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ornamental fish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초기 자어의 최적 성장과 생존을 위한 먹이생물 급이 계열 (Feeding Regime of Phyto- and Zoo Live Food Organisms for the Optimum Growth and Survival of Maroon Clown fish, Premnas biaculeatus Early Larvae)

  • 김종수;노섬;최영웅;김원평;정민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6-62
    • /
    • 2009
  • Feeding regimens was investigated for the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in order to establish a seed production technique for this fish. Three types of feeding regimens were used, and growth and survival were highest under the following regimen: rotifer from day 0, Artemia from day 4, copepod from day 9 and artificial food from day 15, respectively (P<0.05). The average body lengths of the larvae were $6.76{\pm}0.55\;mm$, $7.63{\pm}0.50\;mm$ and $7.33{\pm}0.43\;mm$ in the Nannochloropsis oculata, Isochrysis galbana and control treatments conducted with 3 larvae/L, respectively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rval growth between the treatments and controls conducted with 6 larvae/L and 9 larvae/L, respectively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 oculata and I. galbana treatment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rval growth between the treatments at densities of 3-9 larvae/L (P>0.05). At highest density level, the larvae reared in I. galbana had the highest survival rate whereas survival was lowest in the control.

베타(Betta splendens)의 부화 후 로티퍼(Brachionus calyciflor)와 물벼룩(Moina macrocopa)의 섭취, 소화속도 및 성장 (The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and Water Flea Moina macrocopa as Alternative Foods for Production of th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 권오남;박기영;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3-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an ornamental fish, such as the fighting fish, Betta splendens would respond to the use of freshwater live-prey, such as rotifers Brachionus calyciflorus and water fleas Moina macrocopa. Ingested quantity, digestive velocity and somatic growth were compared between larvae fed a freshwater rotifer and those fed boiled yolk. Food efficiency and somatic growth were compared between larvae that were fed freshwater water fleas and those fed a micro-diet developed for flounder ($250{\mu}m$, I-hwa Ltd.). The number of rotifers ingested by larvae reached a maximum of 191 per day. However, based on the number ingested per hour and the digestive velocity of consumed rotifers, the maximum ingestible and digestible number of rotifers was calculated to be 272 per day. A maximum of 67 individuals (mean, 49.8 individuals) could be completely digested within the 1-h period from 90 to 180 min after feeding. Somatic growth was enhanced in larvae that were fed rotifers compared to those fed boiled yolk. Larvae exhibited greater growth at rotifer densities of 30 and 40 per mL than at lower densities. Among the water-flea (M. macrocopa and Bosmina sp.) and micro-particle diets, feeding with M. macrocopa resulted in the greatest somatic growth of larvae during the water-flea feeding stage.

Cinnamon Clownfish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산란 행동 및 Clownfish류의 부화장치 개발 (Spawning Periodicity and Behavior of Amphiprion melanopus and Development of Mass Hatching System for Clownfishes)

  • 노경언;노섬;신상옥;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2호
    • /
    • pp.133-141
    • /
    • 2011
  • 본 연구는 Amphiprion melanopus의 산란 주기 행동 및 산란 후 습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화장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중 수온, 염분 및 광주기가 일정한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된 4쌍의 어미들은 산란주기 및 횟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반면, 수정 후 알 관리는 수컷에 의해서 주로 관리가 되었다. 부화일이 가까워질수록 수컷의 eggfanning 횟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부화 직전에 더욱 격렬한 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에어레이션형, 스프레이형, 회전 수류형 등 3종의 부화장치에 대한 clownfish류 4종의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회전 수류형 시스템의 부화율이 87.3%로 스프레이형(74.4%)과 에어레이션형(60.5%)보다 높았다. 그리고 회전수류형에서 부화판 개수별(2, 3, 5개)에 따른 부화율은 서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부화자어의 사육 크기를 고려하여 수조 크기를 결정하면 많은 개수의 부화판을 넣어 대량으로 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Anti-fatigue activity of a mixture of seahorse (Hippocampus abdominalis) hydrolysate and red ginseng

