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rix metalloproteinase(MMP)-13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9초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유방암 예방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on Chemoprevention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

  • 손윤희;조현정;김미경;정은정;남경수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6
    • /
    • 2007
  •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SME) was tested for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and metastasis by measuring the activites of cytochrome P45O 1A1, aromatase,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SME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O 1A1-mediated ethoxyresorufin O-deethylase (EROD)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concentration range of 100${\sim}$l,200 ${\mu}g/ml$ (p<0.01). Microsomal aromatase (estrogen synthase) activity was suppressed 54.9%${\sim}$77.5% by the SME at concentration of 600${\sim}$l,200 ${\mu}g/ml$. ODC activity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SME 900 and 1,200 ${\mu}g/ml$ (p<0.05) in MCF-7 breast cancer cells. In addition, SME (900 and 1,200 ${\mu}g/ml$) markedly inhibited MMP-9 activity, a key role in cancer metastasis. Therefore, SME is worth further investigation with respect to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or therapy.

Anti-aging potential of fish collagen hydrolysates subjected to simulated gastrointestinal digestion and Caco-2 cell permeation

  • Je, Hyun Jeong;Han, Yoo Kyung;Lee, Hyeon Gyu;Bae, In 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101-107
    • /
    • 201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ti-aging effect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ed gastrointestinal (GI) digestion on the anti-aging properties and intestinal permeation of the potential fish collagen hydrolysates (FCH). Therefore, procollagen synthesis,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production, and Caco-2 cell permeability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in vitro digestion for FCHs, low-molecular weight fractions (<1 kDa), and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1 kDa). After being subjected to GI digestion, the level of MMP-1 inhibition was maintained, although the procollagen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20%) lower with all samples. Also, the digested FCHs and their <1 kDa fraction yielded 9.1 and 13.8% increased peptide transport, respectively, compared to undigested samples. Based on the effective intestinal permeation and high digestive enzyme stability, the <1 kDa fraction of FCHs is a potential bioactive material suitable for anti-aging applications in the food and cosmetics industries.

