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ch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tcha (powdered green tea) spreads containing coconut milk)

  • 김영민;한영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92-97
    • /
    • 2018
  •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스프레드 제조 시 말차 첨가량은 각각 S1(0 g), S2 (4 g), S3 (8 g), S4 (12 g), S5 (16 g)으로 하였다. 품질특성 결과 수분, L값, a값, pH의 경우 말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은 감소하였다. 반면 점도, b값의 경우 말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은 증가하였다.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각 군의 당도 범위는 모든 군이 $2.70-3.27^{\circ}Bx$ 사이에 속하였다. 관능검사는 색, 맛(단맛, 쓴맛), 조직감(부착성, 발림성),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8 g의 말차를 첨가한 S3 스프레드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말차 분말의 항산화 활성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6 mg GAE/g, 809.42 mg QE/g이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5.76{\mu}g/mL$ ($IC_{50}$), 2.26 O.D.으로 측정되었다. 말차 첨가 코코넛밀크 스프레드의 항산화 활성은 말차 첨가량이 높을수록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고당 및 올레산으로 유도된 간세포에서의 염증반응에 대한 말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matcha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 on high glucose- and oleic acid-induced hepatic inflammatory effect)

  • 김종민;이욱;강진용;박선경;신은진;문종현;김민지;이효림;김길한;정혜린;박효원;김종철;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67-277
    • /
    • 2021
  • 본 연구는 가루녹차의 가공품인 말차를 이용하여 항산화 평가와 고당으로 유도된 간세포에서의 간세포 보호효과와 지방간 개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말차의 catechin 함량과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잎 녹차보다 우수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라디칼 소거활성과 지질과산화물 억제활성 역시 잎 녹차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α-glucosidase, α-amylase 및 최종당화산물에 대한 우수한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In vitro 간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한 결과, 말차는 효과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 및 고당으로 인한 활성산소 생성 억제활성과 간세포 생존율 나타내었다. 또한, oleic acid로 유도된 지방 축적에 대한 말차 추출물의 억제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지방간으로 인한 염증반응에 대한 조절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녹차의 가공품 중 하나인 말차는 가공 전 잎 녹차에 비해 우수한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지니며, 탄수화물의 섭취를 억제해주는 소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간세포의 지질축적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ea Culture and Tea Industry in Japan

  • Sakata, Kanzo
    • 동아시아식생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23
    • /
    • 2007
  • Tea plant(Camellia sinensis) is one of a very few plants containing caffeine, a kind of narcotics, originates from Yunnan in China and was utilized as a medicine at the beginning and then as a drink as well as a food. The tea was introduced to Japan from China. Japanese people well developed tea manufacturing technology to produce unique teas such as Matcha(抹茶) and Sencha(煎茶), resulting in creating a culture, Tea ceremony [Chado or Sado(茶道)].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