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on's trichrome stai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Collagen으로 유발된 생쥐의 관절염에 대한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효과 (Effects of Danggwisayeokgaohsuyusaenggang-tang(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 김민균;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3-85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of Danggwisayeokgaohsuyusaenggang-tang(hereinafter referred to DST) on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on DBA/1 OlaHsd mice. Methods : For this purpose, DST was orally administered to mouse with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II. Cytotoxicit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 analysis, arthritis index, value of immunocyte in draining lymph node and paw joint, cytokine were measured in vivo. Results : 1. The cytotoxicity against human fibroblast cells(hFCs) was not measured in any concentration. 2. In HPLC analysis, There are high peak patterns at 8 minute(min), 12 min, 35 min, 45 min. 3. The arthritis index was decreased significantly. 4. The degree of arthritis induced damage of joint of DST group is sl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 observation(Hematoxylin and eosin stain(H&E), Masson's trichrome(M-T) staining). 5. In total cell counts of draining lymph node(DLN) and paw joint, the cells in DLN decreased significantly on DST 200 mg/kg and the cells in paw joint decreased significantly on 200 mg/kg and 50 mg/kg. 6. In DLN, $CD4^+/CD25^+$, $CD3^+/CD69^+$,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MHC), class-II/$CD11c^+$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on DST 200 mg/kg and 50 mg/kg $CD3^+/CD8^+$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on DST 200 200 mg/kg, $CD4^+$, $CD3^+/CD44^+$ cells decreased. 7. In paw joints, $CD4^+$, $CD11b^+/Gr-1^+$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on DST 200 mg/kg and 50 mg/kg. 8. In joints, levels of $IL-1{\beta}$, IL-6, $TNF-{\alpha}$, cyclo-oxygenase-2(COX-2), NOS-II were decreased on DST 200 mg/kg and DST 50 mg/kg. 9. In analysing of cytokine in CD3/CD28 activated spleen, IL-17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L-4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F-{\gamma}$ was decreased on DST 200 mg/kg. 10. In analysing of cytokine in collagen activated spleen, IL-17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L-4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 This results demonstrated that DST suppressed the inflammatory progression of collagen-induced arthritis(CIA) mice and support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urvey continuously in looking for the effective substance and mechanism in the future.

The Protective Effects of Statins towards Vessel Wall Injury Caused by a Stent Retrieving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 A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Rabbit Carotid Artery Model

  • Lee, Seung Hwan;Shin, Hee Sup;Oh, In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5호
    • /
    • pp.693-704
    • /
    • 2021
  • Objective : Endovascular mechanical thrombectomy (M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s for acute ischemic stroke caused by large vessel occlusion. Despite the wide use of stent retrievers for MT, arterial intimal damage caused when deployed stent is pulled has been a certain disadvantage. We hypothesized that statin could protect and stabilize vessel damage after endovascular MT using a stent retriever. In this animal study, we observed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statins towards MT-induced vessel wall injury. Methods : Twenty-eight carotid arteries of fourteen rabbi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with MT using stent retriever. We divided the rabbits into four groups as follows : group 1, negative control; group 2, positive control; group 3, statin before MT; and group 4, statin after MT. After MT procedures, we harvested the carotid arteries and performed histomorp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sults : In histomorphological analysis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significant intimal thickening (p<0.05) was observ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2), compared to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1). Intimal thickening was improved in the statin-administered groups (groups 3 and 4 vs. group 2, p<0.05). We also observed that statin administration after MT (group 4) resulted in a more effective decrease in intimal thickness than statin administration before MT (group 3) (p<0.05).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the antibodies f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11b, and CD163. In contrast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1), the stained percentage areas of all immunological markers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2) (p<0.05). Based on statin administration, the percentage area of TNF-α stain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n group 3,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group 2).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for CD11b and CD163 staining. In group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NF-α, CD11b, and CD163 staining (p≥0.05). Th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areas of the different markers between the statin-administered groups (groups 3 and 4) were also not revealed. Conclusion : We presented that statin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MT exerted protective effects towards vessel wall injury. The efficacy of statins was greater post-administration than pre-administration. Thus, statin administration in routine prescriptions in the peri-procedural period is strongly advised.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결합 조직 손상에 미치는 피부 보호 효과 (Skin Protection Effect of Grape Pruning Stem Extract on UVB-induced Connective Tissue Injury)