특발성 폐섬유화증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 및 폐포대식세포 배양액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변화 (Matrix Metalloproteinase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박주헌;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원동;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303-314
    • /
    • 2001
  • 연구배경 : 특발성 폐섬유회증은 병리학적으로 폐구조가 파괴되면서 섬유아세포 및 교원질이 간질 및 폐포내에 침작하는 질환으로 교원질의 침착은 cytokine 및 성장촉진인자들에 의한 교원질생성의 증가 뿐 아니라 교원질의 분해흡수의 감소도로 초래될 수 있다. IPF의 또 다른 특징인 폐구조의 파괴 및 폐보내 섬유화 현상은 기저막 파괴로 인한 섬유아세포 등의 폐포내 유입 및 비정상적 증식이 기전으로 생각되므로 기저막의 주요 성분인 제4형 교훤질올 분해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MMP)-2와 MMP-9이 IPF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병이 계속 활발히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이들 효소의 농도도 높올 것이 예상되므로 본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화증에서 질병의 진행파정에 따른 기관지폐포세척액(BALF)내 MMP 농도 및 BALF내 세포분포와의 IPF에서 MMP의 역할 및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서울중앙병원에서 진단된 41명(연령 $59.82{\pm}1.73$세, 남:여=23:18)의 IPF환자들과, IPF진단은 받았으나 1년 이상 치료하지 않고도 병이 진행되지 않았던 안정군 16명($63.6{\pm}2.8$세, 남:여=13:3) 및 정상 대조군 7명을 대상으로 BAL액과 AM배양 배지에서 MMP-2와 MMP-9농도를 zymography와 densitometry에 의한 정량분석을 시행하였고, TIMP-1 농도는 상업용 ELISA kit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BAL 액내 총 세포수(${\times}10^6/ml$)는 IPF환자군($3.40{\pm}0.20$), 안정군($2.92{\pm}0.39$), 대조군($0.91{\pm}0.15$)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AM수효(${\times}10^5/ml$)와 호중구 수(${\times}10^5/ml$)는 IPF 환자군($24.74{\pm}1.88$, $2.15{\pm}0.35$)과 안정군($19.16{\pm}2.26$, $0.63{\pm}0.11$)에서 대조군($7.36{\pm}1.04$, $0.052{\pm}0.038$)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호산구비율도 IPF 환자군($2.83{\pm}0.66%$)과 안정군($1.50{\pm}0.42%$)에서 대조군($0{\pm}0%$)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림파구수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2) Zymography에 의한 육안적 관찰에서 IPF환자군은 34/41(82.9%), 안정군은 9/15(60%), 각각 band를 관찰하여 대조군 0/6(0%)과 차이를 보였다. 3) BALF내 MMP-2는 IPF환자군($1.36{\pm}0.28$)은 안정군($0.46{\pm}0.13$)에 비하여, 또 안정군도 대조군($0.08{\pm}0.0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MMP-9은 IPF 환자군($0.31{\pm}0.058$)과 안정군($0.22{\pm}0.078$)에서 대조군($0.002{\pm}0.004$)보다 높았다. TIMP-1도 IPF환자군($36.34{\pm}8.62{\mu}g/ml$)과 안정군($20.83{\pm}8.53{\mu}g/ml$)에서 대조군($2.80{\pm}1.05{\mu}g/m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AM배양액에서는 MMP-9만이 역시 IPF군에서($0.80{\pm}0.10$) 대조군보다($0.23{\pm}0.081$) 높았다. 5) BALF내 MMP-2는 전체 세 포수(r=0.298)와 호중구수(r=0.357)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5), AM수(r=0.096)나 임파구수(r=0.100)와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MMP-9은 호중구수(r=0.407) 및 임파구수(r=0.574)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IMP-1은 전체 세포수(r=0.338, p<0.05) 및 호중구수(r=0.449, p=0.059)와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로 MMP와 TIMP는 IPF의 병인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BALF내 MMP농도는 IPF의 활성도와 연관이 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별불가사리 단백추출물이 유방암예방 및 전이억제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erina pectinifera on Activities of Breast Cancer Chemopreventive and Metastatic Enzymes)

  • 남경수;김미경;조현정;손윤희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93-197
    • /
    • 2006
  • 별불가사리 단백추출물을 조제하여 유방암 발생 및 전이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양세포증식에 관여하는 aromatase 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침윤성 유방암에서 과발현하는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그리고 유방암이 진행될수록 활성이 증가하는 MMP-9도 농도의존적 저해율을 보였다. 그러므로 별불가사리 단백추출물은 유방암억제기전에 관련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유방암 예방물질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Articular Chondrocytes by Resveratrol through Affecting Nuclear Factor-Kappa B Signaling Pathway

