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ranch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19초

부소파제의 부체 개발을 위한 기초적 실험연구 (A Preliminary Experiment Study for Development of Floater of Floating Breakwater)

  • 정동호;김현주;김진하;문덕수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02-107
    • /
    • 2004
  • New designed floating breakwater made of Polyethelener with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 for being harmony with environment and stability of the floater is developed for a marine ranching. Model experiment in order to test its capability is performed for the regular and irregular waves in ocean engineering basin. Good capability to break the incident wave within the 6 second of period and 1 m of height is shown. Breaking efficiency for long period wave is not so good in regular and irregular wa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floating breakwater.

  • PDF

현수법과 모델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유영자세각과 체장에 따른 음향 후방산란강도 (Target strength estimation by tilt angle and size dependence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using ex-situ and acoustic scattering model)

  • 윤은아;김기선;이인태;조현정;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2호
    • /
    • pp.152-159
    • /
    • 2017
  • Rockfish was a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pecie in marine ranching areas in Korea. To estimate density and biomass of rockfish using acoustic method, target strength (TS) information is required on the species. This study measured TS dependence on tilt angle and size on 14 live rockfish individuals at 38, 70, and, 120 kHz by ex-situ measurement (tethered method) and acoustic scattering model (Krichhoff ray mode, KRM). The swimbladdered angle ranged from 18 to $30^{\circ}$ ($mean{\pm}s.d.=26{\pm}4^{\circ}$). The mean TS for all individuals was highest -35.9 dB of tilt angle $-17^{\circ}$ at 38 kHz, -35.4 dB of tilt angle $-25^{\circ}$ at 70 kHz, and -34.9 dB of tilt angle $-22^{\circ}$ at 120 kHz. The ex-situ TS-total length (TL, cm) relationships were $TS_{38kHz}=20log_{10}(TL)-67.1$, $TS_{70kHz}=20log_{10}(TL)-68.6$, and $TS_{120kHz}=20log_{10}(TL)-69.9$, respectively. The model TS-total length (TL, cm) relationships were $TS_{38kHz}=20log_{10}(TL)-66.4$, $TS_{70kHz}=20log_{10}(TL)-67.0$, $TS_{120kHz}=20log_{10}(TL)-67.0$. The two measurements between the ex-situ TS and KRM model for TS-tilt angle and fish siz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음향 텔레메트리 기법에 의한 인공어초 지역에서의 조피볼락의 이동범위 및 일주행동 측정 (Acoustic Telemetrical Measurement of the Movement Range and Diurnal Behavior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t the Artificial Reef)

  • 신현옥;태종완;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9-136
    • /
    • 2005
  • The movement ranges and diurnal behavior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sonic tagged externally were measured by the acoustic telemetry in the marine ranching area of Tongyoung on 20 to 26 March and 4 October to 3 November, 2003.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wo cage cultured fishes (body length: $30-34{\cal}cm$) were released the point where located approximately $250{\cal}m$ from the caught point on 30 March, 2003. They moved to the south $500{\cal}m$ away Sojangdudo and stayed within a $500{\cal}m$ radius of the position during the study. 2. Three wild fishes (body length: $28-32{\cal}cm$) were released around the caught point on 4 and 8 October, 2003. It was often measured that tagged fishes moved out the $500{\cal}m$ radius of released point for a week after release. After several days, the movement range tended to be reduced. Finally, they stayed within the $250{\cal}m$ radius of released poi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iurnal behavior of the rockfish between the cage cultured and the wild fishes. The movement range, however, for the night-time was a little wider than for the day-time.

