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Subject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ative Review of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 Dimailig, Orlando S.;Jeong, Jae-Yong;Kim, Chul-Seung;Jeong, Jung-Sik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91-99
    • /
    • 2008
  • This paper compares the maritime education of two traditionally maritime countries, Korea and the Philippines, specifically, in their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view focus on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MU) and the Philippine Merchant Marine Academy (PMMA). The paper presents the curricular and training programs of both institutions and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designs and methodology of delivery as contained in the requirements of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1978, as amended in 1995 (STCW 95). It also illustrates the social climate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attitude of maritime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maritime programs offered by the institutions towards the quality of the fresh maritime graduates.

  • PDF

한국과 필리핀의 해기교육에 관한 고찰 (Comparative Review of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 오랜도 디마이리그;정재용;김철승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80
    • /
    • 2010
  •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해기국가인 한국과 필리핀에 있어서 해기교육 중 해상운송교육에 대해서 조사하여 상호 비교한다. 두 국가의 교육기관인 목포해양대학과 필리핀해양대학을 대상으로 하여 검토하였다. 양 교육기관의 교과과정과 교육훈련프로그램 및 STCW의 교육훈련과 당직기준의 요구사항을 포함한 교과과정과 교육체계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 검토한다. 해기교육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 교육기관에서 살행되어야 할 바람직한 해기교육프로그램, 해사관련업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안한다.

선박의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한 HSTPA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STPA Model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Ships)

  • 한기영;정진기;안영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1-447
    • /
    • 2019
  • 해사안전을 위한 비상대응훈련 및 해기교육기관의 안전교육은 정해진 시나리오와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 따른 인적오류 감소와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와 상황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은 부재하다. 본 연구는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해 상황 다변성을 모델링할 수 있는 이론적 절차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선원과 시스템의 유기적 관계에 기반한 인적 및 시스템 이론적 절차 분석 모델(HSTPA)을 정의하고, 각 구성요소들이 발생시킬 수 있는 오류를 분석, 수직적 보고체계와 대응이 요구되는 화재대응 훈련 시나리오에 이를 적용하여 기존 훈련의 한계점을 식별하였다. 제안된 HSTPA 모델을 적용한 훈련 시나리오 고려요소의 세분화 및 점검은 비상대응훈련 및 교육에 있어 다양하고 현실적인 시나리오 생성과 피훈련자들의 상황판단 이해력 및 대응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등교육과정의 우선순위 도출 (Identifying Priority of Subjects for Training Port Logistics Professionals in Secondary Education)

  • 이창훈;강다연;장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837-846
    • /
    • 2011
  • 항만물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은 항만물류분야의 영역과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국가와 기업이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란 현실적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중등교육에 필요한 중요 교과목을 도출하기 위해서 인력 수요 및 공급에 대한 현황 및 예측치를 살펴보고, 국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모형을 구축하여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의사결정의 판단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습선 학생교육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II - 예비항해사 자기평가에 관한 결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Student Training on Board-2 - Based on the Result of Trainees' Self-Checks)

  • 박영수;박상원;김종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1-158
    • /
    • 2018
  • 해양대학 학생들은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기준협약(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 협약)에 의해 1년 항해실습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습 교육 기간에 대한 효과와 더불어 어떤 교육 내용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는지, 또한 교육 과정 중 미진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실습 기간별로 분석하였다. 대상은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에 승선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해사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실습 기간별 향상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실습선 실습 교육의 효율적인 교과 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는 1년간의 실습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실습생들이 핵심 역량 항목에서 향상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화물관리, 해양환경보호 등과 같은 일부 항목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어 실습 교육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운환경 변화에 따른 해기사 교육의 개선책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Mariner's Education and Training with Changes of International Maritime Environment)

  • 양시권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7
    • /
    • 1993
  • As the education of maritime college has a characteristics of seafaring professional institutions, the potential benefit following from the employment of seafarers would put substantial impact on it. The socio-economic position of seafaring occupations has been deteriorated considerably with changes of ship's auto-mation, specialisation and low cost operation management of shipping companies through severe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e quality and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maritime college has declined and most students have no hopes for the study of seafaring subjects which followed bewildering in their college days. However, the demands for seafarers are fairly large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maritime industry. The maritime institutions should not only meet these demands but also revitalise students by reforming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contents should be influenced by the social approach to educational needs in particular maritime shore-oriented subjects. The maritime education is no more restricted to the sea, it covers the land based world of the maritime industry as well. The new contents will lead the maritime educated students to the shore-based occupa-tions after finishing their seafaring if they want to. This may not only make ways to the maritime educa-tion fruitable, but also the students have a zeal and hope for the subjects taught.

  • PDF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이 선박승무원의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The Effects and Continuum of CPR Education Program on CPR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in Seafarers)

  • 김재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301-130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PR education programs on seafarers and the retention period of the knowled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seafarers who took safety training courses at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The seafarers were tested for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before, immediately after, 1 month after, and 3 months after the CPR education program.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and t-test, and ANOVA was measured repeatedly using an SPSS statistical program.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education as compared to pre-educ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were consistent when tested after 1 month, but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tested three months later. Therefore, to maintain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in performing CPR, appropriate renewal times are necessary in regular seafarers' safety training centers and sailing vessels.

An Analysis of Major Maritime Casualty from Bridge Resource Manage

  • Kim, Thi Thu Lan;Jeong, Jae-Yong;Jeong, Jung-Sik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5
    • /
    • 2011
  • This report represents analysis of the maritime casualty in terms of Bridge Resource Management. We evaluate the attitudes and knowledge of bridge officer regarding human factors issu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causal to mishaps in high-risk situations. So to reduce human errors our goal is to establish effective officer resource management (ORM) program which is based on all subjects for cadets in IMO model course. In harmonization with STCW(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as the result, the curriculumss in the maritime education institutions is surveyed to improve our education system and then reduce the human errors by mariners at sea.

  • PDF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 제도의 개정에 관한 고찰 - 해양오염방지법과 해양환경관리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in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Ol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ct" and New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

  • 김광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국내에서는 해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양오염방지관리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07년 1월 19일 해양환경관리법(법률 제8260호)이 제정되어 2008년 1월 20일부터 시행으로 됨으로써 1977년 제정되어 시행되어 오던 해양오염방지법이 폐지됨에 따라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 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주요 개정 내용은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과정, 교육훈련대상자, 해양오염방지관리인 업무내용 및 준수사항, 해앙시설의 범위, 교육과목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