  • Kang, Dong-Geun;Lee, Hyun Jae;Lee, Choong Jae;Park, Jin S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6호
    • /
    • pp.560-567
    • /
    • 2018
  •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examine whether resveratrol regulates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hrough affecting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in articular chondrocytes.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ultured in a monolayer,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measure interleukin-${\beta}$ ($IL-1{\beta}$)-induced gene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 disintegrin and metalloproteinase with thrombospondin motifs-4 (ADAMTS-4), ADAMTS-5 and type II collagen. Effect of resveratrol on $IL-1{\beta}$-induced secretion of MMP-3 was investigated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 of resveratrol, effect of resveratrol on $IL-1{\beta}$-induced $NF-{\kappa}B$ signaling pathway was investigated in SW1353, a human chondrosarcoma cell line,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sveratrol inhibited the gene expression of MMP-3, MMP-1, MMP-13, ADAMTS-4, and ADAMTS-5, but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type II collagen; (2) resveratrol reduced the secretion of MMP-3; (3) resveratrol inhibited $IL-1{\beta}$induced activation (phosphorylation) of inhibitory kappa B kinase (IKK), and thus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nhibitory kappa $B{\alpha}$ ($I{\kappa}B{\alpha}$); (4) resveratrol inhibited $IL-1{\beta}$-induced 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This, in turn, led to the down-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of MMPs in SW1353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MMPs through affecting $NF-{\kappa}B$ by directly acting on articular chondrocyte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환자의 만성 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양상 비교 (The comparison of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s from hum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 주상돈;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353-369
    • /
    • 2007
  • 치주질환의 병원균은 세포벽의 항원에 의하여 조직내 존재하는 mononuclear phagocytes가 활성화되어 cytokine들이 생성됨으로써 치주 결체조직의 파괴를 진행시킨다. 이런 관련된 cytokine들은 순차적으로 상주하는 치은세포 및 대식세포가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조직파괴를 시작한다.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중 하나로 당뇨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유병율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치주질환의 중증도도 더 심하여 진행도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 병리 기전 중 하나로 당뇨 환자에서는 치은 열구액 내 중성구 유래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증가 및 TIMP-1 발현의 변화가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 치은조직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본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 매개체 중 하나인 $IL-1{\beta}$, MMP-13 및 TIMP-1의 발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서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 및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건강한 부위(n=8, Group 1),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n=8, Group 3)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IL-1{\beta}$, MMP-13 및 TIMP-1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 ${\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실험군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비당뇨 환자들의 만성 치주염 부위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모두 건강 대조군에 비해, MMP-13와 TIMP-1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또한 $IL-1{\beta}$와 MMP-13는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가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보다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다.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IL-1{\beta}$가 증가함에 따라 MMP-13이 증가하였으며, $IL-1{\beta}$ 및 MMP-13이 증가하였지만 TIMP-1 수치는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환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MMP-13과 TIMP-1이 염증조직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IL-1{\beta}$, MMP-13이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 부분적인 기여 인자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Naringenin이 NF-$\kappa$B, AP-1 억제를 통한 MMP-9 활성 및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aringenin on MMP-9 Activity and Expression in HT-1080 Cells)

  • 채수철;고은경;서은선;유근창;나명석;김인숙;이종빈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58-65
    • /
    • 2009
  • Naringenin은 flavonoid구조의 감귤류 과피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및 항산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T-1080 섬유육종세포의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Naringenin이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igrationassa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암세포의 이동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암의 전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gelatin zymograph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의 효소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MMP-9와 TIMP-1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Naringenin의 영향을 RT-PCR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의 mRNA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나 TIMP-1의 mRNA발현에는 변화가 없었다. MMP-9발현 감소에 관여하는 전사조절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promoterassay를 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MMP-9 및 NF-$\kappa$B, AP-1의 Promoter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 켰다. 또한 MMP-9의 전자조절인자인 NF-$\kappa$B와 AP-1의 결합 활성도를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로 확인한 결과 Naringenin이 PMA에 의해 증가된 NF-$\kappa$B와 AP-1의 결합 활성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Naringenin이 전사조절인자인 NF-$\kappa$B와 AP-1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MMP-9의 유전자 발현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그 결과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피바카인이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섬유모세포양 활막세포 배양시 세포증식과 금속단백분해효소 생산에 미치는 실험실적 영향 (In Vitro Effects of Bupivacaine in Cell Prolifer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of Cultured Fibroblast Like Synoviocytes from Rheumatoid Arthritis from Rheumatoid Arthritis)

