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industrial polic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외 해양생명공학 산업시장의 장기예측 및 함의 (Long-term Outlook and Implications of the Marine Biotechnology Market in Korea and Abroad)

  • 장덕희;강길모;채기영;김수지;조민주;차정미;함현경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93-105
    • /
    • 2013
  • Th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is very significant as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s one of the driving forces for economic growth in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However, the marine biotechnology market has been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the biotechnology industry market which made difficult for creating separate research areas in relation to the scope of the relevant industry market as well as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its own R&D policy strategi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executed to estimate the future long-term market value of the marine biotechnology within the limit of industrial field and to verify the importance of national R&D investment in marine biotechnology on the basis of estimations within the industrial perspective. To this end, we classified th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into the four sub-sectors and estimated the domestic and global industrial market in 2010 and 2024.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domestic and global market of th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will see a remarkable growth by 2024. In particular, the bio-energy, pharmaceutical and functional foods industry markets will achieve astonishing advanc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Korea has to establish more progressive and aggressive R&D investment strategies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해양경제특구의 성공 요인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Marine Special Economic Zone)

  • 송계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1-68
    • /
    • 2015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해양경제특구'의 지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해양은 새로운 자원 확보 및 국가적 역량제고에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을 제공하며, 특히 중국, 일본 등 동북아 주변국의 국가 차원의 해양산업 발전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나 국내 항만정책은 그간 양적성장 위주로 추진되어와 발전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해양산업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 전략 필요한 시점에 와 있으며, 이에 '해양경제특구'의 지정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경제특구'의 지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성공적인 개발을 통한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경제특구'를 지정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성공 요인분석을 하였다.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 요인 중 대분류 세 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주관적인 요인"이 4.11점, "산업환경적인 요인"이 3.89점, 그리고 "정부정책적인 요인"이 3.72점이었다. 세 가지 요인 중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아 결국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입주기업 스스로가 집중화된 시장전략 및 친시장 능력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산업환경적인 요인과 정부정책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은 각각 3.89점 및 3.72점을 기록하여 주관적인 요인보다는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이다. 즉, 주관적인 요인의 평균평점이 월등히 높다는 것은, '해양경제특구'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입주업체 스스로가 가장 우선적으로 (1) 집중화된 시장전략 및 친시장적인 능력을 확보하고, (2) 신속한 고객 욕구 충족 및 신뢰성을 확보하며, (3) 특구 내 해양산업 분야 간 연계발전 모델 정립을 통한 경쟁력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해양환경법제 분석과 전개방향에 관한 고찰 (Prospects for Building a Legal System for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China)

  • 양희철;박성욱;박수진;권석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89-107
    • /
    • 2008
  • Marine environment is subject serious destruction because of frequent accidents during exploration of marine resources and overseas transport. Also, as many industrial enterprises discharge high volume of wastes and contamination, marine pollution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people (especially in China). China is quickly becoming a world economic leader of the 21st centur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es have raised the standard of living of millions of the Chinese, mainly in the areas of East and South East coast.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is often followed by deterior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rarely turned around until a country has increased its standard of living. Solving these array of problems will take decades and currently the government is addressing minor specific issues only. Fortunate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enacted a number of marine pollution control laws. On 25 December 1999, the 13th Session of the Ninth Standing Comme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passed the amended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Law establish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relevant departments concerning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nd provides for two new chapters on "Marine Environment Supervision" and "Marine Ecological Protection", along with "Supervision of Pollution Prevention for Marine Construction Projects", "Marine Ecological Protection" and "Marine Environment Pollution Prevention for Marine Construction Projects". Also, the Law was amended with provisions for integrated pollution discharge control system and oil spillage emergency response plan and enhanced legal responsibilities. Chinese government recognizes that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ience can be useful for China to prevent further ecological degrad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서산 대산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arine Industrial Cluster in Seosan-Daesan Port)