  • Kang, Nalae;Kim, Seo-Young;Rho, Sum;Ko, Ju-Young;Jeon, You-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1-3.8
    • /
    • 2017
  • Seahorse, a syngnathidae fish, is one of the important organisms used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Hippocampus abdominalis, a seahorse species successfully cultured in Korea, was validated for use in foo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February 2016; however. the validation was restricted to 50% of the entire composition. Therefore, to use H. abdominalis as a food ingredient, H. abdominalis has to be prepared as a mixture by adding other material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 abdominalis on muscles was investigated to scientifically verify its potential bioactivity. In addition, the anti-fatigue activity of a mixture comprising H. abdominalis and red ginseng (RG) was evaluated to commercially utilize H. abdominalis in food industry. H. abdominalis was hydrolyzed using Alcalase, a protease, and the effect of H. abdominalis hydrolysate (HH) on the muscles was assessed in C2C12 myoblasts by measuring cell proliferation and glycogen content. In addition, the mixtures comprising HH and RG were prepared at different percentages of RG to HH (20, 30, 40, 50, 60, 70, and 80% RG), and the anti-fatigue activity of these mixtures against oxidative stress was assessed in C2C12 myoblasts. In C2C12 myoblasts,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caused a decrease in viability and physical fatigue-related biomarkers such as glycogen and ATP contents. However, treatment with RG and HH mixtures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the content of fatigue-related biomarkers. In particular, the 80% RG mixture showed an optimum effect on cell viability and ATP synthesis activity. In this study, all results indicated that HH had anti-fatigue activity at concentrations approved for use in food by the law in Korea. Especially, an 80% RG to HH mixture can be used in food for ameliorating fatigue.

자연혼합배양에 의한 초기 먹이생물의 종 조성 변화 (Variations of Species Composition of Early Feeding Organisms Through Nature Mixed Culture)

  • 정민민;오봉세;구학동;이창훈;양문호;문태석;김삼연;김형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연혼합배양(nature mixed culture)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해수관상어를 사육하는데 성공하였고 자연혼합배양수조에서 해수관상어의 자어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생존 가능하였다. 자연혼합배양수조에 출현한 플랑크톤성 미소생물은 모두 34종이었으며 그 중에는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n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letonema costatum과 Licmophora sp와 같은 규조류가 19종,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o-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과 Micromonas sp.와 같은 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1종의 섬모충으로서 Mesodinium rubrum가 관찰되었다. 한편, 미소생물 종 중에서 편모조류의 한종인 Chrysochromulina sp.는 사육기간 동안 우점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배양 개시 후 10일째부터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였다.

한국산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출산과 초기성장 (Parturition and Early Growth of Crowned Seahorse, Hippocampus coronatus in Korea)

  • 최영웅;노섬;정민민;이영돈;노경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체색의 변화가 다양하여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Hippocampus coronatus의 안정적인 번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막만과 여자만 부근해역의 잘피밭에서 채집 한 후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어미의 출산특성, 자치어의 성장 및 초기자어사육에 알맞은 먹이조건을 조사하었다. $7{\sim}11$월에 가막만과 여자만에서 출현한 체장(SL) $53.91{\sim}87.31 mm$ (평균 $77.76{\pm}9.84 mm$, n=12) 범위의 개체들이 실험실내에서 $6{\sim}75$ 개체(평균 39 ind./male/time)를 출산하였다. 출산 직후 자어의 크기는 $11.69{\sim}15.81 mm$(평균 $13.7{\pm}1.3 mm$, n=15)였고 몸통과 꼬리의 체륜수는 10 그리고 39개였으며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 줄기수는 각각 12, 14 그리고 4개였다. 출산 후 60일에는 $23.48{\sim}25.29 mm$ (평균, $24.65{\pm}0.83 mm$, n=4)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0.18 mm/day였다. Copepod와 Artemia를 혼합 공급하여 포식량을 조사한 결과 출산 후 5일째에 copepod nauplii의 포식량은 평균 21 ind./larva/hour였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은 평균 3 ind./larva/hour로 copepod nauplii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출산 후 30일째에는 copepod nauplii에 대한 포식량이 평균 5 ind./larva/hour, 그리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이 평균 9 ind./larva/hour로 성장함에 따라 Artemia napulii에 대한 포식량이 증가하였다. 생존율을 고려한 먹이 공급방법에 있어서 Artemia nauplii와 copepod nauplii를 혼합 공급할 경우 생존율은 출산 후 50일에 48.9%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의 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1) 산란과 난 발생 및 자치어 사육 (Studies on Seed Production of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1) Spawning, Egg Development and Larvae Culture)

