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fungi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Zinc Undecylenate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와 둥근성게(Mesocentrotus nudus)의 배아발생에 미치는 독성 영향 (Toxic Effect of Zinc Undecylenate on the Embryogenesis of Sea Urchins Hemicentrotus pulcherrimus and Mesocentrotus nudus)

  • 최훈;박윤호;이주욱;이승민;최윤석;황운기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살균제, 항진균제 등의 의약품을 포함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신방오도료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된 바 있는 Zinc undecylenate (ZU)를 이용해 연안환경 내 1차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성게 2종(H. pulcherrimus, M. nudus)에 대한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ZU에 대한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수정률 EC50은, 각각 11.27 mgl-1과 1.48 mgl-1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배아 발생률의 EC50은 각각 0.94 mgl-1와 3.78 mgl-1로 나타났으며, NOEC는 0.20 mgl-1, 0.78 mgl-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성게 2종과 문헌조사를 통한 연안양식생물 2종의 급성독성결과를 이용하여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를 계산하였다. PNEC 값은 0.0094 mgl-1로 나타났으며, 위와 같은 결과는 해양환경 오염물질에 대한 환경보호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scophyllum and Its Symbionts. VII. Three-way Interactions Among Ascophyllum nodosum (Phaeophyceae), Mycophycias ascophylli (Ascomycetes) and Vertebrata lanosa (Rhodophyta)

  • Garbary, David J.;Deckert, Ron J.;Hubbard, Charlene B.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53-361
    • /
    • 2005
  • Ascophyllum nodosum (L.) Le Jolis has a systemic infection with the ascomycete Mycophycias ascophylli (Cotton) Kohlmeyer and Volkmann-Kohlmeyer with which it establishese a mutualistic symbiosis. In addition, A. nodosum is the host for the obligate red algal epiphyte, Vertebrata lanosa (L.) Christensen.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 describe morphological and cytochemical changes occurring as a consequence of rhizoid penetration of V. lanosa into cortical host tissue. Rhizoids induce localized cell necrosis based on physical damage during rhizoid penetration. Host cells adjacent to the rhizoid selectively undergo a hypersensitive reaction in which they become darkly pigmented and become foci for hyphal development.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show that M. ascophylli forms dense hyphal aggregations on the surface of the V. lanosa rhizoid and extensive endophytic hyphal growths in the rhizoid wall. This is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of an interaction between M. ascophylli and V. lanosa. We speculate that M. ascophylli may be interacting with V. lanosa to limit tissue damage to their shared host. In addition, the fungus provides a potential pathway for the transfer of materials (e.g., nutrients and photosynthate) between the two phototrophs.

Genome Shuffling of Mangrove Endophytic Aspergillus luchuensis MERV10 for Improving the Cholesterol-Lowering Agent Lovastatin under Solid State Fermentation

  • El-Gendy, Mervat Morsy Abbas Ahmed;Al-Zahrani, Hind A.A.;El-Bondkly, Ahmed Mohamed Ahmed
    • Mycobiology
    • /
    • 제44권3호
    • /
    • pp.171-179
    • /
    • 2016
  • In the screening of marine mangrove derived fungi for lovastatin productivity, endophytic Aspergillus luchuensis MERV10 exhibited the highest lovastatin productivity (9.5 mg/gds) in solid state fermentation (SSF) using rice bran. Aspergillus luchuensis MERV10 was used as the parental strain in which to induce genetic variabilities after application of different mixtures as well as doses of mutagens followed by three successive rounds of genome shuffling. Four potent mutants, UN6, UN28, NE11, and NE23, with lovastatin productivity equal to 2.0-, 2.11-, 1.95-, and 2.11-fold higher than the parental strain, respectively, were applied for three rounds of genome shuffling as the initial mutants. Four hereditarily stable recombinants (F3/3, F3/7, F3/9, and F3/13) were obtained with lovastatin productivity equal to 50.8, 57.0, 49.7, and 51.0 mg/gds, respectively. Recombinant strain F3/7 yielded 57.0 mg/gds of lovastatin, which is 6-fold and 2.85-fold higher, respectively, than the initial parental strain and the highest mutants UN28 and NE23. It was therefore selected for the optimization of lovastatin production through improvement of SSF parameters. Lovastatin productivity was increased 32-fold through strain improvement methods, including mutations and three successive rounds of genome shuffling followed by optimizing SSF factors.