  • 윤경준;서수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38
    • /
    • 2019
  • 서산 대산항은 중국 주요항만과 최단거리에 위치한 대중국 교역의 최적항만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배후지역에 석유화학, 자동차, 전자부품단지 등 산업인프라가 잘 갖추어 있을 뿐 아니라 최근에는 상업항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항만시설 개발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해양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통한 종합항만으로서의 발전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산 대산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추진 시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해양산업 클러스터 지정 요건의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둘째,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중앙 권한의 지방 이양이 요구된다. 셋째, 해양산업 클러스터 구축 관련 지자체(서산시 및 충청남도) 거버넌스 구조 변화가 요구된다. 넷째, 향후 서산 대산항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시 상업항으로서의 발전가능성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산 대산항의 해양산업 클러스터 추진을 위한 지역 내 논의와 여론 조성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N-정책을 갖는 Push-Pull 대기행렬 시스템의 분석 (Analysis of the Push-Pull Queueing System under the N-Policy)

  • 김수연;김남기;김진동;이상민;채경철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7-302
    • /
    • 2005
  • Kopzon and Weiss adopted the notion of push-pull into the queueing system recently. We extend this queueing system to the ($N_1,N_2$)-policy version such that the original system corresponds to the special case $N_1=N_2=1$. For the extended system, we perform the cycle analysis and obtain the PGF of the stationary number of customers in the system.

해양과학기술(MT)의 현안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arine Technology(MT) Strategy and Its Implementation Plan)

  • 강길모;오위영;권문상;박세헌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22
    • /
    • 2006
  • 해양은 인류가 앞으로 풀어야 할 숙명적인 문제인 식량문제, 자원문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산 학 연 전문가가 참여하여 추진한 $\ulcorner$해앙과학기술(MT) 개발 계획$\lrcorner$ 이 2004년 7월 28일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에 통과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MT 개발을 추진할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2005년 6월부터 $\ulcorner$MT개발기획$\lrcorner$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해양과학기술 로드맵(MTRM) 수립을 추진하여 2005년 12월에 완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T의 국내외 기술개발동향과 현재 직면한 현안문제 및 MTRM수립 결과를 고찰하고, MT R&D 전문기관 설치 운영 및 예산확보 등 MT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해양산업시설 적용 가능한 최적기술 도입의 사회영향평가 (Social Impact Assessment of Introduction of Best Available Technology in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 강원수;이문진;최훈;김계원;박영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6-117
    • /
    • 2023
  •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이 미치는 사회영향을 평가하고, 기술근거배출허용기준 설정과정에서 요구되는 사회영향평가 항목 및 방법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해양산업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및 산업에 대한 영향은 '큰'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대기업은 영업이익손실과 도산가능성, 그리고 고용손실의 영향이 적었고, 소기업과 중기업은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및 경제에 대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직접적으로 인과관계를 지니는 어업생산자나 지역관광종사자, 그리고 해당 지역은 그 영향이 집중되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세심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술근거배출허용기준의 설정방법에서 사회적 손실비용 및 사회적 편익산정 항목과 방법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과학기술(MT) 현안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arine Technology(MT) Strategy and Its Implementation Plan)

  • 강길모;오위영;이미진;권석재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지
    • /
    • pp.125-132
    • /
    • 2005
  • 해양은 인류가 앞으로 풀어야 할 숙명적인 문제인 식량문제, 자원문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산$\cdot$$\cdot$연 전문가가 참여하여 추진한 「해양과학기술(MT) 개발 계획」이 2004년 7월 28일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에 통과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MT개발을 추진할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2005년 6월부터 「MT개발계획」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해양과학기술 로드맵(MTRM)을 추진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MT의 국내외 기술개발동향과 현재 직면한 현안문제 및 MTRM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MT R&D 전문기관 설치$\cdot$운영 및 예산확보 등 MT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by the Concordance Test

  • Yhang, Wii-Joo;Lee, Sang-Ho;Jun, Jae-K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23-628
    • /
    • 2007
  • By employing primarily the Kendall's Concordance Test, the paper attempted to conduct an experts' evaluation on the interaction among the agents in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and recommend some measures for policy consideration for the cluster's activation. For this purpose,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to guide the assessment by using inter-agent cooperation and network approaches regarding the nature of the marine tourism cluster. Such factors as cooperation, competition, relationship marketing, and networking were identified as critical.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is at its embryonic stage and needs desperate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networking, the maj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marine tou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