  • 김정희;김극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7
    • /
    • 2018
  • 본 연구는 포도수확 후 버려지는 가지를 이용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에 함유된 polyphenol류 중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의 함량을 분석하고, UVB로 유도된 HR-1 mice의 손상된 피부에 대한 교원섬유, 탄력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도전정가지에서 polyphenol 성분을 80% EtOH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20^{\circ}C$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GPSE의 유효성분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UVB를 HR-1 hairless mice에 조사하였고, 손상된 피부에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Masson's trichrome stain,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Verhoeff's elastic fiber stain, MMP-9 단백 발현을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포도전정가지 시료 53 kg에서 EtOH 분획 추출물 2.34 kg을 추출하여 4.42%의 수율 결과를 얻었다. 유효성분 분석결과, procyanidin B3, 0.28 mg/g, rutin 12.81 mg/g, quercetin 0.51 mg/g 및 kaempferol 8.24 mg/g로 나타났다. GPSE와 serum base를 혼합 도포한 그룹에서 UVB에 의한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를 분해하는 MMP-9 단백발현 결과, 대조군 대비 평균 약 90% 감소 억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24%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2,000 mg/kg 에서 43%로 가장 우수한 교원섬유 파괴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탄력섬유파괴 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12%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1,000 mg/kg에서 35%로 가장 우수한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GPSE가 진피층의 세포 외 기질에 UVB 조사에 의해 파괴되는 교원섬유, 탄력섬유의 파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도전정가지로부터 rutin, kaempferol, quercetin, procyanidin B3 등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화장품 기초 원료인 serum base에 함유토록 제조된 GPSE 는 교원섬유 파괴 억제, 탄력섬유파괴 억제효과 및 피부손상 기능개선 효과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포도농가에서 수확 후 버려지는 포도전정가지에서 폴리페놀류와 같은 유효성분을 확보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정력이 흰쥐의 치아이동량과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thodontic force on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and root resolution in rat)

