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Tourism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125초

중국인관광객의 제주해양관광 활동유형, 만족도, 재방문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s of Marine Tourism Activity Types, Marine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Tourist visiting Jeju Island)

  • 이진희
    • 수산경영론집
    • /
    • 제48권3호
    • /
    • pp.75-90
    • /
    • 2017
  • The ocean is used as the term of sea, it is expressed as a large sea. Marine tourism is an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the sea and on the coast. Many experts prospect that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century of ocean. In recent years, many countries are interested in ocean and marine tourism can be significantly developed in the future. Jeju Island is an island formed by a volcanic eruption, which has a very high landscape value, and It is an oceanic climate with a yearly high temperature due to turbulent flow throughout the years, But Marine tourism is not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 the Marine Tourism activity types, Marine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And studies what is the needed activity types of Chinese Marine Tourist in future. This study deals with on the activity typ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JeJu Marine Tourism With 252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우리나라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the Revitalization of Korea's Marine Tourism)

  • 박수진;홍장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1-138
    • /
    • 2012
  • 관광산업은 단일산업으로는 세계 최대의 산업이며, 동시에 높은 고용효과를 가져오는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해양레저스포츠, 크루즈관광 등 해양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3천여 개의 도서와 약 12,000 km의 해안선, 드넓은 갯벌, 수려한 해양경관 등 천혜의 해양관광자원을 갖추고 있으며, 주 5일 근무제 정착, 교통수단의 발달로 해양관광에 대한 국민의 정책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해양관광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정책적 제도적 기반이 미흡하고, 관광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해양관광산업의 현황과 제약요인을 고찰하고, 현행 국내 해양관광 관련 법제도의 한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해양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양음식 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 고찰 (A Study on Promotion of Island Tourism through Development of Marine Food Tourism Contents)

  • 이웅규;홍인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27-135
    • /
    • 2019
  • 본 연구는 해양음식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섬 관광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했다. 섬 관광 활성화는 해양음식 관광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관점에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고,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다양한 연구논문과 정기간행물, 정부문서와 신문기사 등을 문헌 고찰하고 사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해양음식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섬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해양음식 관광콘텐츠를 섬 관광의 대표적인 콘텐츠로 육성, 고부가가치의 융 복합형 해양음식 관광상품 개발 및 운영, 기존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섬 관광 활성화 정책 추진의 효율화, 섬 관광 패러다임과 관광객의 관광패턴 변화에 부응하는 해양음식 관광상품 개발이라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서.남해안권 관광벨트의 해양관광레저인력 수요 분석 (Analysis of Demands of Manpower in Southwest Marine Tourism)

  • 박창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87-93
    • /
    • 2007
  • 전남 목포권 중심의 관광개발사업인 서남해안권 레저도시(J프로젝트)과 여수권 중심의 남해안관광벨트 개발사업 등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기 위해서는 관광사업시설의 공급뿐만 아니라 신규관광개발사업의 확대에 따른 원활한 신규 인력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규모 관광개발계획에 따른 관광시설 조성이 동시에 추진되었을 경우 사업의 완료시점에 인력 수급의 불균형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재의 관광사업체 자연증가수요와 계획 중인 해양관광개발 수요를 통합 예측하여 적정한 해양관광레저인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양관광레저인력 수요예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부산의 해상관광활성화에 관한 혁신적 전략(1) (The Innovative Strategy on the Activation of Marine Tourism in Busan)

  • 김재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6-170
    • /
    • 2007
  • 부산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상공업이 발달하였고 정착기와 확산기를 맞이하였으며 무역도시로 발달하였다. 2000년 이후 인구감소, 제조업의 이전, 외래관광객의 감소 등으로 경제력이 약화되어 경쟁력을 잃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항구적 해안의 지형적 지역의 전통산업적 국제교통적 특성의 강점을 이용하여 해상관광활성화의 혁신적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해상관광활성화의 전략을 규명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안과 해상의 환경을 고려하여 해상관광의 거점을 선정하고 거점의 정체성을 규명하여 관광자원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선정된 다수의 거점 중에서 핵심적인 관광거점은 외래관광객을 집중시키는 관광터미널의 기능이 필요하고 부산의 랜드마크가 되어야 한다. 셋째, 각각의 관광거점은 관광객이 다양한 해상관광활동을 체험할 수 있어야 하고 특화되어야 한다. 넷째, 해상관광거점은 해상관광루트로 연계되어야 한다. 다섯째, 해상관광의 비수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관광거점을 중심으로 겨울관광상품인 실내 스케이트장과 스키장, 해수풀장과 인공해수욕장, 인공잔디썰매장, 인공해안절벽, 해수온천장 등의 관광자원개발이 요구된다.

  • PDF

Marine Tourism Development Strategy of the South Sea through Sustainable Management of Coastal Environment

  • Yhang, Wii-J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95-302
    • /
    • 2006
  • This study is to integratedly examine coastal management policy and marin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for Korean coasts, especially for the South Sea of high development pressure, presenting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future. To do so, it is examined central government-level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set up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the Ministry c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tting the direction of south coastal management and tourism development at a level of national territory planning. The problems of coastal management first and then the problems of the South Coast Tourism Belt Project are analyzed in order to present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lternatives. To overcome such problems and make Korea a marine tourism base in East Asia, there is a need for re-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project and its continuous push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under the presupposition of consensus building among local people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vironments, there should be are-recognition that the future cf Korean marine tourism in the 21st-century and the success of an inverted $\pi-axis$ national development depend on the South coastal Tourism Belt Development Project.

Evaluation of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by the Concordance Test

  • Yhang, Wii-Joo;Lee, Sang-Ho;Jun, Jae-K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23-628
    • /
    • 2007
  • By employing primarily the Kendall's Concordance Test, the paper attempted to conduct an experts' evaluation on the interaction among the agents in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and recommend some measures for policy consideration for the cluster's activation. For this purpose,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to guide the assessment by using inter-agent cooperation and network approaches regarding the nature of the marine tourism cluster. Such factors as cooperation, competition, relationship marketing, and networking were identified as critical.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Busan marine tourism cluster is at its embryonic stage and needs desperate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networking, the maj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marine tourism.

스킨스쿠버 해양어촌관광의 경제적 가치 추정: 제주도를 대상으로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Skin Scuba Marine Tourism: Focused on Jeju Island)

  • 강석규
    • 수산경영론집
    • /
    • 제47권1호
    • /
    • pp.21-2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in Jeju Island. The economic value is estimated as consumer surplus using count data models including the truncated Poisson model and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nal distribution model. This study collects the effective 369 questionnaires from skin scuba marine tourists through three times in Jeju Island. The truncated Poisson model was statistically more suitable and valid than other models. The truncated Poisson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consumer surplus as economic value from skin scuba in Jeju Island. A consumer surplus value per trip was estimated as about 4,081,633 won. The annual economic value from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was estimated as 8,428,571 won in Jeju Island. Consequently,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has a very large economic value in Jeju Island.