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nal depression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health care programs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 Park, Seo Jin;Lee, Jina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4-28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chrane Collaboration'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handbook and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reporting guideline. We searched eight international and domestic electronic databases for relevant studies.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elected the studies and extracted data. For each study, information on th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results were extracted using a previously established coding table.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s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was used to assess the risk of bias of the included articles. A qualitative review of the selected studies was performed because the interventions differed considerably and the measured outcomes varied. Results: Out of 128 initially identified papers, seven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isk of bias was evaluated as generally low. Health car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with GDM showed positive effects on blood glucose contro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reduced, and self-management and self-care behavior, self-efficacy, and maternal identity improved.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clinical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with GDM, and its results can be us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programs for GDM. More well-designed research is needed on GDM, especially studies that deal with emotional stress and apply a family-oriented approach.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산후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 방경숙;허보윤;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1-1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산모를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편의표출 및 눈덩이표출을 통해 서울과 수원 지역의 중국, 베트남, 필리핀 결혼이민자 임부를 파악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산 후 퇴원하면 일주일 이내 가정방문하여 사전조사를 실시 후 실험군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였으며, 산후 6주와 3개월에 다시 두 군 모두 가정방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험군에는 중재를 제공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영아돌보기 자신감에 대한 그룹과 시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여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후 5일 이내의 사전조사에 비해 산후 6주와 3개월 영아돌보기 자신감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 3개월 영아 발달에 필요한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조성하였으며 생후 6주와 3개월의 영아기질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산후우울과 남편의 지지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가정방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영아돌보기와 양육환경 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결혼이민자 산모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언한다.

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비교를 중심으로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MOOD DISORDER)

  • 조수철;백기청;이경규;김현우;홍강의;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09-220
    • /
    • 2000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서의 우울증 및 조울증의 우울삽화에 대한 임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3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 OO대학교 어린이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하였던 34명의 우울증 환아와 17명의 조울증 우울삽화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 기록을 통해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적 분류, 입원시 주 증상 및 문제점, 증상의 빈도, 주산기 모 병력과 아동기 발달력, 공존 정신질환 및 신경 심리학적 검사, 가족의 임상적 특성, 가족 정신병리 및 가족 병력, 치료반응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우울증에서 남자의 비율이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조울증 우울삽화에서는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2) 평균 발병 연령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14.1세, 우울증에서 12.8세로 우울증에서 일찍 발병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입원 횟수에 있어서는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우울증에 비해서 많았다. 3)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에서 식물증상의 호소가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자살사고 증상은 우울증에서, 공격적인 증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았고,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망상은 우울증에서 환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이 나타났다. 4) 두 집단 모두에서 불안장애가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신체형 장애, 정신지체, 인격장애 등이 동반되었다. 5)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 높은 가족력을 보였고, 특히 우울증은 아동 학대력과 가족의 부적절한 양육과 관련성을 보였다. 성인에서 조울증과 우울증이 분명한 임상적 차이를 갖고있는 것처럼 소아에서도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은 발병연령, 신체증상 및 식물증상을 비롯한 임상증상의 차이, 공존질환 등에서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2) 자신은 남들에게 인기도 없고, 따돌림을 당한다고 여기며 정신병적 증상을 가진 군(47명, 남자 31명, 여자 16명)은 단순히 정신병적 증상이 높은 군에 비해 불안 척도, 우울증 척도, 공격성, 대인 민감성, 학교 및 사회 적응 척도, 강박증상 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병적 증상, 신체적 증상 호소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신이 따돌림을 받는다는 호소와 편집증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자 중에서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고, 스스로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는 대상들에서는, 불안 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 등이 정신병적 증상을 잘 설명해주었다 ($r^2$=0.93). 즉, 따돌림을 당한다고 호소한 집단은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를 통해 왕따 피해자는 정신병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따돌림과 같은 학교폭력 피해자가 불안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와 같은 문제를 보였을 경우에는 정신병적 증상 유무와 학교 적응, 집중력 장애, 사고개념 형성 장애 등을 확인하여 정신병의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탈트검사에서 기질성 뇌장애를 의심할만한 소견은 14명(63.5%)에서 보였다. 지능검사의 결과는 평균이상 IQ는 12명((54.5%), 지능지체 및 경계선 지능은 9명(41.0%)이었다. 5) 주 진단 및 공존진단:주 진단으로는 행실장애가 6명(27.3%), 경계선장애(borderline child) 5명(23.0%), 우울병 4명(18%)

