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an outfal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마산만 해양방류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 분포 변화 (Concentration Changes of Wastewater Effluent Discharge in the Mixing Bone of Masan Sea Outfall)

  • 강시환;유승협;김상익;오병철;박광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4
    • /
    • 2001
  • Huang 등[1996]이 제안한 해양방류 혼합구역에 대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마산만 해양방류 해역의 혼합구역에서 주변해수의 흐름과 밀도성층의 변화에 따른 혼합 희석에 의한 수중방류하수의 농도변화분포를 산정하였다. 방류해역에서 5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3개월 동안 연속 관측된 조류의 매 시간별 유향과 유속변화에 따른 혼합구역에서의 하수농도분포를 계산하고, 마산만 해수유동에 있어 가장 큰 요소인 조류의 변화를 고려하여 15일 간격으로 방류하수의 평균된 농도분포를 구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조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기간동안에는 혼합구역에서의 평균농도는 매우 낮았고, 유속이 약했던 기간에는 낮은 희석률로 인해 평균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측된 조류의 주 방향으로 인해 혼합구역이 방류해역의 서측 해안까지 확장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방류해역에서 조사된 퇴적물의 오염도 분포결과와도 잘 일치되었다.

  • PDF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한 마산만 해중방류구 수심 변화에 따른 방류수 거동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Effluent Transport According to Change in Depth of Marine Outfall in Masan Bay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 김진호;정우성;김동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54-959
    • /
    • 2022
  • Marine outfalls are used to discharge treated liquid effluents to the environment. An efficiently designed, constructed and operated marine outfall effectively dilutes the discharged effluent, thereby reducing the risk to biota and humans dependent upo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luent transport from a marine outfall at different depths in Masan Bay. A particle-tracking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dispersion of effluent.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some particles released from a depth of 13 m move to the inner area of Masan Bay within 48 h. As the release depth increases after 48 h, the particles move further southward. This suggests that effluent from the outer area of Masan Bay can affect the inner area, and that this effect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depth of effluent release.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 (A Study on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강시환;유승협;오병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0-6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중확산관을 통해 하ㆍ폐수 1차 처리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률을 현장관측과 CORMIX 모형계산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수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온약층이 수심 4m~6m에서 형성된 1998년 하계에 관측된 염분도로부터 희석률을 구하였으며, 또한 해수밀도의 수직 분포와 해류자료를 입력하여 모형으로부터 하 폐수 플륨의 이동확산 양상과 초기희석률을 계산하였다. 방류지점의 관측된 염분도 분포로부터 구한 희석률은 32~48이며, 모형에 의해 계산된 초기ㆍ근역 희석률은 29~43으로 두 결과 모두 매우 낮은 하계 소조시의 희석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류가 약한 소조기의 정체 시에는 방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로 인해 해양방류수역의 수질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마산만과 가덕수로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원소와 저서성 유공충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Benthic Foraminifera on Surface Sediments in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Korea)

  • 우한준;조진형;최재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233-244
    • /
    • 2007
  • Nine surface sediments from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were taken for grain size and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analyses in August 2002. The sediments consist of mud with 7.29-8.54 $\phi$ in mean grain size. Average concentrations of Al, Fe and Mn are higher in Gadeog Channel than those in Masan Bay. On the other hand, average concentrations of Pb, Cu, Zn, Cd, Cr, Ni and V are higher in Masan Bay than those in the channel. The latter group of elements show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station M4, off the outfall of treated wastewater disposal. Eighty-one foraminiferal species are identifi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21 species of living populations. The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equitability in Masan Bay have lower values than those in Gadeog Channel. The foraminiferal fauna off the outfall i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data obtained in 1996, heavy metals are more enric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raminifera are little changed.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the pollution of Masan Bay has not been reduced.