2000$\sim$2007년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환경요인의 영향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변화 (Variations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Affecting b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 정승원;권오윤;주형민;이진환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03-312
    • /
    • 2007
  •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10개 정점의 표.저층에서 계절별 조사를 원칙으로 총 24회 조사하였다. 수온은 각 계절별 차이가 뚜렷한 전형적인 온대성 기후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염분은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에 따른 고염분과 여름철 장마와 폭우에 따라 낮은 염분농도를 보였다. 부유물질은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투명도는 계절별로 여름철에 6.0 m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 중 용존무기질소, 인산염, 규산염의 각각 평균 21.75 ${\mu}M$, 0.90 ${\mu}M$, 14.38 ${\mu}M$을 보여 중영양 해역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분석된 요인들에 대해 정점별 차이가 거의 없어 동일 해역으로 판단되었으며, 표.저층간은 암모니아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차이를 보였고, 계절별로도 구별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철에 $4.36\times10^5$ cells $L^{-1}$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계절에는 평균 $1.13\times10^5$ cells $L^{-1}$로 유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온대 연안 해역에서는 봄철과 가을철에 증가를 보이는 bimodal pattern이 발생되나, 본 해역에서는 가을철에만 증가를 보이는 unimodal pattern을 나타내었다. 엽록소 a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변화양상과 유사하였으며, 다른 계절에 비해 가을철에만 높은 농도를 보였다. 본 해역에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요인들은 수온 및 염분이며 영양염류 중 규소와 인이 성장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중 가청음에 의한 볼락의 청각 능력 2. 청각 임계비 (The Hearing Ability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to Underwater Audible Sound 2. The Auditory Critical Ratio)

  • 이창헌;서두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1-155
    • /
    • 2001
  • 해양 목장에서 음향 순치 대상 어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볼락의 청각 문턱치를 기본으로 하여 음향 어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볼락의 백색 잡음에 대한 청각 임계비와 학습 및 유집을 위한 방성 음압 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압 73, 78, 83dB의 3단계 백색 잡음을 방성하였을 때 볼락의 청각 문턱치는 백색 잡음이 없을 때보다 높게 나타나 마스킹 현상이 나타났고, 주파수 300Hz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볼락의 청각 임계비는 측정 주파수 80, 100, 200, 300, 500, 800Hz에서 음압이 대략 28, 34, 26, 30, 47, 52dB이고 마스킹 현상은 주파수 300Hz에서 음압 65dB의 잡음 레벨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그 외의 주파수에서는 음압 68dB 이상에서 나타났으며, 볼락이 주파수 $200\~300$Hz에서 신호음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음압 96dB 이상, 잡음 레벨보다 약 26dB 이상의 높은 음압이 요구되었다.

  • PDF

서해 군산 연안에서 새우조망으로 어획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Shrimp Beam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 Gunsan of West Sea)

  • 한인성;엄기혁;권정노;박경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211-220
    • /
    • 2016
  • Species composition of aquatic organism in the marine ranching area of Gunsa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shrimp beam trawl from May to December in 2010. A total of 91 species, $98,127ind./km^2$ and $877.6kg/km^2$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Among them, species were included 60 species in Pisces, 21 in Crustacea and 10 in Mollusca. The individual 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10% of total individuals, were Latreutes anoplonyx($47,327ind/km^2$, 48.23%), Crangon hakodatei($11,578ind./km^2$, 11.80%) and Trachysalambria curvirostris($10,237ind./km^2$, 10.40%). And the biomass dominant species, occupying over 9% of total biomass, were Paralichthys olivaceus($135kg/km^2$, 15.4%), Okamejei kenojei($98.2kg/km^2$, 11.2%) and Portunus tribuberculatus($84.8kg/km^2$, 9.6%). From the cluster and MDS analysi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of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per unit area collected more than two times during this survey by each month and station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Group A showed seasonal similarity of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in August and November, Group B in December and Group C in May.

부소파제의 부체 개발을 위한 기초적 실험 연구 (A Preliminary Experiment Study for Development of Floater of Floating Breakwater)

  • 정동호;김현주;김진하;문덕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7
    • /
    • 2006
  • 해양의 활용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방파제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특히 친환경적인 부소파제의 활용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폴리에틸렌 파이프와 시트를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부소파제용 부체를 개발하며, 이에 대한 소파 성능평가를 위하여 기초적 실험연구를 수행한다. 입사되는 파랑은 연결된 파이프와 시트를 통과하면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되는데, 투과되는 파랑은 파이프를 지나면서 와류유기가 발생하여 파랑 에너지가 소멸된다. 따라서 입사파랑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발된 부체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규칙파 및 붙규칙파에 대한 수리모형 실험을 수행한다. 입사파랑 주기가 6초 이하 조건에서는 소파 성능이 양호하였으나, 장주기의 입사파랑에 대해서는 부체 전체가 해수면과 같이 거동하면서 소파성능을 거의 나타내지 못하였다. 향후 소파성능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 PDF