  • PDF

구조적 면담으로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주산기 요인 및 발달력상 위험인자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of ADHD Children Diagnosed with a Structured Interview)

  • 박수빈;정해원;김붕년;조수철;김재원;신민섭;유희정;한덕현;정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4호
    • /
    • pp.181-187
    • /
    • 2012
  •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iagnosed with a structured interview among Korean children. Methods:The current study included 924 children (6-15 years) recruited from schools in five Korean cities or a child psychiatry outpatient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parents of the children completed the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s well as questionnaires on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Results:Preterm delivery, severe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change in primary care taker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postpartum depression, and delayed first sentenc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DHD diagnosis. 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inatal and developmental factor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DHD in Korean children. Conduct of future research using a prospective design is need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bserved risk factors and development of ADHD.

서울 시내 일부 초 . 중 . 고등학교 학생의 흡연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Risk Factors for Smoking Behavior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이보은;박혜숙;하은희;김남희;한영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7-185
    • /
    • 2004
  • Objectives: The rate of adolescent smoking is important because lead to adult smoking. And early onset of smoking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in adult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moking status of adolescents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smoking in each school. Methods: We selected the participant schools that are located in Yang-cheon Gu, Seoul, Korea, considering the social economic status. The subjects were included 719elementary school students,1,251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13 high school studen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between December 16 and December 24 , 2002. Students were informed in writing that the survey was voluntary. The response rate was 98.7, 81.1 and 95.4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tudents who have attempted to smoke were 8.8% in elementary school, 29.3% in middle school and 35.0% in high school. 2) The current smokers were 2.0%, 7.9% and 11.5%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respectively. 3) In elementary school, smoking of mends and physical health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ttempt to smoke. Stress, smoking of mends, alcohol, and binge drinking were associated with the attempt to smo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high school, the attempt to smoke was related to gender, maternal education, depression, school performance, smoking of brothers, smoking of mends, alcohol, and binge drinking. 4) Current smoking was associated with smoking of mends and binge drinking in middle school and gender, school performance, smoking of brothers, smoking of mends, alcohol, and binge drinking in high school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health education and specific strategies to help adolescents prevent from smoking. Smoking prevention programs which include risk-taking behavior such as alcohol, method of copying with stress, and supporting environment were required.

미숙아로 출생한 영아의 6개월 발달 관련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 (Prospectiv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 in Premature Infants at Six-Months)

  • 방경숙;강현주;이부현;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99-20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mature infant at six-month age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status of the premature infa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8 premature infants whose corrected age was six-months old and their mothers. The developmental states of infants were followed-up with the Korean Prescreening Developmental Questionnaire (KPDQ-II).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were identified from the medical records.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husband's support, social support, and mother-infant attachment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Results: Forty three percent of the infants were in the group of questionable status of development on the KPDQ-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mature infants with normal developmental status and those with questionable developmental status depending on gender ($x^2$=5.03, p=.034), gestational age (t=2.59, p=.012), hospital stay (p=.013), revised Neurobiologic Risk Score (p=.005) and mother-infant attachment score (t=2.12, p=.040). Conclusion: Mother-infant attachment, as well as physiologic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early development. Therefore, early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has to be done for physiologically vulnerable premature groups. Also, providing proper nursing support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needs to be considered.

비만의 정신분석적 고찰 (Psychoanalytic Aspect of Obesity)