  • 김일곤;김광원;윤영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1-562
    • /
    • 1999
  • 본 연구는 치아를 실험적으로 이동시킬 때, 교정력의 크기와 적용방법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와 치근흡수와의 관련 여부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300g전후의 건강한 수컷 흰쥐 24마리를 세 군으로 나누고 상악 제 1대구치와 상악중절치 사이에 NiTi closed coil spring을 장착하여, 각 군당 50g(A군), 100g(B군), 25g(C군)을 적용하였고 C군의 경우에는 교정력을 적용한지 4일째 50g으로 힘을 증가하였다. 15일간 교정력을 적용하는 동안 매일 ehter로 흡입 마취를 시행하고 치아이동거리를 digital caliper로 측정하고 15일간의 실험기간 종료 후 상악 제1대구치 치근부의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별 15일간 총 치아이동거리는 B군에서 가장 컸고, 그 다음 C군, A군의 순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2. A, B, C군 모두 전형적인 치아의 이동양상을 보여주었으며 치아이동 지체기가 끝난 날은 C, B, A군의 순서로 각각 7, 8, 9일째 끝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다. 3. A, B, C군 모두에서 치근의 흡수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B군에서 가장 심한 치근흡수양상을 보여주었고, C군에서 치근흡수의 양상이 가장 적었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교정력이 크다고 하여 더 빠른 치아이동이 일어난다고 볼 수 없으며 교정력이 클수록 초자양변성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오히려 치근의 흡수도 증가하므로 교정력을 적용할 때 초기 교정력을 보다 적게 적용하여 초자양변성대 형성범위를 줄인 뒤 교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치근흡수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치아이동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 구조에 미치는 TBTCl의 독성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on the Growth and Mantle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정준;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9-241
    • /
    • 2008
  •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Gomphina veneriformis)의 성장과 외투막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복의 성장은 모든 실험구의 개체들이 12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 < 0.05). 대복의 외투막은 가장자리에 4 개의 주름 (내부 안쪽, 외부 안쪽, 가운데, 바깥쪽)을 가지며, 단층의 원주형 상피층이 결합조직층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였다. 대복의 외투막은 TBTCl 노출 12주 이후부터 혈림프동이 확장과 근섬유 다발의 분절이 관찰되었다. 노출 20주에는 내부상피층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지만(p < 0.05),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에서는 노출 12주까지 감소하였던 점액세포가 증가하면서 AB-PAS (pH 2.5) 반응시 보라색 (2587c)으로 관찰되는 점액물질이 관찰되었다. 이후 노출 28주에는 가운데 주름 부위의 안쪽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이 관찰되었고, 외부 상피층에서는 상피세포의 부분적인 파괴가 관찰되었다. 실험 종료시기인 36주에는 바깥쪽 주름 부위에 호산성 과립들이 관찰되었으며, 가운데 주름부위의 바깥 분지에서 상피세포의 변형과 파괴로 인한 상피층의 붕괴가 관찰되었다. 또한 외부 상피층의 상피세포들은 입방형 또는 편평형으로의 변화와 함께 부분적인 상피층의 붕괴가 나타났고, 그로 인하여 상피층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섬모의 탈락과 점액세포의 감소 그리고 상피층의 파괴는 외투강 정화 기능의 장애로 인한 먹이 섭식의 장애를 유발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외투막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주름들의 구조적인 변화는 각피층 형성을 억제하여 패각 성장 장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성견 상악 4절치의 Contraction과 압하시 치아 및 주위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Histologic changes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s applying to contraction & intrusion force for the maxillary four incisors of dogs)

  • 김영국;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5-549
    • /
    • 1999
  • 본 연구는 Contraction Utility Arch wire를 이용하여 성견의 상악 4절치에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2주와 4주간 적용하여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생체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인 효과와 작용의 진행과정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생후 약 10개월 정도의 성견 3 마리를 각각 실험군 2마리와 대조군 1 마리로 나누어 제 1, 2 절치에 1mm의 후방 견인력과 60gm의 압하력이 가해지도록 Contraction UTA를 삽입하였다. 장치 부착없이 2주후 희생시킨 것을 대조군으로, 장치 장착 2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1군으로, 장치 장착후 재활성화없이 4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2군으로 하여 각 군의 제 1, 2 절치에 대한 탈회 표본을 제작하여 Hematoxylin-Eosin염색과 Masson's Trichrome염색을 시행한 후, 각 치아의 치경부 l/3, 치근 중앙 1/3, 치근단 1/3의 치근 및 치아 주위 조직을 광학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 소견에서, 치주 인대는 치근단 부위에서 치조정까지 일정한 형태를 이루며 비교적 균일한 두께와 연속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치조골 표면은 조골 세포와 함께 부드러운 골면을 이루고 있었다. 치근의 중앙부 및 치근단 부위에서는 세포성 백악질의 침착을 보였다. 2. 실험 1군의 제 1 절치에서, 치주 인대는 순설측 치경부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신장되었다가 치근단부에서 압축되어 치조골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치조골 흡수는 순측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고 순측 치근단 부위의 치아면을 따라 백악질 흡수 부위가 산재되어 나타났다. 제 2 절치 역시 제 1 절치와 유사한 소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설측 치근단부에서 백악질 흡수 소와가 다수 관찰되었다. 3. 실험 2군의 제 1 절치에서,치주 인대의 주행 방향과 간격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나, 치근단부에서는 여전히 혼재된 치주 인대 섬유의 주행이 관찰되었다. 설측 치근 중앙부에서 신생골의 석회화 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고, 순측 치근단부에서 골 흡수와 신생골 석회화가 진행중인 골 부위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