해양수리특성의 변화를 고려한 연속적 근역혼합거동 (Continuous Near-field Mixing with Variable Oceanic Conditions)

  • 강시환;김영도;이호진;김상익;한성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2-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부력제트 혼합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특성을 구하는 방법을 국내의 대표적인 하수방류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견과와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마산만 수중확산관에 대한 63일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선형플륨 방정식을 1500회 이상 적용하여 초기희석률, 근역구간 크기, 플륨상승고에 대한 빈도분포를 구한 결과, 초기희석률은 30~71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값은 34로 나타났으며, 이는 염분부족도를 이용한 현장희석률 관측견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역구간 길이는 5.4~36.2 m의 범위와 평균값 9.5 m, 플륨상승고는 8.1~10.2 m의 변위와 평균값 8.9 m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해당기간 중의 전체의 30~44 % 기간만이 각각의 근역특성들이 평균값 이상을 나타내므로, 해양방류시스템을 설계 및 해석함에 있어서 통계적 빈도해석에 의한 방류하수의 희석률과 혼합구간의 범위에 대한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Far-field Transport of Effluent Plumes Discharged from Masan Sea Outfalls

  • Kim, Young-Do;Kang, See-Whan;Seo, Il-Won;Oh, Byung-Cheo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69-80
    • /
    • 2000
  • A 3-D particle tracking model with normalized characteristic equations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variation of near-field mixing characteristics and the far-field transport of the effluent plumes discharged from sea outfalls.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case study on the Masan sea outfall plumes discharged through a submerged multiport-diffuser.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ffluent transport for 15 days which cover neap and spring tidal cycles in Masan Bay were conducted using fall velocities of the solid wastes and the initial plume characteristics obtained from normalized near-field characteristic equ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ime variations in near-field minimum dilutions with tidal ambient flow conditions are about $45{\sim}49$. Most of the heavy particles in the effluent plumes were settled and deposited in the vicinity of the outfalls immediately, and the finer particles were transported eastwards 3 km away from the outfalls for 15 days. A similar depositional trend of contaminated sediment was also found during a recent field survey.

  • PDF

Distribution of Fecal Sterols, Nonylphenol,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Surface Water from Masan Bay, Korea

  • Choi, Min-Kyu;Park, Yeon-Su;Moon, Hyo-Bang;Yu, Jun;Choi, Hee-G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36-243
    • /
    • 2010
  • Fecal sterols, nonylphenolic compounds (NP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ere determined in surface water from Masan Bay and its adjacent rivers in February 2005. Concentrations of coporstanol (Cop), an indicator of fecal pollution, in surface water ranged from <10 to 13,853 ng/L, and concentrations of nonylphenol, the most toxic of the NPs, ranged from 10.2 to 481 ng/L, and concentrations of PAHs ranged from 8.61 to 223 ng/L. The concentrations of the compound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lower than or comparable to those at other locatio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contamination of Cop and PAHs in surface water was associated with the discharge from rivers passing through cities and/or industrial complexes. The NP contamination was associated with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effluents through outfalls as well as riverine discharge. Compared to ecotoxicological values, the concentrations of NPs from rivers, the mouths of rivers, and WWTP outfall areas exceeded guidelines, suggesting that hot spot areas may pose a potential risk to sensitive species.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I)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II))

  • 강시환;유승협;오병철;박광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5-44
    • /
    • 2000
  • 1999년 2월에 관측한 수온 및 염분도 분포로부터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 수중방류수에 대한 동계의 근역희석률을 산정하였다. 소조기의 약한 주변유속과 수온약층에 의해 하수플륨이 포착되어 희석률이 30~40정도로 저조했던 하계의 경우와는 달리 동계 소조기의 경우에는 주변해수의 수직적 등밀도혼합이 전 층에서 형성되어 하수플륨이 수표면까지 상승하며 희석률도 90~130정도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CORMIX2 모형의 모의결과에서도 소조기의 약한 유속(Ua=6.0cm/s)의 경우 동계 희석률이 하계 희석률보다 약 3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대조기의 강한 유속(Ua=15.5cm/s)의 경우에는 두 계절의 희석률 차이가 30%정도로 미미하였다. 이는 수중방류 하수의 근역희석 및 혼합과정이 주변해수의 밀도성층 효과보다는 유동성분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