, 주된 원소는 19 ~ 21wt% Co, 39 ~ 41wt% Cu, 7 ~ 9wt% Fe이다. 매트 분쇄산물을 autoclave를 이용한 고온고압침출법으로 3가지의 영향(산화제 유무, 침출제인 황산 농도, 매트 제조 시 투입되는 황 함량)을 고려해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산화제(산소)의 존재는 Co 침출률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며 낮은 농도의 황산을 사용하더라도 Co를 전량 침출시킬 수 있다. 둘째 산소 분위기에서 높은 황산농도는 Cu와 Fe의 침출률을 증가시켜 선택적인 Co 침출을 방해한다. 마지막으로 매트 내 황 함량은 Co의 침출률에는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구리 자용제련 공정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a Flash Smelting Process for Copper Production)

  • 서경원;조석연
    • 에너지공학
    • /
    • 제4권1호
    • /
    • pp.153-161
    • /
    • 1995
  • 건식 제련법에 의한 자용제련 공정에 대하여 공정비용을 최소화시키고 최적 조업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델은 Outokumpu 공정을 기본으로 하여 물질 및 에너지 수지식과 비용 방정식을 포함하였으며 주어진 공정조건에서 공업용 산소량, 탄화수소 연료량, 원료 정광의 구리함량, matte의 구리함량 및 전기료 등이 공정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었다.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 25% 구리정광을 원료로 하여 자용제련을 할 경우 matte의 최적 구리함량은 65%, 산화용 가스의 최적 산소함량은 53.4%, 최소 공정비용은 $9.22/ton정광이었다.

  • PDF

염산 용액에서 니켈 Matte의 용해반응 (Dissolution of Nickel Matte in Hydrochloric Acid Solution)

  • 이학성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86-693
    • /
    • 1992
  • 주성분이 heazlewoodite와 ferronickel로 구성된 니켈 matte로 부터 니켈의 용해를 지배하는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해서, 염산용액에서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온도 범위는 $50-90^{\circ}C$ 이고, 입자의 크기는 $100-160{\mu}m$$400-500{\mu}m$이며, 산농도는 0.5-3.ON 이었다. Heazlewoodite의 용해속도는 ferronickel 보다 휠씬 빨랐으며, 2성분이 각각 다른 반응속도로 동시에 용해하였다. 본 실험범위에서는 중간체인 NiS가 생성되지 않았지만, 반응용액이 $H_2S$로 포화되면 입자표면에 NiS의 얇은 막이 생성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응초기의 활성화 에너지는 약 10kca1/g mol 이었고, 용해반응은 입자표면에서 진행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니켈의 용해속도가 1.0N 까지는 염산농도에 비례하였다.

  • PDF

능산리절터 제3건물지 출토 청동덩어리에 대한 금속학적 분석 (The metallurgical Analysis of a Bronze-Lumps from the Third Building Site at Neungsan-ri Temple Site)

  • 노태천
    • 보존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7
    • /
    • 2001
  • 부여 능산리절터 제3건물지(공방)의 북측 공방터에서 수습된 청동덩어리 시료 4개에 대한 금속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 단면의 미세조직은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시료의 정성 및 정량분석은 EDS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절터 제3건 물지 내의 북측공방터에서 수습된 청동덩어리 시료 1과 시료 2는 동제련 과정에서 형성된 동피(matte)를 제련하여 만든 조동(粗銅)로 추정되고, 시료 3은 구리 제련 과정에서 만든 정동(精銅)에 주석만을 첨가하여 합금했을 가능성이 있는 Cu-Sn계 청동덩어리이고, 시료 4는 정동에 주석과 납을 함께 첨가하여 합금했을 가능성이 있는 Cu-Sn-Pb계의 청동덩어리였다. 이 제3건물지(공방)에서는 동광석을 제련하여 동피를 만들거나, 외부에서 반입된 동피를 녹여 조동을 만들고, 이것들을 다시 정련하여 정동을 만든 다음에, 주석과 납을 첨가시켜 조성이 다른 여러 가지 청동제품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동매트를 이용한 망간 단괴의 환원 침출 (Reduction leaching of manganese nodule with copper matte)

  • 한오형;최경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3호
    • /
    • pp.26-31
    • /
    • 1995
  • 환원제로서 동매트를 사용하여 희박 염삼 용액에서 망간 단괴 침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매트는 망간 단괴 침출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환원제였으며 2.5M 용액으로 용액온도 $70^{\circ}C$에서 2시간 침출하는 경우 금속의 침출율은 각각 Mn 96%, Ni 95%, Co 91%, Cu 88%, Fe 36%였다. Mn, Co 및 Ni의 침출은 동매트의 첨가량에 의존하였으며 고체와 액체의 비율 또한 침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침출용액의 온도 증가는 각 금속의 침출율을 향상시켰다. 망간 단괴로부터 Mn, Co, Ni 및 Cu의 침출속도는 동매트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경우 표면 화학반응과 세공 확산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이때의 각 금속의 활성화 에너지를 구한 결과 Mn, Co, Ni, Cu는 17.6, 12.8, 17.2 및 57.9 Kcal/mol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