조피볼락의 청각 임계비 (The Auditory Critical Ratio of the Black Rock Fish Sebastes Schlegeli)

  • 박용석;이창헌;김고환;서두옥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00
  • 해양목장에서 음향순치 대상 어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피볼락의 청각능력을 파악하여 해양목장화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피볼락의 백색잡음에 대한 청각 임계비와 학습 및 유집을 위한 방성음압 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압 74, 78, 83의 3단계 백색잡음을 방성하였을 때 조피볼락의 청각문턱치는 백색잡음이 없을 때보다 높게 나타나 마스킹 효과가 나타났고, 주파수 300Hz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피볼락의 청각임계비는 측정주파수 80, 100, 200, 300, 500, 800Hz에서 음압이 대략 21, 19, 22, 30, 54, 46dB이고 마스킹 현상은 주파수 300Hz에서 음압 65dB의 잡음레벨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그외의 주파수에서는 음압 70dB이상에서 나타났으며 주파수 100 - 200Hz에서 신호음을 인식하기위해서는 음압 90dB이상, 잡음레벨보다 약 20dB이상의 높은 음압이 요구되었다.

  • PDF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near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of Korea)

  • 황강석;서인수;최병미;이한나;오철웅;김미향;최창근;나종헌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286-296
    • /
    • 2014
  •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154종, 44.64%와 193,320개체, 83.37%의 점유율을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한편 연구해역의 주요 우점종으로 다모류의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는 124,385개체 (평균 $3,110{\pm}4,434$개체 $m^{-2}$), 53.64%의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Magelona sp.1이 16,130개체 (평균 $403{\pm}926$개체 $m^{-2}$)로 6.96%를 차지하였다. 이 밖에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및 이매패류의 겨자씨조개 (Alvenius ojianus)의 순서로 각각 6,325개체(2.73%), 5,010개체 (2.16%) 및 4,820개체 (2.08%)가 출현하였다. 한편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그룹과 1개의 정점 (5월의 정점 4)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그룹 1은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2, 3, 5, 6, 8 및 9가 포함되었고, 환경적으로 30~60 m 내외의 수심과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본 그룹에 속하는 대형저서동물은 총 282종(평균 $66{\pm}15$종)과 7,471개체 $m^{-2}$의 밀도에 다모류의 Magelona sp.1, 긴자락송곳갯지렁이, 삼각모자갯지렁이(Scoloplos armiger), 꼬리대나무갯지렁이 (Praxillella affinis),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와 겨자씨조개 등이 주요한 구성종이었다. 반면 그룹 2는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1, 4, 7 및 10으로 구성되었고, 환경적으로 수심과 퇴적상은 각각 5m 내외의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었다. 또한 생물적으로는 181종 (평균 $37{\pm}18$종)과 3,287개체 $m^{-2}$를 나타내었고,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와 다모류의 Lumbrineriopsis sp.이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연안으로 부터의 이격정도와 그에 따른 수심과 퇴적물의 조성차이에 의해 그 구조를 달리하고 있었다.

강제어초의 효율성에 관한 현장조사 (Field Investigation on the Efficiency of the Artificial Steel Reefs)

  • 서성호;이영권;이익효;김대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67
    • /
    • 2007
  • As part of the government's fishery resource creation policy, fishing ground creation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in Korea's major seashore fishing spots since the 1970s, where artificial reefs constructed using new materials that make up for the weakness of concrete reefs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hese artificial reefs when acted upon by external forces, their ability to attract and gather fish, and their economic feasibility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artificial steel reef was constructed and was installed in an area of the sea. Then the corrosion of the experimental material attached to it was investigated. The efficiency of the artificial steel reef was then verified by examining its functionality, removal, and burying, as well as the speed of insertion of living things into its structure and its ability to attract and gather 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