Ralstonia pickettii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leurotus eryngii

  • Purnomo, Adi Setyo;Maulianawati, Diana;Kamei, Ich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24-1433
    • /
    • 2019
  • DDT is a hydrophobic organic pollutant, which can be bio-accumulated in nature and have adverse consequences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humans and anim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eryngii and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Ralstonia pickettii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DDT. The effects of R. pickettii on fungal development were examined using in vitro confrontation assay on a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R. pickettii culture was added to the P. eryngii culture at 1, 3, 5, 7, and 10 ml ($1ml{\approx}1.44{\times}10^{13}CFU$). After 7 d incubation, about 43% of the initial DDT ($12.5{\mu}M$) was degraded by the P. eryngii culture only. The augmentation of 7 ml of R. pickettii culture revealed a more highly optimized synergism with DDT degradation being approximately 78% and the ratio of optimization 1.06. According to the confrontational assay, R. pickettii promoted the growth of P. eryngii towards the bacterial colony, with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cterial cells and mycelium (0.71 cm/day). DDD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ane), DDE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and DDMU (1-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were identified as metabolic products, indicating that the R. pickettii could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 eryngii.

Penicillium from Rhizosphere Soil in Terrestrial and Coast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 Park, Myung Soo;Lee, Jun Won;Kim, Sung Hyun;Park, Ji-Hyun;You, Young-Hyun;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431-442
    • /
    • 2020
  • Penicillium, the most common genus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role in various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However, only a few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rhizosphere soil. As part of a project to excavate Korean indigenous fungi, we investigated rhizosphere soil of six plants in the forest (terrestrial habitat) and sand dunes (coastal habitat) and focused on discovering Penicillium species. A total of 64 strain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26 Penicillium species in nine section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equence analysis of β-tubulin and calmodulin. Although this is a small-scale study in a limited rhizosphere soil, eight unrecorded species and four potential new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addition, most Penicillium species from rhizosphere soil were unique to each plant. Penicillium halotolerans, P. scabrosum, P. samsonianum, P. jejuense, and P. janczewskii were commonly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Eight Penicillium species, P. aurantioviolaceum, P. bissettii, P. cairnsense, P. halotolerans, P. kananaskense, P. ortum, P. radiatolobatum, and P. verhagenii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ere, we provide th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ese unrecorded species.

낙동강 하류 물금과 을숙도 수환경의 진핵 플랑크톤 종조성에 대한 분자모니터링 (Molecular Monitoring of Eukaryotic Plankton Diversity at Mulgeum and Eulsukdo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이지은;이상래;윤석현;정상옥;이진애;정익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60-180
    • /
    • 2012
  • 본 연구는 메타게놈 분석법을 기초로 낙동강 하류 담수 환경의 물금과 기수 환경의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채수된 환경 시료내의 진핵 플랑크톤 종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환경 시료에서 추출된 DNA에 대한 environmental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수행하여 18S rDNA 클론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colony PCR,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염기서열 결정 및 유사도 분석을 통하여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물금 및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338개의 클론들을 분석하였고(170 clones, 물금; 168 clones, 을숙도대교), 그 결과 총 74개의 phylotype을 발굴하였다(49개, 물금; 25개, 을숙도대교). 발굴된 phylotype에 대한 계통 분석 결과, Stramenopiles, Cryptophyta, Viridiplantae, Alveolata, Rhizaria, Metazoa 및 Fungi 등의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발굴되었으며, 국내 미기록종 및 신종 후보 가능 생물종과 속(genus)이상의 새로운 분류학적 처리가 필요한 생물종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특히 Stramenopiles의 Pirsonia 및 Alveolata의 Perkinsea에 속하는 phylotypes 등 국내 미기록 생물종을 포함한 숨은 종다양성(cryptic species diversity)의 발굴은 분자모니터링 기법이 낙동강 하구역 수생태계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대장균에서 고세균 샤페론을 이용한 아스타잔틴 생산능 향상을 위한 연구 (Enhanced Production of Astaxanthin by Archaea Chaperonin in Escherichia coli)