  • 한태형;장혜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0
  • Background: Intraarticular local anesthetic injection has been therapeutically applied for pain control in various arthritis patients. However, little physiologic effects of local anesthetics on their tissue were know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ts effects 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production of cultured fibroblast like synoviocytes (FLS) derived from synovial tissue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Methods: Bupivacaine with varying concentrations 0 (control), 0.1, 0.25, 0.5% was applied to experimental cell groups growing as monolayers in culture plates for varying durations 0 (control), 30, 90, 180 seconds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interleukin-$1\beta$. Result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noted in thymidine incorporation between 0, 30, 90 and 180 seconds exposure groups with 0.5% bupivacaine after 1 day and 2 days. Thymidine incorporation between 0, 0.1, 0.25, 0.5% exposure groups 1 day and 2 days after 90 seconds exposure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fter exposure to bupivacain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MMP-1 (p=0.025) and MMP-3 productions (p=0.000) of FLS in the absence of IL-$1\beta$, but no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presence of IL-$1\beta$.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in this short-term in vitro study, bupivacaine does not have injurious effect on cultured rheumatoid arthritic joint tissues. The long-term effect cannot be known from this investigation.

  • PDF

Clinical Implication of Aortic Wall Biopsy in Aortic Valve Disease with Bicuspid Valve Pathology

  • Kim, Yong Han;Kim, Ji Seong;Choi, Jae-Woong;Chang, Hyoung Woo;Na, Kwon Joong;Kim, Jun Sung;Kim, Kyung-H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443-450
    • /
    • 2016
  • Background: Although unique aortic pathology related to bicuspid aortic valve (BAV)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clinical implications of BAV to aortopathy risk have yet to be investigated. We looked for potential differences in matrix protein expressions in the aortic wall in BAV patients. Methods: Aorta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31 patients: BAV group (n=27), tricuspid aortic valve (TAV) group (n=4). The BAV group was categorized into three subgroups: left coronary sinus-right coronary sinus (R+L group; n=13, 42%), right coronary sinus-non-coronary sinus (R+N group; n=8, 26%), and anteroposterior (AP group; n=6, 19%).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nd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2. Results: Based on the mean value of the control group, BAV group showed decreased expression of eNOS in 72.7% of patients, increased MMP-9 in 82.3%, and decreased TIMP in 79.2%. There was a higher tendency for aortopathy in the BAV group: eNOS $(BAV:TAV)=53%{\pm}7%:57%{\pm}11%$, MMP-9 $(BAV:TAV)=48%{\pm}10%:38%{\pm}1%$. The AP group showed lower expression of eNOS than the fusion (R+L, R+N) group did; $48%{\pm}5%$ vs. $55%{\pm}7%$ (p=0.081). Conclusion: Not all patients with BAV had expression of aortopathy; however, for patients who had a suspicious form of bicuspid valve, aortic wall biopsy could be valuable to signify the presence of aortopathy.

Keumsa Linteusan Suppresses Invasion of Cancer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Cellular Adhesion and MMP-9 Expression

  • Kim, Won-Jung;Hong, Sung-Chang;Do, Eun-Ju;Suk, Kyung-Ho;Yun, lk-Jin;Lee, Won-Ha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2호
    • /
    • pp.113-118
    • /
    • 2009
  • Extracts derived from various medical mushroom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keumsa Linteusan, the water extract of Phellinus Iimteus, HT1080 cells, a human fibrosarcoma cell line, were treated with it and changes in cellular migration potential was tested in vitro. At a concentration range below 1,000 $\mu$g/mL, Linteusan block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migration of cells through Matrigel as well as Boyden chamber without affecting the viability of the cells. Prolonged treatment of HT1080 cells with Linteusan suppressed TNFa induced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as well as basal level expression of MMP-2. Linteusan also affected the adhesion of the cells to fibronectin-coated surfaces. The effect of Linteusan on cell signaling pathways was also tested. Linteusan specifically affected TNF-$\alpha$ induced phosphorylation of AKT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phosphorylation levels of ERK remained unaffected. These data indicate that Linteusan blocks the migration of HT1080 cells by affecting various processes associated with cell migration such as the expression of matrix degradingenzymes,cell adhesion, and AKT-medicated cellular signaling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