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tool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87-6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중요한 수단이자 교육적 도구인 수학체험교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활동이론(action theory)에 근거한 수학교육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수학수업에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수학적 근거가 명확한 체험교구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체험교구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체험교구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개발 모형에 따라 최대공약수 체험교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과 실제 구현된 체험교구를 통해 다양한 수학체험교구의 개발이 실제적으로 실행되고, 수학적 기초에 근거한 수학체험교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Maple을 이용한 삼각함수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trigonometric function using Maple)

  • 한동승;유흥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9
    • /
    • 2001
  • Since the computer is becoming more and more indispensible tool in every fields of the modern society, it is needed and desirable to utilize the computer as a basic tool from the very early stage of the education process. Recently Maple is gaining its popularity as a comprehensive mathematical software with its power of symbolic calculations and graphics as well as its great numerical computational ability. We demonstrate the suitability of this software as a tool for the mathematical education and presents several examples of the applications of Maple. For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ourses, we give the application examples for the quadratic functions and their graphs, statistics, the three dimensional shapes, algebraic problems. Through the examples, we confirm that mathematical education can be much more effective and simple by using Maple. If we establish computer-assisted mathematical classes, we can draw more attention and excitement from the attendants than traditional classes and eventually improve more rapidly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xcess of the computer-aided education give to obstacle of psychological, not to be passing over the fact.

  • PDF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of Korea

  • Park Hye-Sook;Park Kyoo-H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5-134
    • /
    • 2006
  • We study on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of Korea. For this purpose, we use a tool which is a psychological test about disposition of mathematics disliking. The tool was developed by Kim et al. (2001: Studies on Exploring Mathematics Disliking Factors and Devising Tools to Analyze Students' Disliking Trends about School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A Mathematical Education. 40(2), 217-239) to analyze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underachievers and we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it.

  • PDF

Developing Mathematics Creativity with Spreadsheets

  • Deane Arganbrigh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187-201
    • /
    • 2005
  • The spreadsheet Microsoft Excel is the most widely used mathematical tool in today's workplace. Moreover, it is also an outstanding means for developing a surprisingly wide range of creative and innovative educational uses within such areas as mathematical modeling, visualization, and instruction. The spreadsheet's format provides us with a tool that closely parallels the way in which we naturally carry out problem solving, while the spreadsheet creation process itself illuminates the underlying mathematical concepts. In addition, the spreadsheet's visual layout allows us to introduce a broad variety of challenging and interesting topics, and to design creative demonstrations through eye-catching animated graphics. The material presented comes from actual classroom mathematics teaching experience in both industrially advanced and developing nations. A series of highly visual interactive illustrations from mathematics,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computing, engineering, and the arts provide a number of usable examples. The material discussed is applicable at diverse levels, ranging from schools and universities through adult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 PDF

Design optimization in hard turning of E19 alloy steel by analysing surface roughness, tool vibration and productivity

  • Azizi, Mohamed Walid;Keblouti, Ouahid;Boulanouar, Lakhdar;Yallese, Mohamed Athman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3권5호
    • /
    • pp.501-513
    • /
    • 2020
  • In the present work, the optimization of machining parameters to achieve the desired technological parameters such as surface roughness, tool radial vibration and material removal rate have been carried ou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hard turning of EN19 alloy steel with coated carbide (GC3015) cutting tools was studied. The main problem faced in manufacturer of hard and high precision components is the selection of optimum combination of cutting parameters for achieving required quality of surface finish with maximum production rat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development of mathematical model and execution of experiments by RSM. A face centred central composite design (FCCD), which comes under the RSM approach, with cutting parameters (cutting speed, feed rate and depth of cu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second-order regression model were developed to correlate the cutting parameters with surface roughness, tool vibration and material removal rate. Consequently, numerical and graphical optimization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most appropriate cutting parameters to produce the lowest surface roughness with minimal tool vibration and maximum material removal rate using desirability function approach. Finally, confirm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pertinence of the developed mathematical models.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Self Efficac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2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수학 자기 효능감 하위 요인을 중심으로 검사 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후 개발된 문항을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에게 적용하여 설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해 설문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수학 자기 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수학 불안 상태를 별도로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관계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는 향후 초등학생의 수학 자기 효능감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자기 효능감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Using History in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 김은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471-4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II> 교과서의 수학사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Jankvist(2009)의 수학사 활용에 대한 이유와 방법에 따른 수학사 활용 유형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수학II>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활용 유형의 분포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과제가 대부분 정의적 도구로 사용되었고, 인지적 도구나 목표에 해당하는 과제는 소수에 불과했다. 둘째, 정의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대부분이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를 소개하는 것이고 수학자가 겪었던 어려움 등을 통해 수학의 인간적 측면을 보여주는 수학자 과제는 1개이다. 셋째, 정의적 도구와 목표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는 모두 설명 자료이고, 인지적 도구로 분류된 수학사 과제 10개 중 2개는 설명 자료, 8개는 모듈 자료이다.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활용의 중요성과 가치를 고려할 때, 인지적 도구-모듈 자료, 목표-모듈 자료 형식의 수학사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나 수학 수업에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가상 조경 생성을위한 디지털 잎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Leaf Authoring Tool for Virtual Landscape Production)

  • 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잎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 개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저작도구의 핵심 시스템은 영상 워핑기반의 잎몸 윤곽선 변형 방법, 잎맥의 절차적 모델링 그리고 잎의 색과 명암 등을 표현하기 위한 수리모델기반 시각화 방법으로 구성된다. 우선 잎 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잎몸에 대한 윤곽선 정보를 찾고,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하여 다양한 잎몸 형상을 직관적인 구조에서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잎몸 변형 방법을 설계한다. 그리고 계산된 잎몸 윤곽선을 기반으로 잎몸 형상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하는 일반화된 절차적 모델링 방법을 저작도구에 맞게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약수 함수의 합성 기반의 수리모델을 활용하여 잎의 색, 명암 그리고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각화 기능을 적용한다. 제안한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잎이 다양한 3차원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활용 가능하도록 텍스쳐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Portfolio Assessment as a Policy for Innovating Mathematics Classrooms

  • Kim, Soo-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23-34
    • /
    • 1997
  • For the balanced realization of these values of mathematical culture, we need to innovate mathematics classrooms, for which we need to make use of portfolio assessment. First, portfolio assessment can be regarde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a variety of resources for systematic evaluation. Second, portfolio assessment can be used as a tool of building up learners'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y which we can identify the latent possibility of learners' development and help them develop confidence in mathematics. Third, portfolio assessment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tool for exploring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which learners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and are interested in mathematical activities, as we have seen in the report on the Gulliver's Travels Pro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