  • 서용배;이종규;정태혁;남수완;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39-1346
    • /
    • 2015
  • 본 연구는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군이 형질전환된 Escherichia coli에서 archaea chaperonin을 공발현 시킴으로 카로티노이드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카로티노이드는 식물, 박테이라, 조류 등이 생합성하는 노란색, 오렌지색, 붉은색 계통의 색소로 이들은 식품 또는 양식 사료로 주로 이용되는 물질이다. 본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Paracoccus haeundaensis로부터 카로티노이드 유전자군을 cloning하였고 이들 유전자군의 생화학 및 효소학적 기능성을 분석하는 연구 결과와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유전자군(crtE, crtB, crtI, crtY, crtZ, crtW, crtX)을 대장균에 형질전환하여 400 μg/g dry cell weight (DCW)의 아스타잔틴을 생산하는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전자군과 archaea chaperonin을 공발현시켜 대장균에서 astaxanthin을 890 μg/g dry cell weight (DCW)로 생산하였으며, 이는 선행 연구된 결과 보다 약 2배 이상의 astaxanthin 생산량을 향상 시키는 연구 결과이다.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 따른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 변화 (Changes in Bioluminescence of Omphalotus japonicus Mycelia under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 박미정;이효림;유림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1-388
    • /
    • 2020
  • 생물발광은 생물체 내에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에 촉매되는 루시페린(luciferin)의 산화 반응에 의해 나타난다. 생물발광은 균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 종에서 나타남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약 80여 종의 균류에서 생물발광이 관찰됨이 보고 되었다. 화경버섯(Omphalotus japonicus)은 한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생물발광버섯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체 배지에서 자란 화경버섯 균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중심부에 비해 높은 발광이 관찰되었다. 또한 균사 표면에 상처를 내자 해당 부위에서 강한 생물발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생물발광의 증가는 처리 후 3시간에 최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극단적인 온도 스트레스에 의한 생물 발광의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외부 자극에 의한 상처 스트레스와 달리 고온이나 저온 스트레스에 의해 균사의 생물 발광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나는 생물발광 변화의 생리학적 및 생태학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별 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및 아므르 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of Asterina pectinifera and Asterias amurensis)

  • 조우진;이현화;정연정;김훈;정은정;박시향;임치원;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32-438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bioactive compounds extracted from two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and Asterias amurensis, using solvent extraction after $Protamex^{TM}$ hydrolysis. Methanol and acetone fractions collected by stepwise extraction from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GCC) (200 mesh and 400 mesh), follow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wo fractions (7:3 and 5:5 chloroform : methanol ratio, v/v) eluted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from the two starfishes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and dermatophyte fungi (Epidermophyton floccosum, Microsporum audouinii, Trichophyton ferrugine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and Trichophyton rubrum), antioxidant activity ($EDA_{50}$, mg/mL),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e final fractions obtained from Asterina pectinifera (RT 7.53, 8.93, and 10.48 min) and Asterias amurensis (RT 5.02 min) by SGCC (400 mesh) and HPLC from two SGCC fractions (200 mesh) showed 8.94 and 15.59 mg/mL antioxidant activity ($EDA_{50}$) and 46.89 and 40.19 %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respectively. Extracts from starfishes are potential cosmetic basic material.

해수배지를 이용한 해양 미생물의 Linoleic acid 생성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Linoleic Acid Production by Marine Fungi in Sea Water Media)

  • 김수정;박경원;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95-200
    • /
    • 2000
  • 네 종류의 질소원 yeast extract, sodium glutamate, peptone, tryptone과 각 질소원의 농도 및 포도당의 초기 농도가 해양 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linoleic aci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초기 당 농도를 10 g/L로 하고 질소원으로는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 균체 단위 질량에 대해 생성된 지질의 중량 분율이 최대값 0.302 mg/g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에 대한 linoleic acid 중량 분율도 8%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생성속도는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2.5 배까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초기 당 농도가 증가하면 linoleic acid의 생산성은 상승하나 당 농도 30 g/L 이상에서는 그 상승폭이 대단히 완만하였다. 초기 당 농도가 30 g/L 경우 질소원으로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는 linoleic acid의 생산량이 200 mg/L,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는 130 mg/L를 나타내었다.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균체 내에 생성되는 지질의 양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원이 sodium glutamate인 경우 농도 1 g/L까지는 지질의 함량이 뚜렷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나 농도 1.0 내지 2.0 g/L 이상에서는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지질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