  • 윤영석;노섬;최영웅;김종수;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4
    • /
    • 2005
  • Clownfish는 세계적으로 해양수족관과 관상어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주요 종으로 점차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태국 Burapha대학에서 이식해 온 부화 후 2개월 된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2마리(S1, S2)와 2004년 5월에 인도네시아로부터 이식한 5마리$(S3{\sim]S7)$를 사용하여 인공종묘 생산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어미의 관리, 산란과 난 발생 및 자치어의 성장과 사육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1과 S2의 첫 산란은 부화 후 2개월째인 2002년 8월 11일 이었고, 이 때 S1의 전장은 11.4 cm, S2는 8.8 cm였다. 이후 2003년 10월까지 7회의 산란이 일어났으나, 모두 수정이 되지 않았다. 2003년 11월에 수컷 행동을 해온 S2가 폐사하여 생식소를 확인한 결과 미숙한 단계의 암컷이었다. 2004년 5월에 인도네시아산 5마리(전장 $5.2{\sim}8.5cm$)를 S1이 있는 수조에 수용한 결과 S1과 S3가 짝을 지었고, 수용 32일째에 산란이 일어났다. 알은 타원형으로 알색은 선홍색이었고 침성점착란 이었다. 수정란은 장경 $2.46{\pm}0.13mm$, 단경 $0.96{\pm}0.03mm$이었고, 수정률은 96.7%였다. 수정난의 발생은 수온 $26{\pm}0.5^{\circ}C$에서 수정후 1시간 40분에 2세포기, 5시간 40분후에는 상실기에 이르렀고 수정 후 23시간 후에는 배체를 형성하였다. 부화는 산란 7일째(수정 후 $152{\sim}155$시간)소등 후 $1{\sim}3$시간사이에 대부분이 일어났으며 부화율은 85.5%였다. 부화자어의 전장은 $4.58{\pm}0.21mm$로, 입과 항문이 열린 상태였다. 부화 후 1일째 자어는 난황이 완전히 흡수된 상태로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전장은 $4.90{\pm}0.35mm$였다. 부화 후 5일째 자어는 전장 $5.88{\pm}0.31mm$, 생존율은 48.6% 이었고 부화 후 8일째 자어는 변태를 시작하여 부화 후 23일 째에 평균 전장이 $15.00{\pm}2.12mm$에서 변태가 완료되었다. 부화 후 45일째 치어는 전장이 $22.76{\pm}3.22mm$, 생존율은 28.4%였다.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의 산란습성과 난 발생 및 자치어의 외부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Egg and Larvae Developments of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 김종수;최영웅;노섬;윤영석;정민민;송영보;이치훈;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6-105
    • /
    • 2007
  • 해수관상어의 한 종인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의 안정적인 종묘생산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자연산란 후 난 발생과 초기생활사를 구명하였다. 짝짓기 및 산란 후 수컷과 암컷은 가슴지느러미와 입을 이용하여 알 관리를 하였으며, 주로 수컷이 하였다. 수정란은 진홍색을 띤 분리 침성부착란으로, 장경 1.95-2.01 mm ($1.99{\pm}0.03\;mm$), 단경 0.83-0.91 mm ($0.88{\pm}0.03\;mm$)의 타원형이었다. 수온 $27.0{\pm}0.5^{\circ}C$ 조건하에서 수정 1시간 10분경과 후에 최초 난할이 시작되어 2세포기가 되었다. 수정 후 23시간 40분에는 배체가 형성되었고, 부화는 120-150시간 사이에 이루어졌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10-3.44 mm (평균 $3.22{\pm}0.07\;mm$)로 타원형의 적갈색 난황(평균 장경 $0.58{\pm}0.08\;mm$, 평균 단경 $0.46{\pm}0.04\;mm$)을 복부 전반부에 가지고 있었으며, 근절 수는 9+17=26개이고 입과 항문은 열려있었다. 부화 후 10일째 치어는 전장 5.64-6.89 mm (평균 $6.21{\pm}0.69\;mm$)로 성장하였고, 등지느러미 28개, 뒷지느러미 17개, 꼬리지느러미에 28개의 기조수를 보였다. 부화 후 19일째 치어의 전장은 8.32-10.98 mm (평균 $9.34{\pm}1.11\;mm$)이었고, 3개의 백색 가로띠가 주황색 몸체에 생기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