  • 이무석
    • 정신신체의학
    • /
    • 제3권2호
    • /
    • pp.207-213
    • /
    • 1995
  • 비만환자들의 정신역동과 정신분석치료의 기법을 문헌 고찰하였다. 비만의 원인은 구강기 고착과 충동조절을 못하는, 자아와 초자아의 결함에 있었다. 비만환자들은 사랑의 상실에 의한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음식을 사용한다. 먹음으로 자신을 달래주고(self-soothing), 대리만족을 취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문제인데, 비만아의 부모는 아이를 통하여 자신의 욕망을 이루려는 분들이어서 지배적이고 음식을 강요하며 어린이의 성취에 대한 기재가 높다. 어린이에게 따뜻한 보살핌이 필요할 때에도 부모의 목표가 더 우선되기 때문에 어린이는 늘 욕구불만에 빠지게 된다. 가정에서 어린이에게 사랑이 필요할 때마다 사랑 대신에 음식을 먹이는 부모였다. 그래서 성장후에 사회적 좌절을 당하면 음식에서 위로를 받고, 음식을 씹음으로 공격욕구도 발산한다(Stunkard, 1985). 또한 비만환자의 부모는 정상적인 부모역할을 전반적으로 소홀히 하는 편이었다. 절제를 가르치지 못하는 부모였다. 그것은 부모 자신의 초자아에 문제가 있어서 요구할 것을 요구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했고, 특별히 어떤 자식을 유난히 무관심 속에 방치해 두어서 비만을 만들기도 한다(Wilson, 1992). 이처럼 비만환자들은 전에디푸스기에 병의 원인(preoedipal pathology)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갈등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할 때는 언제나 그렇듯이 분석가는 좀더 적극적인 해석을 해주어야 한다. 또한 전이대상만으로는 안되고, 이에 추가하여 아이를 잘 키우는 새로운 대상(new and different object)이 되어 줘야한다(Wilson 1989). 비만환자들의 거구를 대하면서 치료자들은 위축되는 역전이에 빠질 수가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PDF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김주희;정재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2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recent studies. Methods: Studies related to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 with GDM published in English or Korean between 2000 and 2019 were extracted from 10 electronic databas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and double-checked for accuracy by two reviewers using the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sults: Twenty studies were selected, of which 19 had a low risk of bias and one had a high risk of bias. Interventions fell into six main groups: (1) integrated interventions, (2)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vels, (3) dietary interventions, (4) exercise, (5) psychotherapy, and (6) complementary therapy. This review found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GDM were of many types, and integrated interventions were the most common. However, low-carbohydrate diets and blood glucose monitoring intervention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Evidence shows that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pplied to GDM improved diverse aspects of maternal, fetal, and neonatal health, including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Conclusion: The composition and delivery of integrated interventions continue to evolve, and these interventions affect physical and psychological indicators. Although interventions affecting physical health indicators (e.g., blood glucose levels, diet, and exercise) are importan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rograms including psycho-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s related to anxiety, depression, stress, self- efficacy, and self-management are also highly useful.

Infantile Colic: A Survey of Physicians in Pakistan

  • Muhammad Saif Jalal;Syed Zafar Mehdi;Jalal Uddin Akber;Murtaza Ali Gowa;Carlos Lifschitz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7권3호
    • /
    • pp.186-195
    • /
    • 2024
  • Purpose: Infantile colic diagnostic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ome IV. A universally accepted management remains to be established. We aimed to evaluate diagnostic criteria, management strategies, and perceived regional prevalence of infantile colic in Pakistan, as well as its effect on physicians and parent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mongst 1,256 physicians. Results: We received 800 replies. Wessel and Rome IV criteria were used by most physicians for diagnosis; however, the response "any infant who cries a lot" was selected by older physicians (48% of those over 60 years), physicians in rural areas (32%), physicians practicing in private clinics (27%), and general physicians (30%). Estimated prevalence of infantile colic ranges from 21-40%. Reassurance was the most widely recommended management strategy followed by herbal teas (51%), switching to a different formula (49%), probiotics (28%) and antibiotics (26%), discontinuation of breastfeeding (14%), elimination of dairy products from the breastfeeding mothers' diet (6%), and the administration of colic drops (1%). Most physicians considered the negative impact of colic on their personal lives and the parents as mild-to-moderate. Notably, 38% of percent of physicians routinely screened for maternal depression, and 45% of physicians were aware of the association between infantile colic and shaken baby syndrome. Conclusion: Most physicians in Pakistan diagnose and manage infantile colic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guidelines. However, the guidelines pertaining to treatment planning are not followed. Educational efforts directed toward general physicians and doctors practicing in rural areas and clinics must be implemented to avoid unnecessary testing and treatment burden.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및 개성화와 정신의 순환: 수지비괘(일양오음괘)와 중지곤괘를 중심으로 (Conjunction of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Individuation and Circumambulation of The Psyche: Focusing on the Hexagram Bi, Pi (比) and Hexagram Gon, Kun (坤))

  • 이현구
    • 심성연구
    • /
    • 제38권1호
    • /
    • pp.1-44
    • /
    • 2023
  • 수지비괘(水地比 ䷇ 8)는 하나의 양효와 다섯 음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양오음괘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일양오음괘는 하나의 양을 의미하는 의식과 다섯 음으로 나타나는 무의식의 관계와 역동을 상징한다. 일양오음괘는 초효에서 시작하여 상효에 이르기까지 그 양효의 위치에 따라 여섯 개의 다른 괘의 모습을 갖는다. 심리적인 측면에서 이것은 의식의 자리에 따라 정신의 내용이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양효의 움직이는 그 진행 과정을 통해 정신적 에너지의 흐름도 살펴볼 수 있다. 즉, 일양오음괘의 시작인 첫 번째 지뢰복괘(地雷復 ䷗ 24)의 정신적 내용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다가 그 최적의 자리인 다섯 번째 수지비괘(水地比 ䷇ 8)를 거쳐 마지막 여섯 번째인 산지박괘(山地剝 ䷖ 23)의 과정을 거쳐 가게 된다. 다시 말해 양효 하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괘와 해당 효사의 내용은 일정한 정신적인 흐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회복하여 처음 시작하는 복괘는 의식의 시작이며, 이후 이효, 삼효, 사효 등으로 진행되는 과정은 의식의 흐름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다섯 번째 자리인 비괘 오효에서는 그 정점에 이르게 되어 의식의 최적 상태에 놓이게 된다. 자연과 동일하게 정신도 최고의 상태에서 점차 하락의 길로 들어서는데 그것이 마지막 여섯 번째인 박괘 상효에 이른다. 그런데 모든 것이 떨어져나가는 박괘의 상효는 효사에 다시 시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을 이어받는 것이 복괘의 초효이다. 이것은 심리적으로 힘든 우울의 상태에서 회복의 단계로 바뀌는 정신의 순환(circumambulation)을 의미한다. 이런 순환 과정에서 지나가야하는 단계가 있는데 그것이 중지곤괘(重地坤 ䷁ 2)이다. 절기상 음력 9월인 박괘와 11월인 복괘 사이에 10월의 곤괘가 놓여있다. 이것은 회복과 치유의 흐름에는 반드시 곤괘의 모성적 과정을 거쳐야함을 뜻한다. 정신의 재생에 심리적 자궁으로의 후퇴는 필연적인데 박괘, 곤괘, 복괘로 이어지는 흐름이 그것을 보여주는데 곤괘가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더불어 비괘를 비롯한 일양오음괘는 그 본체 역시 여섯 음효로 이루어진 곤괘이다. 즉, 여섯 개의 일양오음괘는 모두 곤괘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일양오음괘 양효들과 그에 상응하는 곤괘 음효와의 상관성을 살펴봄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여섯 개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의식의 상태와 연결되는 모성적 무의식의 역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양오음괘는 각각 모성 원형과 의식의 통합에 대한 표현을 상징한다. 이것을 잘 드러내는 것이 일양오음괘의 괘상의 의미이다. 그것의 괘상은 어머니를 상징하는 곤(坤 ☷)과 아들을 의미하는 장남의 뇌(雷 ☳), 중남의 감(坎 ☵), 차남의 간(艮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양효의 차례대로 순차적으로 지뢰복(䷗), 지수사(䷆), 지산겸(䷠), 뇌지예(䷏), 수지비(䷇), 산지박(䷖)이 만들어진다. 이것은 상징적으로 의식의 진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어머니와 아들의 결합을 의미하는 일양오음괘들은 모성적 무의식과 의식의 진전되는 관계를 표상한다. 또한 아들의 위치에 따른 어머니와의 관계는 의식의 태도에 대한 모성의 역동과 연관이 된다. 이런 일양오음괘 여섯 괘의 흐름에서 심리적인 의미를 연역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의식의 활성화가 가장 정점인 상태가 비괘 오효에 해당하고 마땅히 이에 상응하는 곤괘 오효의 내용을 비교하면 의식과 모성적 무의식의 통합의 상태와 의미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흐름 전체가 개성화 과정에 비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